본문 바로가기

진리

인간의 본질, 그리스 철학적 사유의 해체

키르케고르의 인간 이해는 그리스 철학이 정의한 인간의 본질 개념을 내부로부터 해체합니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그리고 스토아 철학 등에서 말하는 “인간 본성”에 대한 규정은, 키르케고르에게는 신 앞에서의 단독자라는 실존의 역설 속에서 철저히 전복(顚覆)됩니다.

 


🏛️ 1. 그리스 철학에서의 인간의 본질 개념

고전 그리스 철학은 인간을 보통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이성적 동물” (ζῷον λόγον ἔχον) –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정치적 동물” (ζῷον πολιτικόν) – 아리스토텔레스
“코스모스와 조화를 이루는 로고스적 존재” – 스토아학파

이 모든 개념들은 공통적으로 인간의 본질을:
✔️ 보편적인 이성(logos)
✔️ 자연 질서 속 위치
✔️ 형상(Form)과 목적(telos) 안에서 파악하려 합니다. 즉, 인간은 이미 주어진 본성, 고정된 목적, 자연적 조화의 일부로서 규정됩니다.

 


⚡ 2. 키르케고르의 해체: “주어진 본성”이 아니라, “되어야 하는 실존”

키르케고르는 이러한 고전적 정의에 대해 본질적으로 다른, 기독교적 실존의 입장을 제시합니다:

 

“인간은 자신이 되어야 할 존재다.”(Mennesket er en Synthese … som skal forholde sig til sig selv– 『죽음에 이르는 병』 서두)

 

이 말은 이렇게 해석됩니다:

인간은 이미 완성된 존재가 아니라, 관계적이고 생성되는 존재
본질은 “무엇이냐”에 있지 않고, 어떻게 존재하느냐(hvordan)에 있음
인간은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자신과 관계맺는 역설적인 실존자

즉, 키르케고르에게 인간은 “이성적 동물”도 아니고, “정치적 동물”도 아니며, 오히려 하나님 앞에서 끊임없이 자기 자신이 되라는 요청을 받은 불안한 존재입니다.

 


🔍 3. 『건덕적 강화』의 인용과 해체의 장면

"새와 백합에게배우라"의 본문에서, 키르케고르는 고대의 “존엄한 이방인(hedning)”—곧 고전 철학자를 존중하면서도, 이렇게 말합니다:

 

“그는 감탄할 줄은 알았지만, 여전히 입혀짐을 영혼에 돌렸다.”즉, 신학적 기원을 인식하지 못했다.(141쪽)

 

또한 더 나아가 말합니다:

 

“가장 어리석은 것은, 인간으로 존재한다는 이 거룩한 ‘처음’을 잊고, 바지와 셔츠, 비단과 담비가죽에 대해 수다 떠는 것이다.”즉, 인간됨을 당연히 여기고, 자신이 ‘입혀진 자’임을 망각하는 상태고전 철학자보다도 한참 타락한 상태다.

 

여기서 키르케고르는 철학적 본질 규정 전체를 전복합니다:

인간됨은 이미 소유한 본질이 아니라  감사함으로 받아야 할 선물이며, 하나님이 입히신 신비이며, 자기 안에서 매일 새롭게 생성되어야 할 존재입니다.

 


🎯 결론: 키르케고르는 인간의 본질을 어떻게 다시 쓰는가?

고전 철학 키르케고르
인간은 이성적 동물이다 인간은 하나님 앞에서 자신이 되어야 할 실존이다
본성은 고정되어 있다 실존은 생성되고, 불안 속에 있다
인간은 자연의 일부다 인간은 하나님 앞에서 단독자다
인간은 목적론적으로 설명된다 인간은 목적을 살아내야 하는 긴장적 관계다
인간됨은 자명하다 인간됨은 경이이며, 감탄과 감사의 대상이다

 

 


이러한 사유는 단순한 철학적 비판이 아니라, 실존을 통해 하나님 앞에서 “참된 자아”를 회복하는 신학적 여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