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르케고르 썸네일형 리스트형 영원한 행복(385쪽 이후) DIVISION 2 The Issue Itself 개인의 영원한 행복은 역사적인 것과의 관계를 통해 시간에서 결정된다. 게다가, 역사적인 것은 그 구성 요소들이 본질상 역사적일 수 없는 것을 포함하며 결과적으로 모순에 의해 그렇게 될 정도로 역사적이다. 이 문제는 채워진 파토스(pathos-filled)이고 변증법적이다. 사람의 열정은 영원한 행복과 관계에서 절정에 이르므로, 파토스가 첫 번째 부분에 있다. 변증법적인 것은 마지막 부분에 있다. 어려움은 명확히 이 문제가 이런 식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이다. 사랑한다는 것은 평범하고 단순한 파토스이다. 자신과 영원한 행복과 관계하는 것은 반성의 영역에서 평범하고 단순한 파토스이다. 변증법적인 것은 여기에 있다. 즉, 개인이 자신과 적절한 파토스와 관계하고 있.. 더보기 신정통주의 칼 바르트 이해 1. 칼 바르트의 현실 이해-계시현상학적 존재이해 한국의 많은 크리스천들이 많은 사람들이 바르트의 성서론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낸다. 그들의 일반적 비판은 바르트가 성서를 문자적으로 하나님의 말씀과 일치시키지 않고, 성서라는 문서에 성령의 감동이 있을 때에만 성서가 하나님의 말씀이 된다고 가르친다는 것이다. 마치 바르트가 글로써의 문자를 무시하고 형이상학적 논리를 중시하는 내면의 음성주의자인 것처럼 행동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비판은 보수주의자들이 이미 "문자-영"의 내적인 말과 외적인 말 등 이항 대립적 형이상학적 구도를 전제로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바르트의 성서이해는 오히려 이러한 이항 대립적 형이상학의 전제를 극복하고 하나님의 말씀이 현실로 등장하는 차원의 게시적 현실이해를 깆..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