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인물

터툴리안(Tertullian)이 어거스틴(Augustinus)보다 시대적으로 앞섭니다. 터툴리안(Tertullian)이 어거스틴(Augustinus)보다 시대적으로 앞섭니다. 터툴리안 (Tertullian) • 생년: 약 160년 – 220년 이후 (혹은 240년경)• 활동 지역: 북아프리카, 카르타고(Carthage) • 주요 사상:• 초기 기독교 변증가(Apologetics)• 신앙과 이성의 대립을 강조• 몬타누스주의(Montanism)로 전향하여 엄격한 기독교 윤리 강조 어거스틴 (Augustinus) • 생년: 354년 – 430년• 활동 지역: 북아프리카, 히포(Hippo, 현재의 알제리) • 주요 사상:• 기독교 교부이자 서방 신학의 핵심적 인물• 원죄론(Doctrine of Original Sin) 확립• “은혜에 의한 구원(gratia Dei)” 강조• 『신국론(De Civi.. 더보기
키르케고르의 쇼펜하우어 비판, NB29:95, Pap. XI1 A 144 이 부분에서 키르케고르가 비판하는 쇼펜하우어의 윤리적 관점은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Die Welt als Wille und Vorstellung) 제4권 §68에서 전개되는 내용과 관련이 있습니다.쇼펜하우어는 여기에서 고통을 통해 삶의 의지를 부정하고, 금욕(Askese)과 관조(Contemplation), 그리고 궁극적으로 조용한 몰아적 상태(Qvietisme)에 도달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쇼펜하우어의 핵심 논리: 1. 삶의 의지를 이해한 자는, 모든 존재의 고통을 자기 자신의 고통으로 받아들이게 된다.2. 이러한 이해는 개인이 삶의 의지를 부정하고, 금욕과 자발적인 고난을 통해 자기 의지를 죽이는 과정으로 나아가게 한다.3. 완전한 금욕과 자기 부정은 결국 신비주의적인 해탈 상태(Qui.. 더보기
돈 후안의 결말 해석 더 읽을 거리: 돈 후안의 불안과 가인이 불안 돈 후안의 불안과 가인의 불안창세기의 가인이 경험한 죄 이후의 불안과 돈 후안의 이야기에서 드러나는 불안은 키르케고르의 불안의 개념에 비추어 보면 동일한 실존적 주제를 공유합니다. 두 경우 모두 죄를 저지른 후 발praus.tistory.com돈 후안 마지막 장면 해설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후안(Don Giovanni)의 마지막 장면은 작품 전체에서 가장 극적이고 상징적인 순간 중 하나입니다. 이 장면은 코만단테(Commandanten)의 유령이 돈 후안을 벌하고, 그의 죄악을 심판하며 종결을 짓는 중요한 장면입니다. 1. 배경돈 후안은 방탕한 귀족으로, 끊임없이 여성을 유혹하고 자신의 욕망을 만족시키며 살아갑니다. 작품 초반, 그는 코만단테를 결투 끝에 죽이.. 더보기
시간 개념에 대한 칸트와 키르고르 키르케고르는 칸트의 시간 개념에 대해 완전히 긍정하거나 부정하지는 않습니다. 대신, 그는 칸트의 시간 개념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자신의 철학적 입장에서 재구성합니다. 구체적으로, 칸트가 시간을 “감각적 직관의 순수 형식”으로 정의하며 시간 자체를 인간 주관성의 구조로 이해한 점은 키르케고르에게 중요한 철학적 기반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키르케고르는 이러한 시간 개념이 신앙, 실존적 결단, 그리고 영원성과 순간의 관계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고 봅니다. 차이점 1. 시간과 영원의 관계: • 칸트: 시간은 감각적 직관의 선험적 조건으로, 순전히 인간 주관성 안에 존재하는 형식입니다. 영원성에 대한 논의는 초월적이고 인간적 인식의 범위를 넘어섭니다. • 키르케고르: 시간은 영원의 반영 속에서 의미를 얻으며, .. 더보기
아브라함 허셸과 키르케고르 아브라함 조슈아 허셸의 안식(The Sabbath)에서 시간의 성화를 강조하며 공간에 의해 희생된 시간을 구원하려는 관점은 키르케고르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이해와 흥미롭게 연결될 수 있습니다. 두 사상가는 모두 시간의 본질적 중요성을 인정하며, 이를 단순한 연속적 흐름이나 공간적 측정으로 축소하려는 시도를 비판합니다. 이들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유사점과 차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1. 시간의 성화: 허셸과 키르케고르 • 허셸은 안식에서 시간을 “성스러운 영역”으로 간주합니다. 그는 인간이 종종 공간적 성취(건물, 도시, 물질적 업적)에 집착함으로써 시간을 희생시킨다고 비판합니다. 안식일은 이러한 공간 중심적 삶에서 벗어나 시간의 영적 중요성을 되찾는 날로, 시간의 “성화”를 통해 영원을 체험하는 특별.. 더보기
피히테의 불멸의 개념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Johann Gottlieb Fichte)는 불멸성에 대한 사유를 그의 철학적 체계와 윤리적 관점에서 접근했습니다. 피히테는 칸트의 초월적 철학을 바탕으로 인간의 자유와 실천적 이성을 중심으로 자신의 철학적 입장을 전개했으며, 불멸성에 대한 그의 논의는 주로 윤리적 실천과 인간 존재의 목적론적 의미와 연결됩니다. 1. 불멸성과 실천적 이성피히테는 인간의 실천적 삶과 도덕적 행위가 불멸성의 근거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인간의 이성적 실천이 도덕적 법칙을 따르려는 끊임없는 의지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덕적 노력이 단순히 한 개인의 유한한 삶으로 끝날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불멸성은 인간이 도덕적 완성으로 나아가야 하는 본성적 목적과 연결됩니다. 2. 주관성과 초월적 관점피히테의 철.. 더보기
헤겔의 논리학에서 말하는 언어의 의미 “언어는 생각을 숨기기 위해 존재한다.” 이는 1807년에 프랑스 주교이자 정치가인 샤를 모리스 드 탈레랑(Charles-Maurice de Talleyrand)이 스페인 대사 이즈키에르도(Isquierdo)에게 한 말로 알려진 표현이다. 탈레랑은 “언어는 인간에게 자신의 생각을 위장하기 위해 주어진 것이다”(프랑스어로 La parole a été donnée à l'homme pour déguiser sa pensée), 즉 언어의 기능이 오히려 생각을 숨기거나 감추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로 이 표현을 사용했다고 한다. 하지만 헤겔은 『논리학』 2판 서문에서 언급한 언어의 중요성과 언어가 사고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강조한다. 그는 “사고의 형식들이 우선적으로 언어 안에서 드러나고 고정된다”라고 말하.. 더보기
경건주의, 에크하르트와 불교, 키르케고르 경건주의적 신비주의(Qietistic mysticism)는 영적 평온과 내적 고요를 강조하는 신비주의적 전통입니다. 이 사상은 개인이 자신의 의지와 노력을 버리고 완전히 하나님께 맡기는 상태를 추구하며, 이러한 내적 평온 속에서 하나님의 뜻이 나타난다고 믿습니다. 경건주의는 종종 인간의 활동적인 종교적 노력보다는 내면의 침묵과 영혼의 수동적 상태를 통해 하나님과의 일치를 이루고자 합니다.경건주의는 특히 17세기의 스페인 신비주의자 미겔 데 몰리노스에 의해 체계화되었고, 프랑스의 마담 귀용과 같은 인물들에 의해 발전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께 가까이 가는 방법으로 개인의 열정적이고 의도적인 행위를 배제하고, 내적 침묵을 통해 영혼이 하나님과 완전한 연합에 도달하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영혼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