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믿음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변증학
- 절망
- 말씀
- 후기 토대주의
- 라이프니츠
- 헤겔
- 자유주의
- 문화 개신교
- 반틸
- 토대주의
- 카리스아카데미
- 말씀은 거울이다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내면의 감금
- 반토대주의
- 카리스 아카데미
- 계시
- 계시현상학
- 도예베르트
- 영원한 행복
- 말씀의 거울
- 현상학
- 죽음에 이르는 병
- 키르케고르
- 칼 바르트
- 능력의 말씀
- 시인의 실존
- 미학
- Today
- Total
프라우스
아브라함 허셸과 키르케고르 본문
아브라함 조슈아 허셸의 안식(The Sabbath)에서 시간의 성화를 강조하며 공간에 의해 희생된 시간을 구원하려는 관점은 키르케고르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이해와 흥미롭게 연결될 수 있습니다. 두 사상가는 모두 시간의 본질적 중요성을 인정하며, 이를 단순한 연속적 흐름이나 공간적 측정으로 축소하려는 시도를 비판합니다. 이들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유사점과 차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1. 시간의 성화: 허셸과 키르케고르
• 허셸은 안식에서 시간을 “성스러운 영역”으로 간주합니다. 그는 인간이 종종 공간적 성취(건물, 도시, 물질적 업적)에 집착함으로써 시간을 희생시킨다고 비판합니다. 안식일은 이러한 공간 중심적 삶에서 벗어나 시간의 영적 중요성을 되찾는 날로, 시간의 “성화”를 통해 영원을 체험하는 특별한 순간으로 제시됩니다.
• 키르케고르 역시 시간의 성격을 단순한 공간적 연속성으로 축소시키는 것을 거부하며, 현재를 영원의 첫 번째 반영인 “순간”(Øieblikket)으로 봅니다. 그는 이 순간이 인간이 신과 관계를 맺고 실존적 결단을 내리는 지점이라고 강조합니다.
2. 공간과 시간의 긴장
• 허셸의 관점에서 공간은 인간이 만들어낸 물질적 세계를 상징하며, 이는 종종 시간을 도구화하고 소비하는 데 사용됩니다. 시간은 공간과 대립하며, 공간적 성공에 얽매인 인간에게 잃어버린 영적 차원을 되찾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키르케고르의 관점에서 공간은 시간의 진정한 본질을 왜곡하거나 억압할 수 있는 요소입니다. 그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현재”를 단순히 공간적 위치로 정의하려는 시도를 비판하며, 공간은 인간의 실존적 내면성과 영원한 의미를 방해할 수 있다고 봅니다.
3. 시간 속에서 영원을 경험하기
• 허셸의 안식일은 시간 속에서 영원을 경험하는 날로, 물리적 공간에서 벗어나 시간의 신성함과 영적 깊이를 체험하는 날입니다. 안식일은 단순히 “쉬는 날”이 아니라, 시간의 질적 변화를 통해 인간이 더 높은 차원의 존재와 연결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키르케고르의 순간(Øieblikket)은 시간 속에서 영원이 반영되는 지점으로, 인간이 자기 삶의 결정적 전환을 맞이하고 신과의 관계를 통해 존재의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는 순간입니다. 이것은 허셸의 안식일과 마찬가지로, 시간의 영적 변화를 강조합니다.
4. 시간 구원의 의미
• 허셸은 시간을 구원하는 것을 “공간에 의해 억압된 영성을 회복하는 것”으로 봅니다. 그는 안식일이 시간의 신성함을 회복시켜 인간이 물질적 세계의 속박에서 벗어나 영적인 자유를 누리게 한다고 주장합니다.
• 키르케고르의 시간 구원은 “현재라는 순간을 통해 인간이 실존적 결단을 내리고 영원과 연결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는 이 결단이 인간의 실존적 책임과 자유를 가능하게 한다고 봅니다.
결론: 허셸과 키르케고르의 연결점
• 시간의 신성함 강조: 허셸은 안식일을 통해 시간을 성화하며, 키르케고르는 영원의 반영으로서의 순간을 통해 시간을 실존적으로 새롭게 정의합니다.
• 공간 중심성 비판: 두 사상가 모두 공간 중심적 사고방식과 삶의 방식을 비판하며, 시간의 질적 중요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봅니다.
• 시간 속의 영적 체험: 허셸에게는 안식일이, 키르케고르에게는 순간이 시간 속에서 영원을 체험하는 기회입니다.
결국, 허셸의 안식 개념과 키르케고르의 순간 개념은 서로 다른 철학적·종교적 전통에서 나온 것이지만, 둘 다 인간이 시간 속에서 영원과의 만남을 경험할 수 있다고 보며, 이를 통해 삶의 진정한 의미를 발견하도록 초대합니다.
'철학 >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 후안의 결말 해석 (0) | 2024.12.09 |
---|---|
시간 개념에 대한 칸트와 키르고르 (0) | 2024.11.27 |
피히테의 불멸의 개념 (2) | 2024.11.16 |
헤겔의 논리학에서 말하는 언어의 의미 (0) | 2024.11.07 |
경건주의, 에크하르트와 불교, 키르케고르 (1) | 202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