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우스

아리우스주의(Arianisme)란? 본문

성경연구

아리우스주의(Arianisme)란?

엉클창 2025. 2. 7. 10:19

 

아리우스주의(Arianisme)란?

 

📌 1. 정의
아리우스주의(Arianisme)는 4세기 초반에 알렉산드리아의 신학자 아리우스(Arius, 256-336)가 주장한 기독론(Christology) 으로,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과 같은 본질(ὁμοούσιος, homoousios)이 아니라, 하나님에 의해 창조된 피조물(κτίσμα, ktisma)이다” 라는 핵심 교리를 가진다.

 

📌 2. 주요 주장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관계
하나님(아버지)은 절대적으로 유일하고, 존재적으로 우월하다.
예수 그리스도(아들)는 하나님에 의해 창조된 존재이며, 본질적으로 하나님과 동일하지 않다.
“하나님이 존재하던 때에, 아들은 존재하지 않았다.
→ 즉, 예수는 ‘시간 안에서’ 창조되었으며, 본질적으로 영원한 존재가 아니다.

예수의 신성과 인성
예수는 하나님의 가장 위대한 피조물이며,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중재자 이다.
하지만 삼위일체(Trinitas)의 개념을 부정하며, 예수를 ‘완전한 하나님’으로 보지 않는다.

 

📌 3. 삼위일체 교리와의 충돌

아리우스주의는 니케아 공의회(325년)에서 정립된 삼위일체(Trinity) 교리 와 정면으로 배치된다. 정통 기독교 신학에서는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가 본질적으로 동일한 신적 존재(ὁμοούσιος, homoousios) 라고 본다. 그러나 아리우스주의는 이를 거부하고, 하나님과 예수를 구별된 존재로 이해 한다.

 

📌 4. 아리우스주의 논쟁과 니케아 공의회(325년)

✔ 318년경, 아리우스(Arius)와 알렉산드리아의 주교(Alexander) 사이에서 논쟁이 발생
✔ 325년, 콘스탄티누스 황제(Constantinus)가 니케아 공의회(First Council of Nicaea)를 소집
✔ 공의회에서 아리우스주의는 공식적으로 이단(異端, Heresy)으로 규정됨
✔ 니케아 신경(Nicene Creed)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과 ‘동일 본질(ὁμοούσιος, homoousios)’ 이라는 교리가 확정됨

 

📌 5. 이후 역사적 전개

아리우스는 이단으로 추방 되었으나, 그의 가르침은 여전히 인기를 끌었음.
콘스탄티우스 2세(Constantinus II, 337-361) 황제는 아리우스주의를 지지하면서 한때 교회 내에서 부흥.
그러나 381년 콘스탄티노플 공의회(First Council of Constantinople) 에서 아리우스주의는 완전히 정죄됨.
이후 아리우스주의는 게르만족(예: 고트족, 반달족) 기독교 내에서 지속되었으나, 점차 사라짐.

 

📌 6. 신학적 중요성

아리우스주의 논쟁은 초대 교회에서 그리스도의 신성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신학적 논쟁 이었다. 이 논쟁을 통해 기독교의 삼위일체 교리가 명확히 정의 되었으며, 이후 교리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7. 오늘날 아리우스주의의 영향

현대에도 아리우스주의와 유사한 신학을 가진 종교 단체가 존재한다.
여호와의 증인(Jehovah’s Witnesses) – 예수를 하나님과 동일한 존재로 보지 않고, 피조물로 간주
유니테리언(Unitarianism) – 삼위일체를 부정하고 하나님만을 절대자로 인정

📌 🔎 요약: 아리우스주의란?

✔ 아리우스가 주장한 그리스도론으로, 예수는 하나님이 창조한 피조물 이라고 봄
✔ 삼위일체 교리(예수와 하나님이 동등하다는 교리)를 부정
✔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규정됨
✔ 하지만 한동안 로마 제국 내에서 영향력을 가졌으며, 이후 게르만족 기독교 내에서 지속되다가 점차 사라짐

 

🔹 핵심 개념:

“예수는 하나님의 피조물이며, 하나님과 동일 본질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