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연구

“Nihil incorporale … anima corpus sui generis” 터툴리안 “Nihil incorporale … anima corpus sui generis”라틴어로 **“무엇이든 존재하는 것은 고유한 형체를 가진다. 형체가 없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영혼은 그 자체의 고유한 형체를 가진다.”**라는 의미입니다. 이 구절은 터툴리안(Tertullian)의 『그리스도의 몸에 대하여(De carne Christi)』 11장에서 발췌된 내용을 요약 및 변형한 것입니다. 1. 터툴리안의 원문원문에서 터툴리안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Omne quod est, corpus est sui generis: nihil est incorporale, nisi quod non est. Habente igitur anima invisibile corpus (…)”“존재하는 모든 .. 더보기
voluntas necessaria, libera, media voluntas necessaria, libera, media는 라틴어로 **‘필연적 의지, 자유로운 의지, 중간적 의지’**를 의미하며, 하나님의 의지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신학적으로 사용되는 분류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의지가 대상의 종류와 범위에 따라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나타내며, 특히 하나님의 중간적 의지(voluntas media)는 하나님의 능력과 선택의 가능성을 설명합니다. 1. 세 가지 의지의 정의 1. voluntas necessaria (필연적 의지) • 정의: • 하나님의 본질에 의해 필연적으로 이루어지는 의지입니다. • 이는 하나님의 본질과 분리될 수 없는, 반드시 행해지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 예: • 하나님은 항상 자신을 사랑하시며, 진리를 원하시고, 선을 이루기를 원하십니다... 더보기
scientia necessaria, libera, media scientia necessaria, libera, media는 라틴어로 **‘필연적 지식, 자유로운 지식, 중간적 지식’**을 의미하며, 하나님의 전지성을 설명하기 위해 신학적으로 사용되는 분류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지식이 대상(사물)의 종류와 범위에 따라 구분된 것입니다. 특히 scientia media는 하나님의 지식 중 가장 논란이 많고 독특한 개념으로, 가능한 사건과 조건적 미래를 다룹니다. 1. 세 가지 지식의 정의 1. scientia necessaria (필연적 지식) • 정의: • 하나님이 필연적으로 알고 계시는 지식으로, 모든 존재와 진리를 포함합니다. • 이는 하나님의 본질과 분리할 수 없는 지식이며, 하나님은 자신의 존재와 본질에 근거하여 이 지식을 갖고 계십니다. • 예: • 하나.. 더보기
intellectus intuitionis intellectus intuitionis는 라틴어로 **‘직관적 인식’**을 의미하며, 이는 하나님이 가지신 지식의 완전성과 본질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신학적 개념입니다. 이 개념은 하나님의 전지성(omniscience) 속성을 묘사하면서, 특히 하나님의 인식 방식이 인간의 인식과는 근본적으로 다름을 강조합니다. 1. 정의: 직관적 인식 (intellectus intuitionis) • **‘직관적 인식’**이란 **추론(diskurs)**이나 **논리적 사고(ræsonnement)**를 거치지 않고, 즉각적이고 완전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인식을 의미합니다. • 하나님의 인식은 순간적이고 동시에 이루어지며, 오류가 없고 완전한 진리로서, 인간적 한계를 초월합니다. 2. 하나님의 인식 방식의 특징 1. .. 더보기
attributa moralia, operantia, transeuntia attributa moralia, operantia, transeuntia라틴어로 각각 **‘도덕적 속성’, ‘활동적 속성’, ‘변화적 속성’**을 의미하며, 하나님의 외적 표현과 관련된 속성을 설명하는 교리적 분류입니다. 이 속성들은 하나님이 피조물과 관계를 맺고 세상 속에서 활동하실 때 드러나는 특성을 나타냅니다. 1. attributa moralia (도덕적 속성) • 설명: • 하나님의 도덕적 본질과 관련된 속성으로, 하나님의 거룩함, 선함, 정의 등을 포함합니다. • 이는 하나님의 성품에 나타나는 도덕적 완전성을 강조합니다. • 예: • 거룩함 (Hellighed): 하나님은 완전히 도덕적이고 순결하신 분. • 선함 (Godhed): 하나님의 모든 행동과 의도는 궁극적으로 선을 이루심. • 정의.. 더보기
attributa immanentia, quiescentia, metaphysica attributa immanentia, quiescentia, metaphysica라틴어로 각각 **‘내재적 속성’, ‘정적 속성’, ‘형이상학적 속성’**을 의미하며, 하나님의 속성을 설명하는 교리적 분류 중 하나입니다. 이 세 가지 속성은 모두 하나님의 내적 본질과 관련이 있으며, 하나님의 영원성, 불변성, 단순성을 표현합니다. 1. attributa immanentia (내재적 속성) • 설명: • 하나님의 본질 안에서만 존재하며, 외부로 발현되지 않는 하나님의 내적 속성. • 이는 하나님 자신의 존재와 본질에 고유하게 속하는 속성을 말합니다. • 예: • 영원성: 하나님은 시작도 끝도 없는 존재. • 자존성: 하나님은 스스로 존재하시며, 그 존재는 외부에 의존하지 않음. 2. attributa q.. 더보기
via negationis, via eminentiæ, via causalitatis via negationis, via eminentiæ, via causalitatis라틴어로 각각 **‘부정의 길’, ‘탁월함의 길’, ‘인과의 길’**을 의미하며,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탐구하는 세 가지 보완적인 접근 방식을 나타냅니다. 이는 중세 스콜라 철학자들과 초기 신학자들이 하나님의 속성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한 방법들입니다. 1. via negationis (부정의 길) • 설명: • 이 방법은 부정을 통해 하나님의 속성을 탐구합니다. • 하나님에게 적용할 수 없는 모든 제한적이거나 불완전한 속성을 부정함으로써,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더 명확히 이해하려는 방식입니다. • 사례: • 하나님은 유한하지 않으심(무한성), 물질적이지 않으심(비물질성), 변하지 않으심(불변성) 등을 통해 설명됩니다. •.. 더보기
운명과 섭리의 차이, 불안의 개념 3장 2절 관련 키르케고르가 섭리(Forsynet)와 우연(Tilfældighed)의 차이를 정의하려는 목적은, 인간 실존의 불안(Angest)과 이를 극복하는 신앙의 역할을 설명하려는 데 있다. 그의 철학에서는 이 두 개념이 단순히 대립하거나 분리된 것이 아니라, 실존적 상태에서 인간의 자유와 영혼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1. 섭리와 우연의 기본 개념 1. 섭리(Forsynet):• 섭리는 하나님의 계획 또는 신적 관여를 통해 인간의 삶과 세계를 이끄는 원리• 키르케고르에게 섭리는 신앙 안에서 발견되는 확실성으로, 이는 인간 실존의 궁극적 안정과 의미를 제공• 섭리는 우연적 사건조차도 신적 목적 안에서 통합되는 것으로 이해 2. 우연(Tilfældighed):• 우연은 불확실하고 통제할 수 없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