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르케고르의 Not4:1에 대한 주석
Naaden maatte nu dels være gratis data, deels gratum faciens og Fortjenesten deels meritum de congruo, deels de condigno. Nu var Frelsens-Process følgende: 1) gratia gratis data 2) meritum de congruo 3) gratia gratum faciens 4) m: de condigno.
이 내용은 스콜라 신학에서 **은혜(naade)**와 **공로(fortjeneste)**의 관계를 설명하며, 구원의 과정에서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행위를 어떻게 조화시키는지를 다룹니다.
1. 은혜의 구분
1) Gratia gratis data (값없이 주어진 은혜)
• 뜻: “값없이 주어진 은혜”로, 라틴어 **‘gratia gratis data’**에서 유래.
• 설명:
• 스콜라 신학에서 은혜는 구원의 출발점이며, 하나님이 아무 대가 없이 주시는 선물로 간주됩니다.
• 이는 **그리스도의 공로(Kristi fortjeneste)**를 통해 주어지며,
• 인간의 영혼을 선을 행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화시킵니다.
2) Gratia gratum faciens (구원하는 은혜)
• 뜻: “구원하는 은혜”로, 라틴어 **‘gratia gratum faciens’**에서 유래.
• 설명:
• 처음 은혜(gratia gratis data)가 인간의 의지를 움직여 선을 행하게 한 후,
• 이 은혜는 선한 행위를 넘어서 죄의 용서와 구원 생활의 지속을 가능하게 합니다.
• 이는 구원의 여정을 계속 가능하게 만드는 중요한 은혜입니다.
2. 공로의 구분
1) Meritum de congruo (합리적 공로)
• 뜻: “합리적 공로” 또는 “적합성에 따른 공로”로, 라틴어 **‘meritum de congruo’**에서 유래.
• 설명:
• 처음 은혜(gratia gratis data)는 합리적 공로를 통해 주어집니다.
• 즉, 하나님은 인간의 자유 의지에 대한 응답으로 은혜를 주십니다.
• 이 공로는 은혜에 의해 가능해졌으므로, 공로 자체는 하나님의 은혜와 분리되지 않습니다.
2) Meritum de condigno (적합한 공로)
• 뜻: “적합한 공로” 또는 “동등성에 따른 공로”로, 라틴어 **‘meritum de condigno’**에서 유래.
• 설명:
• **구원하는 은혜(gratia gratum faciens)**와 인간의 선한 의지가 협력하여 만들어지는 공로.
• 이는 단순한 합리적 공로를 넘어, 은혜를 증대시키고 영원한 구원을 받을 자격을 부여합니다.
• 이 공로는 인간의 선행과 하나님의 은혜가 결합된 결과입니다.
3. 구원의 과정
스콜라 신학에서 구원의 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1. Gratia gratis data (값없이 주어진 은혜):
• 하나님이 아무 조건 없이 구원의 출발점으로 주시는 은혜.
2. Meritum de congruo (합리적 공로):
• 인간이 은혜에 응답하며 선을 행할 때 얻어지는 공로.
3. Gratia gratum faciens (구원하는 은혜):
• 죄를 용서하고 구원의 길을 지속하도록 돕는 은혜.
4. Meritum de condigno (적합한 공로):
• 구원하는 은혜와 인간의 협력을 통해 얻어지는 공로로, 은혜를 증대시키고 영원한 구원의 자격을 부여.
4. 신학적 의의
• 은혜와 공로의 조화:
• 스콜라 신학은 인간의 선행과 하나님의 은혜를 논리적으로 결합하려는 시도로, 구원의 과정에서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역할을 설명했습니다.
• 아우구스티누스적 비판:
• 이 체계는 인간의 공로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구원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로 이루어진다는 아우구스티누스적 관점과 충돌할 수 있습니다.
요약
스콜라 신학의 **은혜(naade)**와 **공로(fortjeneste)**의 구분은 구원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입니다.
• **값없이 주어진 은혜(gratia gratis data)**는 구원의 시작점이며,
• **구원하는 은혜(gratia gratum faciens)**는 구원의 지속과 완성을 가능하게 합니다.
• 인간의 공로는 하나님의 은혜와 협력하여 구원의 여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습니다.
'성경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도에 대한 사상가 비교 (1) | 2025.01.06 |
---|---|
교회의 본질과 역설적 긴장, 본회퍼 (0) | 2024.12.27 |
“invisibilis licet videatur … humanis æstimetur” 터툴리안 (0) | 2024.12.19 |
“Nihil incorporale … anima corpus sui generis” 터툴리안 (0) | 2024.12.19 |
voluntas necessaria, libera, media (1) | 202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