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에 따르면 **불멸성(Udødelighed)**은 단순히 죽은 이후의 상태가 아니라, 살아 있는 동안 ‘실존이 생성될 때’ 시작되는 존재론적 사건입니다.
🧭 키르케고르 철학에서의 불멸성은 “사후 상태”가 아니다
전통적인 형이상학이나 교리적 기독교에서는 불멸성을 흔히 이렇게 이해합니다:
“인간은 죽은 후에도 영혼이 계속 존재하므로 불멸한다.”
그러나 키르케고르는 이 개념을 근본적으로 뒤집습니다:
❗그는 말합니다:
“불멸성은 존재의 조건이 아니라, 존재의 결과이다.” 다시 말해, 인간은 단지 불멸한 존재로 태어난 것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자기 자신을 형성해갈 때, 그 형성된 존재 안에서 불멸이 시작된다.
🔥 『죽음에 이르는 병』과 Tilværelse의 구조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 키르케고르는 자아는 구성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자아는 하나님의 앞에서, 자기를 자기 자신으로서 관계 짓는 관계이다.”– 『죽음에 이르는 병』
이 문장에서 “하나님 앞에서”라는 표현이 중요한데요, 바로 **영원(Evigheden)**이 시간 속 실존에 침입하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자아는 단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되어야 할 것’으로서 존재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형성된 자아는 더 이상 단순히 유한한 것이 아니며, 그 자체로 ‘불멸에 참여’하고 있는 Tilværelse(존재의 생성)가 됩니다.
🕊️ 키르케고르적 불멸의 구조는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구분 | 전통적 개념 | 키르케고르의 개념 |
불멸의 시작 | 육체의 죽음 이후 | 실존이 진리 안에서 생성될 때 |
조건 | 영혼의 본성 | 하나님 앞에서의 결단과 반복 |
실현 | 사후 존재 | 살아 있는 동안 존재의 형성 속에서 발생 |
보증 | 형이상학적 영혼 불멸 | 실존의 진지함과 건덕(opbyggelse) |
신학적 핵심 | 교리적 생존 | 존재론적 형성(Tilblivelse), 믿음의 반복(Gjentagelse) |
💬 키르케고르의 언어로 요약하자면:
“불멸이란, 죽은 이후에도 남는 생물학적 영혼의 지속이 아니라, 살아 있는 지금, 하나님 앞에서 자기 자신이 되려는 존재가 겪는 실존적 영원의 시작이다.”
'철학 >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 사랑의 역설, 철학의 부스러기 3장 부록 주해 (0) | 2025.04.04 |
---|---|
키르케고르에게 코믹이란 무엇인가? (0) | 2025.04.04 |
상기와 영원, 그리스 철학적 관점 (0) | 2025.04.04 |
파우스트의 마법의 거울 해석 (0) | 2025.04.04 |
피히테의 주관성과 키르케고르의 주관성 비교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