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우스

JJ:305(Pap. VI A 17), 확률과 믿음 아리스토텔레스 본문

키르케고르 일기 및 기록물 정리

JJ:305(Pap. VI A 17), 확률과 믿음 아리스토텔레스

엉클창 2024. 9. 13. 21:06

JJ:305(Pap. VI A 17)

새로운 학문이 도입되어야 한다: 기독교 수사학이다.[i]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ii]의 방식에 따라(ad modum) 구성되어야 한다. 현재의 모든 교리는 오해이며, 특히 지금처럼 되어버린 모습에서는 더욱 그렇다.

 

[a] (VI A 18) 여기서 카르네아데스(Karneadess)[iii]의 확률 교리도 언급될 수 있다. 참고: 리터(Ritter), 《철학사》(Gesch. der Philosophie) 3, pp. 677, 78, 79.

[b] NB

[c] (VI A 19)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과 믿음(πιστεις)을 불러일으키는 수단을 확률과 관련지어, 지식과는 달리 일어날 수 있는 여러 상태와 관련된다고 본다.[iv] 기독교적 수사학은 그리스 수사학과 달리, 오직 “불확률성(improbability, 불가능성)[v]에만 관심을 가지며, 믿을 수 있도록 무언가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경우 확률은 다른 경우에서 불확률성(불가능성)을 기피한 것과 마찬가지로 기피 대상이 된다. 그러나 지식과의 차이는 두 경우 모두에서 동일하다.



[i] 이 문장은 Søren Kierkegaard가 기독교적인 화술, 즉 기독교적 수사학을 구상하는 과정과 관련이 있다. 구체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Rhetorik)에서 언급된 내용과 연관을 맺고 있으며,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수사학 제1 1(1354a 1-11)에서 수사학이 과학(epistēmē)이 아니라 기술(téchnē)이라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1845년경에 키르케고르가 기독교적 화술(homiletik)에 대한 여러 초안을 작성했다는 언급이 나오고 있다. 그 초안들은 그의 일기 및 기록물에서 발견되며, 구체적으로는 Pap. VI A 146-156 Pap. VI B 128-137에 기록되어 있다. 대부분은 키르케고르의 저작 JJ:305 이후에 작성되었지만, 초기 초안은 그 이전에 작성되었을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다.

이로써, 키르케고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고전적 수사학 이론을 바탕으로, 기독교적 교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화술에 대해 고찰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ii]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키르케고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두 개의 서로 다른 판본으로 소유하고 있었으며, 이는 1831년 라이프치히에서 출판된 표준판 (De arte rhetorica) (도서 번호 1080)과 특히 앞서 언급된 로스의 번역본 수사학에 해당한다. 키르케고르는 이를 아이러니 개념에 대하여(Pap. IV A 207)의 한 사본에 기록된 주석에서 명시적으로 언급하고 있으며, 1845년의 발췌문(Pap. VI C 5)과 같은 해에 작성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과 관련된 신성한 화술에 대한 고찰”이라는 작업 제목을 가진 초안(Pap. VI A 146)에서 참고했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은 키르케고르의 서재에 있던 그의 전집의 판본들에도 포함되어 있다.

[iii] 카르네아데스의 확률 이론: 카르네아데스(기원전 약 215-129)는 그리스의 회의주의자로, 그의 시대에 웅변으로 유명했으며 모든 교조주의, 특히 스토아 학파의 인식론적, 우주론적, 윤리적, 신학적 교리를 열렬히 반대하는 것으로 악명 높았다. 전통적으로 ‘신아카데미’의 창시자로 간주되며, 스토아 학파에 반대하여 참된 인식의 가능성을 부정했다. 그는 개념이 그것의 대상과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없다고 가르쳤으며, 다만 더 큰 또는 더 작은 확률로 그것을 추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카르네아데스의 ‘확률 이론’에 대해서는 H. 리터의 《고대 철학사》 제3, 1837, pp. 691-694를 참조하라. 특히 리터가 그의 확률 이론에 대해 평가한 694페이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길게 늘어진 찬반 논쟁의 인위적인 발전, 물리학보다 윤리학을 더 중시한 이유는 전자가 웅변적으로 다루기 쉬웠기 때문이며, 또한 의견이 그럴듯하게 보이게 하는 방법에 대한 그의 신중한 연구는 그를 순수히 화술의 발전을 추구하는 인물로 보여준다.

[iv]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제1권 제2장에서 그는 수사학의 대상이 변증법의 대상과 어떻게 다른지 설명한다. 변증법의 대상은 필연적으로 참인 것과는 달리, 수사학의 대상은 “그럴듯한 것” 또는 “평균적인 것”이다. “우리의 논의 대상은 이렇게 되거나 저렇게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이는 것들이다.(《수사학》, p. 25f, 1357a 23f). “평균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그럴듯한 것이며, 몇몇 사람들이 정의하듯이 절대적이지는 않다. 오히려 그것은 필연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특정한 사물에 대해 그럴듯한 것으로 여겨지는 것이다.(《수사학》, p. 27f, 1357a 34 - 1357b 1).

πιστεις(믿음): 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제1권 제1장에서 소개된 개념을 가리킨다. πιστις(1355a 5), 그리스어 πιστις(pístis)는 믿음, 신뢰, 충성; 증거, 법정에서의 증명 또는 증거 제시, 확신을 의미한다. 로트는 이를 《수사학》 p. 15에서 ‘확신’으로 번역하며, 같은 페이지의 주석에서 ‘확신’이 능동적 의미로 사용되며, 설득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된다고 설명한다. 독일어에는 그리스어를 정확히 대응할 수 있는 단어가 없다고 덧붙인다. πιστεις(1354a 13, 1355a 4), 그리스어 πιστεις(písteis)는 πιστις(pístis)의 복수형이며, 로트는 이를 p. 11 p. 15에서 ‘설득의 수단’으로 번역한다.

[v] 불가능성(Usandsynlighed): 《철학의 부스러기》에서 요하네스 클리마쿠스는 “절대적 역설,” 즉 인간의 모습으로 나타난 하나님의 성육신을 “가장 불가능한 것”으로 설명한다(SKS 4, 256,9). 이어지는 주석에서 그는 “불가능한 것에 가능성 증거를 연결하려는 생각을, (이를 통해 불가능한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려는 것인가? 그렇다면 개념이 변한 것이며; 아니면 불가능한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려는 것인가? 그렇다면 가능성을 사용하려는 것이 모순이다), 너무 어리석은 진지함이라고 부르며, 그것이 발생할 가능성을 고려하기조차 어려울 만큼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SKS 4, 2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