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영원한 행복
- 말씀의 거울
- 절망
- 죽음에 이르는 병
- 키르케고르
- 카리스아카데미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시인의 실존
- 자유주의
- 미학
- 라이프니츠
- 후기 토대주의
- 문화 개신교
- 변증학
- 반토대주의
- 믿음
- 능력의 말씀
- 계시
- 현상학
- 토대주의
- 헤겔
- 도예베르트
- 말씀
- 계시현상학
- 말씀은 거울이다
- 반틸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내면의 감금
- 칼 바르트
- 카리스 아카데미
- Today
- Total
프라우스
JJ:290(Pap. VI A 1), 아리스토텔레스 본문
JJ:290(Pap. VI A 1)
그리스에서 정치가 차지했던 자리를 기독교에서는 종교가 차지했다는 것이 분명하다.[i] 종교는 대중 속에서 이야기되고, 그 대화를 통해 작용한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은 형식적으로 종교적 문제들에 많은 빛을 던져줄 수 있다. 존재와 비존재에 관한 모든 문제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는 (그의 ουσια πϱωτη와 δευτεϱα는 전혀 다른 것임) 존재하지 않으며, 그는 그것을 수사학에 맡기는데,[ii] 수사학이 특히 확신을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는 πιστις를 단수형으로 사용하고, 복수형으로는 πιστεις를 사용한다.[iii]
[i] 아테네 민주주의에서 모든 자유 시민은 정치적 문제에 대해 발언할 수 있었으며, 예를 들어, 시민들이 순서대로 자리를 차지한 민회에서 연단에서 발언하거나, 법정에서 시민들이 순서대로 재판관으로서 직무를 수행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이를 참조하라: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제1권, 제1장(1354b 27-31): 여기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적 연설의 우월성을 주장한다. “왜냐하면 정치적 연설에서는 문제의 본질을 벗어난 것을 제시하는 것이 덜 유익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국가 연설은 법정 연설보다 덜 기만적이고, 더 공동의 문제를 다루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여기서 판단하는 사람은 [번역가의 주석: 즉, 민중이나 원로원, 혹은 해당 문제에 대해 최종 결정을 내리는 인물 또는 인물들로, 그들에게 연설이 행해진다] 자신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때문에, 조언자가 말한 대로 사안이 그렇게 진행된다는 증거만 필요하기 때문이다.”
### 해설: 이 문장은 아테네 민주주의의 정치 구조와 관련이 있다. 그리스에서 정치적 발언은 시민의 중요한 권리였으며, 이는 민회나 법정에서 이루어졌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러한 맥락에서 정치적 연설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정치적 연설은 개인적인 문제보다 공동체와 관련된 문제를 다루며, 청중이 스스로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결정을 내리기 때문에 정직함과 타당성이 필수적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적 연설이 법정 연설보다 덜 기만적이고, 공공의 이익을 위한 발언이 되어야 한다고 설명한다. 이는 설득의 수단으로서 연설의 중요성과, 정치적 연설이 공동체 전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반영하고 있다.
[ii]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제1권 제1장(1354a 26-28)을 참조하라. 여기서 그는 법정에서 한쪽 당사자에 대해 “그 사람은 그저 대상과 관련하여 그것이 존재하는지 또는 존재하지 않는지,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또는 일어나지 않았는지만 보여주면 된다”라고 쓴다 (《수사학》 제1권, p. 12). – ουσια πϱωτη와 δευτεϱα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 제5장(2a 11ff.)을 참조하며, 여기서 그는 제1 실체와 제2 실체, 즉 주어와 필연적으로 주어에 귀속되어야 하는 술어를 구별한다. – ουσια πϱωτη: 그리스어로 첫 번째 실체를 의미한다. – δευτεϱα: 그리스어로 두 번째 실체를 의미한다.
[iii] ### 해설: 이 문장은 정치와 종교의 사회적 역할을 비교하며, 특히 기독교 사회에서 종교가 그리스에서의 정치와 유사한 자리를 차지한다고 설명한다. 이 맥락에서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이 형식적으로 종교적 문제들을 다루는 데 유용하다고 주장한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는 철학적 논의에서 존재(Being)와 비존재(Non-Being) 문제를 직접 다루기보다는, 이를 수사학의 영역으로 보냈다. 그는 수사학이 확신을 불러일으키는 기술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논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Πιστις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믿음’이나 ‘확신’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하며, 복수형 πιστεις는 ‘설득의 수단’을 의미한다.
'키르케고르 일기 및 기록물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JJ:323(Pap. VI A 38) 아이러니의 정의 (0) | 2024.09.13 |
---|---|
JJ:288(Pap. V A 98), 아리스토텔레스, 오류, 의심 (0) | 2024.09.13 |
JJ:305(Pap. VI A 17), 확률과 믿음 아리스토텔레스 (2) | 2024.09.13 |
JP I 777 (Pap. IV B 13:21) n.d., 1842-43, 의심에 대하여 (0) | 2024.09.03 |
내면성 및 주관성에 대하여 (0) | 2024.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