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토대주의
- 현상학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후기 토대주의
- 죽음에 이르는 병
- 믿음
- 칼 바르트
- 말씀은 거울이다
- 키르케고르
- 미학
- 반틸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도예베르트
- 자유주의
- 카리스아카데미
- 영원한 행복
- 내면의 감금
- 카리스 아카데미
- 말씀
- 라이프니츠
- 계시
- 말씀의 거울
- 문화 개신교
- 절망
- 시인의 실존
- 계시현상학
- 반토대주의
- 능력의 말씀
- 변증학
- 헤겔
- Today
- Total
프라우스
어거스틴, 오스카 쿨만, 키르케고르의 영원과 시간 비교 본문
어거스틴(Augustine), 오스카 쿨만(Oscar Cullmann), 그리고 키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는 모두 시간과 영원이라는 주제를 신학적이고 철학적으로 다뤘지만, 각자의 시대적, 신학적 배경에 따라 접근 방식과 강조점이 다릅니다. 이들의 관점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차이점과 공통점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참고서적:
선한용. ⟪시간과 영원⟫.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특히, 제14장 현대 사상가들과의 비교를 참고하라.
오스카 쿨만. ⟪그리스도와 시간⟫. 김근수 역. 서울: 나단 출판사. 2005.
쇠렌 키르케고르. ⟪불안의 개념⟫. 임규정 역. 서울: 한길사. 1999.
쇠렌 키르케고르. ⟪철학의 부스러기⟫. 표재명 역. 서울: 프리칭아카데미. 2007.
쇠렌 키르케고르. ⟪고난의 기쁨⟫. 이창우 역. 세종: 카리스아카데미, 2022(개정판).
1. 시간의 본질
어거스틴:
• 시간의 내면성: 어거스틴은 『고백록』 11권에서 시간을 인간의 내면적 경험으로 이해합니다. 시간은 과거, 현재, 미래라는 객관적 구조보다 인간의 의식 속에서 기억(과거), 주의(현재), 기대(미래)로 나타납니다.
• 시간은 창조된 실재로서, 하나님이 창조하신 유한한 세계의 속성입니다.
• 시간은 영원의 모방이며, 영원은 진정한 실재입니다.
쿨만: "모든 계시는 본질적으로 시간에 정박하고 있다."([그리스도와 시간], 64쪽)
• 구속사적 시간: 쿨만은 시간을 선형적 구조로 보며, 창조에서 종말까지의 구속사적 진행으로 이해합니다.
• 시간은 하나님의 구원 계획이 진행되는 역사적 틀로, 그리스도 사건이 시간의 중심에 위치합니다.
• 시간은 독립된 실체가 아니라, 하나님의 활동을 담는 무대입니다.
*참고: 구속사로 이해한다는 것은 구원론과 다릅니다. 구속사는 공동체적 이해고, 구원론은 개인적 측면의 이해입니다.(송영재, ⟪더 뉴커버넌트 신학⟫, 69쪽)
키르케고르:
• 시간의 존재론적 차원: 키르케고르는 시간을 인간 존재의 유한성과 영원의 긴장 속에서 이해합니다. 즉, 시간과 영원은 상호 보완 관계가 아니라, 일종의 대척점에 있습니다.
• 시간은 인간이 실존적 결단을 내리는 장이며, ‘영원의 순간’을 통해 인간은 신과의 관계에서 시간의 유한성을 초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순간은 대척점에 있는 이질적 시간과 영원의 종합입니다. 이런 점에서 순간은 "영원의 원자"입니다.
• 시간은 내적 투쟁과 결단의 영역으로, 현재는 실존적 변화를 이루는 결정적 순간입니다.
2. 영원의 개념
어거스틴: "하나님의 영원성은 시간을 초월한 무시간성이다."
• 영원은 하나님 자신이며, 시간의 바깥에 존재하는 완전하고 변치 않는 실재입니다.
• 영원과 시간은 질적으로 다른 차원입니다. 시간은 하나님에 의해 창조되었지만, 하나님은 시간 안에 있지 않습니다.
• 시간은 영원으로부터 흘러나왔으며, 영원 속에서 완성됩니다.
쿨만: "성서 기자가 하나님의 영원성을 말할 때 인간이 체험하고 있는 시간적 개념을 사용하여 기술할 수밖에 없었다."
• 영원은 시간을 초월하지만, 그리스도 사건을 통해 시간 속으로 들어옵니다.
• 영원은 종말론적 완성으로, 시간은 영원 속에서 궁극적으로 성취됩니다.
• 영원과 시간은 단절되지 않으며, 구속사적 관계 안에서 서로 연결됩니다. 즉, 영원이란 시간(시대)의 끝없는 연속입니다.
선한용: "따라서 쿨만이 초대 그리스도교는 무시간적인 하나님을 전혀 알지 못했다고 한 것은 해석학적인 문제가 있다."([시간과 영원], 191쪽)
키르케고르:"나무의 나이는 나이테에 의해 알려지듯, 인간의 영적 나이는 회개와 후회의 나이테에 의해 알려진다."([마음의 청결]) 즉, 키르케고르에게 후회와 회개의 운동은 시간의 운동이 아니라 영원의 운동입니다. 따라서 전도서 3장이 만물이 때와 회개와 후회의 때는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이것은 일종의 카이로스의 때이며, 순간 속의 영원입니다.
• 영원은 인간이 신과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실존적 초월성입니다.
• 영원은 시간과 단절된 것이 아니라, 시간의 한가운데에서 ‘결단의 순간’을 통해 드러납니다.
• 영원은 존재론적이며, 실존적 선택과 신앙 속에서 체험됩니다.
3. 시간과 영원의 관계
어거스틴:
• 시간과 영원은 질적으로 다른 차원으로, 시간은 유한하고 변화하며, 영원은 무한하고 변치 않습니다.
• 그러나 시간은 영원의 그림자이자 반영으로, 인간은 영원을 향해 나아가도록 창조되었습니다.
• 시간의 목적은 영원 속에서 하나님과의 교제로 완성되는 것입니다.
쿨만:
• 시간과 영원은 구속사적 긴장 속에서 연결됩니다. 영원은 시간의 바깥에 있지만, 그리스도를 통해 시간 안으로 들어왔습니다.
• 시간은 영원으로 향해 나아가며, 종말에서 영원으로 완성됩니다.
• 시간은 역사의 선형적 과정이며, 영원은 이 과정의 궁극적 목적입니다.
키르케고르: "떡갈나무를 화분에 심으면 깨지듯이, 깨지기 쉬운 인간이라는 그룻에 진리를 심을 수 있는 것일까?"[철학의 부스러기]
• 시간과 영원은 실존적 긴장 속에 있습니다. 인간은 시간 속에 있지만, 영원의 순간을 통해 초월적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즉, 시간적으로는 현재는 선으로도 표시할 수 없는 순간이지만, 인간은 이 순간 속의 영원을 경험합니다.
• 영원은 시간의 끝에서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결단과 선택에서 드러납니다.
• 시간은 유한성과 결단의 장이며, 영원은 이러한 결단 속에서 경험되는 실존적 현실입니다.
4. 그리스도의 역할
어거스틴:
• 그리스도는 영원의 하나님이 시간 속으로 들어오신 존재로, 인간이 영원으로 나아갈 길을 제공합니다.
• 영원과 시간의 연결고리는 그리스도의 성육신입니다.
쿨만:
• 그리스도는 시간과 영원을 연결하는 구속사적 중심점입니다.
• 그리스도의 성육신, 죽음, 부활은 영원이 시간 속으로 들어온 사건이며, 이를 통해 시간은 영원으로 나아가는 길을 열었습니다.
키르케고르:
• 그리스도는 시간 속에서 영원의 본질을 드러내는 존재론적 본보기입니다. 따라서 제자도가 강조됩니다.
• 인간은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을 모방하고, 이를 통해 영원의 순간을 체험하며, 하나님과의 관계(코람데오)를 확립합니다.
5. 공동체적 vs 개인적
- 어거스틴: 어거스틴은 개인적 구원뿐 아니라 교회 공동체를 강조합니다. 시간은 개인과 공동체가 함께 영원으로 나아가는 과정입니다.
- 쿨만: 쿨만은 시간과 영원의 관계를 공동체적 구속사 속에서 설명하며, 하나님의 구원 계획은 전 인류를 대상으로 합니다.
- 키르케고르: 키르케고르는 철저히 개인적 실존을 강조합니다. 시간과 영원의 문제는 각 개인이 신 앞에서 홀로 서서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
요약 비교
측면 | 어거스틴 | 쿨만 | 키르케고르 |
시간의 본질 | 인간 내면의 의식 속에 존재 | 구속사적 선형 구조 | 실존적 결단의 장 |
영원의 본질 | 변치 않는 하나님의 실재 | 종말론적 완성으로 나타나는 구속의 실재 | 신과의 관계 속에서 체험되는 초월성 |
관계 | 질적으로 단절된 두 차원 | 그리스도를 통해 조화 실존적 긴장 | 실존적 긴장, 현재 순간에 체험 |
그리스도의 역할 | 영원과 시간을 연결하는 성육신 | 구속사적 연결, 그리스도를 통해 조화 | 실존적 모델, 영원의 본질을 드러냄 |
초점 | 개인과 교회의 영원한 완성 | 구속사와 공동체의 종말론적 완성 | 개인의 실존적 결단과 신앙 |
결론
어거스틴은 시간과 영원을 철학적으로 탐구하며, 시간의 유한성과 영원의 완전성을 구분합니다. 쿨만은 시간과 영원을 역사적이고 공동체적인 구속사 속에서 이해하며, 키르케고르는 이를 실존적이고 개인적 결단의 맥락에서 설명합니다. 각자의 관점은 보완적일 수 있으며, 시간과 영원의 문제를 신학적, 철학적으로 풍성하게 조명합니다.
'성경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은 것, 기억, 그리고 하나님 나라 (0) | 2024.12.01 |
---|---|
창조, 기독교, 그리스철학, 고대근동의 차이 (2) | 2024.11.26 |
언약적 사랑과 의무의 사랑 (0) | 2024.11.23 |
완전한 동일성, 부분적 동일성; 부활한 몸에 대한 조직신학적 고찰 (1) | 2024.11.16 |
구약에서의 불멸의 교리에 관한 고찰, Not1:6에 대한 해설 (0) | 2024.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