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터는 성경 한 권만을 들고 나아갔다” (Luther traadte frem … ene med Bibelen)
키르케고르가 언급한 **“루터가 성경 한 권만을 들고 나아갔다”**는 표현은, 1521년 4월 **보름스 국회(Rigsdag i Worms)**에서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가 신앙을 변호하며 황제 카를 5세 앞에 섰던 장면을 가리킨다. 이 사건을 묘사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덴마크 역사화가 아담 뮐러(Adam A. Müller)의 **《보름스 국회에서의 루터(Luther paa Rigsdagen i Worms)》**가 있다.
이 그림에서 루터는 한쪽 팔에 커다란 성경을 들고, 황제 앞에서 신앙을 주장하고 있다. 이 작품은 1836년 종교개혁 300주년 기념을 위해 주문되었으며, 1838년에 완성되어 코펜하겐의 성령교회(Helligåndskirken)에 걸렸다.
키르케고르의 의미 – “나도 오직 신약성경 한 권만을 들고 나아갈 수 있다”
키르케고르는 루터의 이 장면을 빗대어, 자신이 기독교의 위기를 논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그는 말한다.
“루터가 보름스 국회에 나아갔듯이, 나도 오직 신약성경(N.T.) 한 권만을 들고 나아갈 수 있다.”
그리고 그는 **“가장 단순한 기독교적 삶의 원칙”**을 제시하며, 각 사람에게 이렇게 묻겠다고 한다.
“너는 이것을 최소한 어느 정도라도 실천한 적이 있는가?” “그렇지 않다면, 네가 감히 교회를 개혁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즉, 키르케고르는 기독교를 개혁하려는 사람들에게 스스로 기독교적 실천을 얼마나 수행했는지를 먼저 성찰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이처럼 그는 기독교의 개혁이 제도적 변화가 아니라, 개개인의 실존적 변화에서 시작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키르케고르 일기 및 기록물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B23:130, Pap. X4 A134, 율법과 복음의 상호 관계 – 이레니우스(Irenæus)의 해석 (0) | 2025.02.04 |
---|---|
NB23:129, Pap. X4 A133, 이레니우스(Irenæus)의 해석 (0) | 2025.02.04 |
NB23:30, Pap. X4 A 30, 해설: 교회 개혁의 문제 (2) | 2025.02.04 |
NB23:22, “오래된 정통주의자들 – 덴마크의 유일한 참된 기독교인” (0) | 2025.02.04 |
NB23:22, “교회가 먼저 자유로워지면, 우리는 더 나아질 것이다” – 키르케고르의 비판과 루델바흐의 논지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