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바르트와 반틸 비교 반틸의 형이상학적 존재이해 반틸은 과거지향적 전통의 형이상학의 영역에 남아 있다. 그는 철저하게 절대적 자명성과 확실성을 형이상학적 가치로 확인하고, 그러한 존재 영역에 대한 확신이 없이는 기독교 계시의 현실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사유는 자연신학을 하나님의 존재의 확실성에 기초한 논리적 반성의 결과로서 받아들이도록 한다. 즉, 이 자연세계에서 하나님의 존재를 확증하고 인정하게 되는 것은 하나님이 이 세계를 구성한 형이상학적 실체이기 때문이다. 사실 이러한 선택 앞에서 우리는 무엇이 더 옳은 것인지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무엇이 더 현실적인 것인지를 각자의 취향에 맞추어서 설명해야 할 것이다. 참고로 판넨베르크는 하이데거류의 존재이해보다 형이상학적 언어가 더 신앙적 표상을 나타내는 데에 적합한.. 더보기 신정통주의 칼 바르트 이해 1. 칼 바르트의 현실 이해-계시현상학적 존재이해 한국의 많은 크리스천들이 많은 사람들이 바르트의 성서론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낸다. 그들의 일반적 비판은 바르트가 성서를 문자적으로 하나님의 말씀과 일치시키지 않고, 성서라는 문서에 성령의 감동이 있을 때에만 성서가 하나님의 말씀이 된다고 가르친다는 것이다. 마치 바르트가 글로써의 문자를 무시하고 형이상학적 논리를 중시하는 내면의 음성주의자인 것처럼 행동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비판은 보수주의자들이 이미 "문자-영"의 내적인 말과 외적인 말 등 이항 대립적 형이상학적 구도를 전제로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바르트의 성서이해는 오히려 이러한 이항 대립적 형이상학의 전제를 극복하고 하나님의 말씀이 현실로 등장하는 차원의 게시적 현실이해를 깆.. 더보기 헤르만 도예베르트 헤르만 도예베르트(Herman Dooyeweerd, 1894년 10월 7일 -1977년 2월 12일)는 네덜란드 법학자 그리고 철학자이며 법이념 철학사상(Philosophy of the Cosmonomic Idea)[1]를 디르크 볼렌호븐(Dirk Vollenhoven)과 함께 창안하였다.[2] 도예베르트는 일상 경험에서의 다양성과 일관성, 이론적 사상의 초월적 조건들, 종교, 철학과 과학 이론 간의 관계성, 그리고 의미, 존재, 시간과 자아에 대한 이해와 관련된 철학 및 기타 학문 분야에 여러 공헌을 했다. 도예베르트는 현실이 존재하고, 의미가 있고, 경험되고, 발생하는 15개의 관점 (또는 양상들, 또는 양상 관점 또는 양상의 법 영역)으로 아주 유명하다. 이 관점들은 환경, 지속성, 농업, 비즈니스.. 더보기 헤겔 예술, 종교, 철학 플라톤의 이데아는 중세 시대 '신의 말씀'으로 탈바꿈한다. 중세 미학은 신의 말씀이라는 정신 세계의 원형을 탐구하여 창작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미'라고 보았다. 초기 기독교는 교리 체계가 매우 엉성했기 때문에 자신들의 세계관을 구축 하기 위해서 플라톤을 활용했다. 중세 미학은 주관적 차원의 느낌을 배제하고 사물 너머의 본질을 추구했다. 이는 플로티누스의 미학을 계승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중세의 미학은 상징과 관련이 있다. 일종의 도상학이다. 자연 세계의 모방은 '눈에 보이는 대로' 나타내지 않는다. 다만, 자연은 '신의 말씀'을 드러내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따라서 중세 미학이란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신의 말씀을 이 땅에 표현하는 도구가 되었다. 이것이 헤겔이 말한 상징적 예술의 형식이다. 상징적.. 더보기 라이프니츠 라이프니츠: 이보다 더 좋은 세계는 없다. 들어가는 말 현재의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에서 드러나는 것 중 하나가 악이다. 악은 가능한 세계 중에서 최상의 세계를 만들어도 피할 수 없는 결함이다. 다시 말하면 부족함이라고 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 불완전할 수밖에 없는 것을 악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형이상학적인 악이라고 한다. 형이상학적 악이 우리 세계 안에서 물리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악이다. 그리고 그것이 인간과 연결되어서 하나님과의 관계성에서 나타나는 것이 도덕적 악이다. 또한 인간이 인간에게 행하는 윤리적인 고통, 고난, 인간이 인간에게 전가하는 고통을 윤리적 악이라고 부른다. 이것이 우리가 다루어야 할 악이라고 부른다. 하나님께서 세상을 가장 아름답게 만드신다면, 신의 조화 가운데 세상이 존재한다면, .. 더보기 이전 1 ···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