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절망
- 계시현상학
- 칼 바르트
- 라이프니츠
- 헤겔
- 후기 토대주의
- 능력의 말씀
- 내면의 감금
- 영원한 행복
- 카리스 아카데미
- 변증학
- 말씀
- 문화 개신교
- 키르케고르
- 반토대주의
- 토대주의
- 믿음
- 미학
- 말씀은 거울이다
- 죽음에 이르는 병
- 시인의 실존
- 계시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말씀의 거울
- 자유주의
- 도예베르트
- 카리스아카데미
- 현상학
- 반틸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02)
프라우스
현대 신학에서 부활체의 완전한 동일성(identitas totalis)과 부분적 동일성(identitas partialis)에 대한 논의는 주로 신체와 정체성, 부활의 본질, 그리고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라는 세 가지 큰 축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 논의는 다양한 철학적, 신학적 입장에 따라 다르게 표현됩니다. 1. 완전한 동일성 (Identitas Totalis)완전한 동일성의 관점에서는 부활체가 현재의 몸과 완전히 동일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성경의 문자적 해석과 연관되며, 특히 고린도전서 15장의 “죽은 자의 부활”에 대한 바울의 설명에 근거합니다. 주요 주장: • 몸과 영혼의 통합: 부활체는 현재 몸의 완전한 연속성이며, 동일한 물질적 본질을 가진다고 봅니다. • 정체성 보존: 현재의 몸이 ..
육체의 부활(Resurrection of the Body)은 기독교 신학에서 중요한 주제이며, 현대 신학에서도 활발히 논의되고 있습니다. 테르툴리아누스와 같은 초기 교부들의 입장과는 달리, 현대 신학적 논쟁은 성경적, 철학적, 과학적 관점에서 다양하게 접근합니다. 다음은 최근 논쟁에서 주목할 만한 쟁점들과 논의의 흐름입니다. 1. 육체 부활의 의미와 본질 • 물리적/유물론적 부활: 육체 부활을 문자 그대로 물리적 몸이 다시 살아나는 사건으로 이해하는 관점. 테르툴리아누스와 교부들의 전통적인 관점을 이어받아, 하나님께서 죽은 몸을 새롭게 창조하신다고 봅니다. • 옹호: • 성경적 근거(예: 고린도전서 15장)는 “썩을 것이 썩지 않을 것으로 다시 살아난다”고 말하며, 부활이 실제로 물리적 사건임을 암시. ..
테르툴리아누스는 육체의 부활을 강하게 긍정하고 옹호했습니다. 그의 저서 de resurrectione carnis에서 그는 육체의 부활에 대한 기독교적 교리를 철저히 변호하며, 이를 부정하는 이단들, 특히 영혼의 불멸만을 강조하거나 육체의 가치를 폄하했던 그노시스주의자들의 견해에 반대했습니다. 테르툴리아누스의 주요 주장 1. 창조에 대한 신학적 근거테르툴리아누스는 육체가 하나님에 의해 창조되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선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육체는 영혼과 함께 구속받아야 하며, 부활 때에도 영혼과 재결합될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2. 그리스도의 부활과의 연결그는 그리스도의 육체적 부활을 기독교 신앙의 핵심 증거로 제시하며, 모든 신자들도 그리스도를 본받아 육체로 부활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3. 정의와..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Johann Gottlieb Fichte)는 불멸성에 대한 사유를 그의 철학적 체계와 윤리적 관점에서 접근했습니다. 피히테는 칸트의 초월적 철학을 바탕으로 인간의 자유와 실천적 이성을 중심으로 자신의 철학적 입장을 전개했으며, 불멸성에 대한 그의 논의는 주로 윤리적 실천과 인간 존재의 목적론적 의미와 연결됩니다. 1. 불멸성과 실천적 이성피히테는 인간의 실천적 삶과 도덕적 행위가 불멸성의 근거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인간의 이성적 실천이 도덕적 법칙을 따르려는 끊임없는 의지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덕적 노력이 단순히 한 개인의 유한한 삶으로 끝날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불멸성은 인간이 도덕적 완성으로 나아가야 하는 본성적 목적과 연결됩니다. 2. 주관성과 초월적 관점피히테의 철..
키르케고르의 노트 Not1:6의 25절에 대한 해설키르케고르의 말대로 구약이 불멸(immortality)에 대한 명시적이고 완전한 교리를 제시하지 않는다는 주장은 어느 정도 사실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구약 성경이 다루는 문맥과 주제의 차이에 기인합니다. 아래에서 이를 분석하고, 키르케고르의 견해를 바탕으로 해석해 보겠습니다. 1. 구약의 불멸에 대한 암시구약 성경에는 명시적인 “불멸” 교리가 확립되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은 암시적 언급들이 존재합니다: • 시편과 전도서에서의 영혼 개념예를 들어, 전도서 12:7에서는 “흙은 여전히 땅으로 돌아가고, 영은 하나님께로 돌아간다”고 기록하며, 인간 존재의 이원성을 제시합니다.시편 16:10에서는 “주는 내 영혼을 스올에 버려두지 아니하시며”라는 구절..
DD:6, 32EE:74, KK:2, 마카비와 관련된 글, Not1:6, 여백에서;dDaniel 12:2: Your people shall be delivered, all those who are written in the book, and many who sleep beneath the earth will awaken, some to eternal life, others to eternal shame and contempt. 2 Macc 7:9,10,11,14,23. The story of the 7 sons, one of whom says: [“]My hope is that these limbs will all be restored to me, but for you (Antiochus) there w..
키르케고르의 비가시적 교회 개념은 개혁주의 교회론의 우주적 교회(catholic church or invisible church)와 흥미로운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두 개념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점도 존재합니다. 이 둘의 비교를 통해 각각의 독특한 신학적 기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공통점: 비가시성과 초월적 교회의 강조 (1) 보이는 교회와 비가시적 교회의 구분 • 개혁주의 교회론: 개혁주의는 보이는 교회(visible church)와 보이지 않는 교회(invisible church)를 구분합니다. 보이는 교회는 역사적이고 가시적인 제도와 공동체를 포함하며, 보이지 않는 교회는 선택받은 성도들의 초월적이고 영적인 공동체로 이해됩니다. • 키르케고르: 키르케고르의 비가시적 교회는 제도적이고 형식적인..
키르케고르의 비가시적 교회 개념은 그가 말하는 **동시성(Samtidighed)**과 깊이 연결되며, 이를 통해 내면적이고 실존적인 신앙 경험의 장으로서의 교회가 형성됩니다. 당신이 지적한 대로, 비가시적 교회는 동시성이 시작되는 장소이며, 이는 외적인 제도나 가시적인 구조에 의존하지 않는 내면적이고 영적 공동체를 의미합니다. 1. 비가시적 교회와 동시성키르케고르의 사상에서 교회란 단순히 가시적이고 제도적인 조직이 아닙니다. 그는 교회를 하나님과의 실존적 만남이 이루어지는 내적 공간으로 이해합니다. 이 관점에서 동시성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비가시적 교회를 형성합니다. (1) 동시성과 내적 교회 • 동시성은 역사적 예수와 신앙인의 현재적 관계를 강조합니다. • 비가시적 교회는 각 신앙인의 내면에서 그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