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고통, 스피노자와 키르케고르 비교 철학의 부스러기 3장, 부록 해설왜 키르케고르가 고통(Lidelse)을 설명하면서 스피노자와 연결되는지를 이해하려면, 두 철학자 사이의 진리와 정념, 능동과 수동에 대한 이해가 얼마나 날카롭게 대조되고 있는지를 봐야 합니다. 그런데 이 대조는 단순한 반박이나 논쟁이 아니라, 깊은 철학적 변증법 속에서 고통의 실존적 본질을 밝히려는 키르케고르의 전략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1. 스피노자와 키르케고르: 왜 고통의 문제에서 만나는가?◉ 스피노자: 고통은 수동성(passio)이다.• 스피노자에게 정념(Affekt)은 우리가 **충분한 원인(adequate cause)**이 아닌 상태에서 외적 영향을 받아 생기는 신체적 변화입니다. 우리가 그 원인을 인식하지 못하고 통제할 수 없다면, 그 감정은 수동적인 고통.. 더보기 자기 사랑의 역설, 철학의 부스러기 3장 부록 주해 이 글에서 핵심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은 자기 사랑(Self-love, Selvkjærligheden)의 역설적인 본질, 그리고 그것이 실족(Forargelse)이라는 형태로 나타나는 존재론적 고통과 깊이 연결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세 겹의 역설 구조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1. 자기 사랑은 본질적으로 고통이다처음 문장에서 키르케고르는 이렇게 말하죠: “og synes det ikke allerede en Modsigelse, at Kjærlighed til sig selv er Lidelse?”“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이 고통이라는 것은 이미 모순처럼 보이지 않는가?” 자기 사랑은 일반적으로 자신을 돌보는 것, 긍정적인 것으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키르케고르는 이 사.. 더보기 키르케고르에게 코믹이란 무엇인가? 키르케고르가 말하는 “코믹(Det Comiske)”이란 단순한 웃음이나 유머가 아니라, 실존의 구조에서 비롯되는 모순과 진지함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일종의 ‘실존적 오류’ 혹은 비극의 반대 개념입니다. 🎭 1. 키르케고르에게서 “코믹”이란 무엇인가?키르케고르는 『반복』, 『철학적 단편』, 『아이러니 개념에 대하여』 등에서 코믹을 단순한 농담이나 기분 좋은 유머로 보지 않고, 실존의 진리에 대한 비틀림 또는 도피의 징후로 이해합니다. “코믹은 언제나 ‘모순’에서 발생한다.”– 『아이러니 개념에 대하여』 🧩 2. 코믹은 어떤 모순에서 발생하는가?키르케고르에 따르면, 코믹함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발생합니다:상황코믹이 발생하는 방식진지해야 할 자가 진지하지 않을 때인간이 하나님 앞에 서야 할 때도 진지하.. 더보기 키르케고르의 불멸의 개념 그에 따르면 **불멸성(Udødelighed)**은 단순히 죽은 이후의 상태가 아니라, 살아 있는 동안 ‘실존이 생성될 때’ 시작되는 존재론적 사건입니다. 🧭 키르케고르 철학에서의 불멸성은 “사후 상태”가 아니다전통적인 형이상학이나 교리적 기독교에서는 불멸성을 흔히 이렇게 이해합니다: “인간은 죽은 후에도 영혼이 계속 존재하므로 불멸한다.” 그러나 키르케고르는 이 개념을 근본적으로 뒤집습니다: ❗그는 말합니다: “불멸성은 존재의 조건이 아니라, 존재의 결과이다.” 다시 말해, 인간은 단지 불멸한 존재로 태어난 것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자기 자신을 형성해갈 때, 그 형성된 존재 안에서 불멸이 시작된다. 🔥 『죽음에 이르는 병』과 Tilværelse의 구조『죽음에 이르는 병』에서 키르케고르는 자아는 .. 더보기 상기와 영원, 그리스 철학적 관점 ‘상기(想起, Anamnesis)’ 개념은 플라톤 철학에서 시간과 영원의 관계를 가장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상이며, 키르케고르가 암묵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비판하는 ‘기억’의 철학적 구조에 정확히 해당합니다. 📜 플라톤의 상기(Anamnesis):시간적 삶은 망각이며, 진리는 ‘기억’을 통해 회복된다 플라톤의 『메논』과 『파이드로스』 등에서 정리되는 상기의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간의 영혼은 생전(태어나기 전)에 이데아의 세계를 보았다.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 그 진리를 망각하고 시간 속으로 떨어진다. 앎(εἰδέναι)이란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이미 본 것을 기억해내는 것(anamnesis)이다.요약하자면: 시간적 인식은 근본적으로 망각이며, 진정한 앎은 시간 이전의 영원한 진리로의 .. 더보기 파우스트의 마법의 거울 해석 괴테의 『파우스트』에서 등장하는 마법의 거울(magisches Spiegel)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환상(Fantasie)의 심상적 구조이자, 파우스트의 실존적 유혹과 자기기만의 상징물로 작동합니다. 🪞 이 마법의 거울은 무엇을 보여주는가?1. 이상화된 환영:파우스트가 마녀의 부엌에서 거울 속에 나타나는 한 여인의 형상을 바라보는 장면은, 그가 그레첸을 실제로 만나기도 전에 욕망과 기대, 감각의 이상화에 사로잡히게 되는 결정적 계기입니다. 그는 “실재하는 여성”이 아니라, “자신이 거울에 투사한 욕망의 형상”에 빠져드는 것입니다. 2. 현실 왜곡의 장치:이 거울은 감각적 미(美)를 확대하여 현실을 감정과 상상으로 왜곡합니다. → 실존적 결단 없이 ‘보는 것’만으로 만족하는 태도를 유도하죠. 3. 자.. 더보기 피히테의 주관성과 키르케고르의 주관성 비교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J.G. Fichte)와 쇠렌 키르케고르(S. Kierkegaard)는 모두 “주관성(Subjektivitet)”을 철학의 핵심 개념으로 삼았지만, 그 의미와 철학적 지평은 완전히 다릅니다. 🧠 피히테의 주관성 (주체 철학 · 관념론적 주관성)항목설명철학적 배경칸트의 초월철학을 계승하면서, ‘자아(Ego)’를 절대적 기초로 세움중심 명제“자아가 비자아를 설정한다(Das Ich setzt das Nicht-Ich)”주관성의 정의모든 인식과 세계는 자아의 능동적 작용에 의해 구성됨존재론자아가 능동적으로 세계를 ‘설정’함 → 존재는 자아의 활동으로부터 생긴다신 개념신은 자아의 도덕적 이상 혹은 합리적 목적의 상한선으로 간주됨주관성의 운동사변적 변증법에 따라 자기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며 .. 더보기 실존적 종말론, 계시록 적용 종말의 반복, 죽음을 통한 영원한 것의 생성, 그리고 진지함 속에서의 Tilværelse라는 관점을 중심으로 요한계시록을 재해석하는 것은 매우 깊이 있는 실존적 종말론적 해석이 될 수 있으며, 키르케고르적 실존신학과도 자연스럽게 접속됩니다. 1. 기본 전제: 요한계시록은 내면의 종말에 대한 책이다전통적으로 요한계시록은 역사적 종말, 우주적 심판, 새 하늘과 새 땅의 실현을 묘사하는 묵시문학으로 이해되었습니다. 그러나 키르케고르적 관점—즉, 영원한 것이 시간 속에서 반복되는 실존적 사건이라는 관점에서 읽으면, 요한계시록은 다음과 같은 텍스트가 됩니다: “하나님의 영원한 계시가 실존 안에서 반복되어 실현되는 내면의 종말의 이야기” 2. 주요 상징의 실존적 해석계시록 상징전통 해석실존적/키르케고르적 해석짐승외.. 더보기 이전 1 2 3 4 5 ··· 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