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프 멜란히톤(Philipp Melanchthon)과 빅토린 스트리겔(Victorinus Strigel) 사이의 논쟁은 루터교 내에서 일어난 자유 의지와 인간의 구원에 대한 논쟁이 중심이었다. 이 논쟁은 멜란히톤 사후에도 루터교 신학에서 중요한 이슈로 남았으며, 인간의 구원에서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의지가 어떤 관계를 맺는지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을 보여준다.
### 1. 배경
멜란히톤은 루터의 후계자로, 루터교 신학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지만 루터의 사후, 멜란히톤이 점차 자유 의지와 관련된 문제에서 루터의 엄격한 관점을 수정하려 했다는 비판을 받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멜란히톤의 신학은 일부 루터교 신학자들과 충돌하게 되었으며, 스트리겔은 멜란히톤의 사상을 이어받아 더 명확하게 자유 의지와 은혜의 관계를 논의하게 된다.
### 2. 핵심 논쟁: 자유 의지와 구원
멜란히톤과 스트리겔의 논쟁의 핵심은 인간의 자유 의지와 하나님의 은혜가 구원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에 대한 질문이었다.
- 멜란히톤의 입장: 멜란히톤은 루터가 강조한 전적 타락과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에 대해 비교적 더 온건한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그는 인간이 전적으로 타락했지만, 하나님의 은혜로 인해 인간의 자유 의지가 회복되어 하나님의 구원에 응답할 수 있다고 보았다. 멜란히톤은 인간의 의지가 하나님의 은혜에 의해 일종의 협력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는 하나님이 구원의 주체이지만, 인간도 그 구원에 응답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보는 **약한 형태의 협력주의**로 해석될 수 있다.
- 스트리겔의 입장: 스트리겔은 멜란히톤의 신학적 입장을 더 발전시켜, 인간의 자유 의지가 구원에서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간의 의지가 전적으로 타락하지 않았으며, 인간이 구원의 과정에서 하나님의 은혜에 협력할 수 있다고 보았다. 스트리겔은 **자유 의지**의 역할을 강조했으며, 인간이 구원의 초대에 응답할 능력이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이는 인간이 스스로 구원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하나님의 은혜에 의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 3. 상대 입장의 비판
- 루터파의 비판: 루터파의 정통 신학자들은 멜란히톤과 스트리겔의 입장을 비판했다. 이들은 인간의 의지가 전적으로 타락했으며, 인간은 스스로 구원을 향해 아무런 움직임도 할 수 없다고 보았다. 따라서 그들은 인간이 구원에서 하나님의 은혜 외에 어떤 역할을 한다는 주장을 거부하고, 구원이 전적으로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에 달려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단독적 구원론(Monergism)의 입장이며, 루터교의 전통적 입장이다.
- 스트리겔의 입장에 대한 추가 논쟁: 스트리겔의 자유 의지에 대한 강조는 루터교 내에서 극단적이라는 비판을 받았으며, 그 결과 그는 교회 내에서 많은 반대에 직면했다. 이 논쟁은 이후 루터교의 신학적 일치신조서에서 정리되었고, 루터교는 인간의 구원이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로 이루어진다는 단독적 구원론을 다시 확립하게 된다.
### 4. 결과와 영향
멜란히톤과 스트리겔의 논쟁은 결국 루터교 신학에서 중요한 문제로 남아, 일치신조서(Formula of Concord)에서 자유 의지와 구원에 대한 명확한 정리가 이루어니다. 일치신조서는 인간이 타락으로 인해 자유 의지를 상실했으며, 오직 하나님의 은혜를 통해서만 구원이 가능하다고 명확히 했다. 이는 멜란히톤과 스트리겔의 협력주의적 입장에 대한 반대 입장이었다.
### 요약
- 멜란히톤: 하나님의 은혜가 인간의 의지를 회복시켜, 인간이 구원의 초대에 응답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구원에서 인간의 협력 가능성을 열어두는 입장이었다.
- 스트리겔: 멜란히톤의 입장을 더 나아가 자유 의지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장하며, 인간이 하나님의 구원에 협력할 수 있다고 믿었다.
- **비판: 전통적인 루터파 신학자들은 이 입장을 거부하고, 구원이 오직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로만 이루어진다고 주장했으며, 이 논쟁은 일치신조서에서 명확하게 정리되었다.
이 논쟁은 루터교 내에서 인간의 자유 의지와 구원에 대한 중요한 신학적 논의를 촉발시켰으며, 이후에도 루터교 신학의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