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능력의 말씀
- 죽음에 이르는 병
- 절망
- 내면의 감금
- 말씀의 거울
- 자유주의
- 헤겔
- 카리스아카데미
- 말씀
- 라이프니츠
- 키르케고르
- 반틸
- 카리스 아카데미
- 시인의 실존
- 계시
- 도예베르트
- 현상학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미학
- 계시현상학
- 말씀은 거울이다
- 토대주의
- 반토대주의
- 변증학
- 문화 개신교
- 후기 토대주의
- 믿음
- 칼 바르트
- 영원한 행복
- Today
- Total
프라우스
자아의 개념, 칸트, 피히테, 쉘링, 헤겔 본문
◄ det empiriske Jeg (…) det rene Jeg-Jeg:
이 주석은 독일 관념론 철학에서 **“경험적 자아(empirische Ich)”**와 **“순수 자아(das reine Ich-Ich)”**의 개념에 관한 논의를 설명합니다. 이는 칸트, 피히테, 쉘링, 헤겔 등 독일 관념론 철학자들의 핵심 개념을 다룹니다.
1. 칸트(Kant)의 자아 구분
• 경험적 자아(empirische Ich): 개인의 경험과 감각을 통해 나타나는 자아로, 시간과 공간 속에서 인식되는 현상적 자아입니다.
• 초월적 자아(transzendentale Ich):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선험적 조건으로, 칸트에게는 형식적 한계 개념입니다. 이는 경험적 자아를 초월하여 인식 작용을 가능케 하지만, 그 자체로는 인식될 수 없습니다.
2. 피히테(Fichte)의 “순수 자아-자아(das reine Ich-Ich)”
• 피히테는 칸트의 초월적 자아 개념을 발전시켜, **“순수 자아-자아”**를 철학의 기초로 제시했습니다.
• 순수 자아는 스스로를 사유하며 동시에 스스로를 창조하는 자기 반성적(self-reflective) 구조로 이해됩니다.
• 이는 철학의 궁극적 토대이며, 경험적 자아와 객관 세계를 구성하는 **창조적 활동(creative activity)**의 근원입니다.
주요 특징:
1. 자기 생성(self-positing): 순수 자아는 스스로를 사유함으로써 존재하며, 이를 통해 자신을 창조합니다.
2. 경험적 자아와 세계의 조건: 순수 자아는 경험적 자아와 외부 세계의 존재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입니다.
3. 신성(divinity): 피히테에게 순수 자아는 절대적이고 신적인 본질을 지닙니다.
3. 쉘링(Schelling)과 헤겔(Hegel)의 발전
• 쉘링: 피히테의 순수 자아 개념을 발전시켜, 주체-객체의 동일성(subjekt-objekt)의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자아와 세계의 통일성을 강조합니다.
• 헤겔: 피히테와 쉘링의 사유를 더 발전시켜, **절대 정신(Absolute Geist)**의 개념을 확립했습니다.
• 헤겔에게 절대 정신은 자아와 세계, 주체와 객체를 통합하며, 역사와 현실 속에서 자기 실현을 이루는 과정입니다.
• 이러한 절대 정신은 개인적 자아를 넘어선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의식을 나타냅니다.
4. 키르케고르의 관점
• 키르케고르는 독일 관념론에서 **“순수 자아”와 “절대 정신”**이 지나치게 추상적이고 체계적이라고 보았습니다.
• 그는 피히테와 헤겔의 체계가 구체적이고 실존적인 개인의 삶과 선택을 간과한다고 비판했습니다.
• 특히, 키르케고르는 실존적 자아를 강조하며, 개인이 시간성과 영원성, 유한성과 무한성 사이의 긴장 속에서 자기 자신을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5. 결론
독일 관념론에서 **“경험적 자아”**와 **“순수 자아”**의 구분은 철학의 근본 원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피히테는 “순수 자아”를 모든 존재와 인식의 근원으로 보았으며, 이는 철학의 기초로 간주되었습니다.
• 그러나 키르케고르는 이러한 추상적 체계를 비판하며, 개별적이고 실존적인 자아를 강조했습니다. 그는 자아의 형성을 철학적 체계가 아니라 신앙과 선택을 통해 이루어지는 실존적 과정으로 이해했습니다.
'철학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복된 입장, 278 (0) | 2024.12.26 |
---|---|
주교 뮌스터, 모순 원칙의 철폐, 278 (0) | 2024.12.26 |
“칼룬보르 연대기, 또는 검열의 기원(Kallundborgs Krønike, eller Censurens Oprindelse)” 278 (0) | 2024.12.26 |
모순, 선택의 문제, 덴마크어 278 (1) | 2024.12.26 |
모순, 헤겔에 대하여, 덴마크어 278 (0) | 202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