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적 기만(akustisk Bedrag)”은 Philosophiske Smuler와 관련된 문맥에서, 실족(forargelse)과 역설(paradoxet) 사이의 관계를 예리하게 드러내는 상징적 표현이다.
🔍 질문 정리:
“청각적 기만”이란 표현에서,
• 역설이 기만인가?
• 실족이 기만인가?
• 아니면 실족이 역설을 잘못 듣는 기만인가?
→ 정답은 세 번째입니다.
“청각적 기만”이란, 실족한 자가 들은 것은 자기가 들은 것이 아니며, 실은 역설이 ‘자기 안에서 울려 퍼진 것’일 뿐인데, 그걸 바깥에서 들은 것으로 착각하는 것을 말합니다.
📜 출처: Philosophiske Smuler (Philosophical Fragments)
다음은 해당 구절의 요지:
“Forargelsen … lyder andenstedsfra, ja fra den modsatte Kant, men det er dog Paradoxet som gjenlyder i den—og dette er jo et akustisk Bedrag.”
번역:
“실족은 다른 데서, 아니, 반대편에서 들려오는 것처럼 들린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것 안에서 메아리치는 것은 역설이다. 그리고 이게 바로 청각적 기만이다.”
🧩 구조 분석:
◉ 1. 역설은 실존 안에서 울린다 (내적 발화)
• 역설(paradoxet)은 단순히 외부에서 주어지는 정보가 아님.
• 그것은 내 존재 안에 침투해 나를 흔드는 진리의 발화임.
◉ 2. 실족은 그것을 외부의 공격으로 오해한다 (외적 수용)
• 실족한 자는 그 역설을 외부에서 나를 비판하거나 괴롭히는 말처럼 듣는다.
• 그는 말한다: “이건 나를 비난하고 모욕하는 것이다.”
• 하지만 실은 그 모욕처럼 들리는 말은 내 안에서 울려 퍼진 진리의 메아리이다.
◉ 3. 이 오해가 바로 ‘청각적 기만’이다
• 나는 내 안에서 들리는 역설을, 바깥에서 들려오는 모욕으로 듣는다.
• 이것이 바로 **청각적 착각(akustisk Bedrag)**이다.
🕊 예시로 설명하면:
예수가 말한다:
“나는 생명의 떡이다.” “나는 하나님이다.”
→ 이 말을 들은 사람들 중 어떤 이는 믿고, 어떤 이는 실족한다.
• 믿은 자는 이 말을 존재 깊숙이 받아들이고, 그 역설이 자기를 찢고 다시 세우는 것을 경험한다. → 이건 ‘내면에서 들린 말’이다.
• 실족한 자는 그 말을 외부로부터 오는 신성 모독, 자기 공격, 무리한 주장으로 듣는다.→ 그는 그것을 ‘청각적으로’ 오해했다.
📘 요약 정리:
항목 | 설명 |
역설 | 존재 안에서 울려 퍼지는 진리의 음성 (영원의 침투) |
실족 | 그 음성을 외부의 공격으로 오해하는 반응 |
청각적 기만 | 역설을 자기 안의 음성으로 듣지 못하고, 바깥의 모욕으로 착각하는 것 |
결과 | 존재의 진리로 나아가는 문이 닫히고, 방어와 저항이 시작됨 |
✍️ 정리된 한 문장으로 표현하면:
“실족은 역설을 바깥에서 들은 것처럼 착각하는 내면의 왜곡이며, 그 오해는 바로 ‘청각적 기만’이다. 그러나 실제로 역설은 나의 실존 안에서, 진리로 나를 부르고 있었던 것이다.”
'철학 >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간의 결단은 어리석은 것, 해설 (0) | 2025.04.05 |
---|---|
실족한 자가 자기의 본성에 따라 말하지 않는 이유 (0) | 2025.04.05 |
고통에 대한 관점, 스피노자, 프랭클, 키르케고르 (0) | 2025.04.04 |
고통, 스피노자와 키르케고르 비교 (0) | 2025.04.04 |
자기 사랑의 역설, 철학의 부스러기 3장 부록 주해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