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도예베르트
- 토대주의
- 변증학
- 죽음에 이르는 병
- 능력의 말씀
- 말씀의 거울
- 후기 토대주의
- 시인의 실존
- 내면의 감금
- 믿음
- 칼 바르트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절망
- 키르케고르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계시현상학
- 반토대주의
- 미학
- 문화 개신교
- 카리스 아카데미
- 영원한 행복
- 현상학
- 반틸
- 말씀은 거울이다
- 라이프니츠
- 헤겔
- 자유주의
- 카리스아카데미
- 말씀
- 계시
- Today
- Total
프라우스
NB:79 (Pap.VII1 A192), n.d., 1846 본문
NB:79 (Pap.VII1 A192), n.d., 1846
루터가 말한 것은 탁월하다. 필요한 한 가지, 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즉, 저 교리 전체(속죄와 근본적으로 기독교 전체에 대하여)는 고통스러운 양심의 싸움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는 것이다. 고통스러운 양심을 없애 버리라. 그러면 당신은 교회 문을 닫고 댄스홀로 바꿀 수 있을 것이다. 고통스러운 양심은 기독교를 이해한다. 따라서 당신이 돌멩이 한 개와 빵 한 개를 동물 앞에 놓으면, 동물은 배가 고프다는 것을 이해한다. 즉, 동물은 그것들 중에 하나를 먹어야 하고 다른 하나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안다. 따라서 고통스러운 양심도 기독교를 이해한다. 먹기 전에 먼저 배고프다는 궁핍(necessity)을 입증해야 한다면, 자, 그때 미식가가 될 것이다.
그러나 당신은 다음과 같이 말할 것이다. “아직 속죄를 이해할 수 없군요.” 여기에서 나는 어떤 의미에서 묻지 않을 수 없다. 이것은 고통스러운 양심의 의미에서 인가, 아니면 무관심하고 객관적 사변(speculation)의 의미에서 인가? 누군가 앉아서 연구하기를 원한다면, 차분하고도 객관적으로 사색하기 원한다면(speculating), 그는 어떻게 속죄의 궁핍(necessity)을 이해할 수 있겠는가? 속죄는 고통스러운 양심의 의미에서만 필요하기 때문이다. 먹을 필요가 없이 사는 것이 사람의 능력 안에 있다면, 먹어야 할 필요(궁핍, necessity)을 이해할 수 있는가? 배고픈 사람이 그렇게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을 그는 과연 이해할 수 있는가? 그래서 속죄는 영적으로 존재한다. 사람은 속죄를 불필요하게 만드는 무관심을 얻을 수 있다. 자연인은 정확히 이런 상태에 있다. 그러나 이런 상태에 있는 사람이 속죄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겠는가? 따라서 인간이 어떻게 죄 아래 있는지를, 고통스러운 양심은 배고파하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과정에서 오는 것이 아님을 계시를 통해서 배워야 한다고 말할 때, 그는 매우 일관적이다.
What Luther says is excellent, the one thing needful and the one explanation: That the whole of that doctrine (on the atonement, and basically the entirety of Xnity) may be traced back to the struggle of an anguished conscience. Take away the anguished conscience and you can also close the churches and turn them into dance halls. The anguished conscience understands Xnity. Thus does an animal understand when you place a stone and a loaf of bread before it, and the animal is hungry: the animal understands that one of them is to be eaten and the other is not. Thus does the anguished conscience understand Xnity. If one must first prove the necessity of being hungry before one eats—- well, then it becomes gourmandise.
But you say: “"I still cannot grasp the atonement.”" Here I must ask in what sense—-is it in the sense of the anguished conscience or in the sense of indifferent and objective speculation? If someone wants to sit in his study, speculating calmly and objectively, how could he be able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an atonement, for of course an atonement is only necessary in the sense of an anguished conscience. If it were within a person’'s power to live without needing to eat, how could he understand the necessity of eating, something the hungry person understands so easily? And so it is spiritually. A hum. being can acquire the indifference that makes the atonement superfluous; indeed, the natural person is in precisely this state: but how could someone in this state be able to understand the atonement[?] Thus Luther is being very consistent when he teaches that it is through a revelation that a human being must learn how deeply he lies in sin, that the anguished conscience is not something that comes in the course of nature, like being hungry.
Det er Ypperligt, *det ene Fornødne og det ene Forklarende *hvad Luther siger: at hele denne Lære (om Forsoningen, og i Grunden hele Χstd.) maa henføres til den ængstede Samvittigheds Kamp. Tag den ængstede Samvittighed bort, saa kan Du ogsaa lukke Kirkerne og gjøre dem til Dandsepladse. Den ængstede Samvittighed forstaaer Χstd. Saaledes forstaaer et Dyr naar Du lægger en Steen og et Brød for det, og Dyret er sulten: saa |130 forstaaer Dyret at det ene er til at spise det andet ikke. Saaledes forstaaer den ængstede Samvittighed Χstd. Skal man først bevise Nødvendigheden af at være sulten, førend man spiser: ja saa bliver det Kræserie.
Men siger Du: »jeg kan dog ikke begribe Forsoningen.« Her maatte jeg spørge] i hvilken Forstand, er det i den ængstede] Samvittigheds Forstand, ell. i *den ligegyldige og objektive Spekulations Forstand? Dersom En vil sidde rolig, objektiv paa sit Studerekammer og speculere: hvorledes skulde han kunde forstaae en Forsonings Nødvendighed; da jo en Forsoning kun er nødvendig i den ængstede Samvittigheds Forstand. Dersom det stod i et Mskes Magt at leve hen uden at behøve Spise: hvorledes skulde han saa forstaae Nødvendigheden af Spise, som den Sultne |131 saa let forstaaer? Og saaledes er det aandeligt.] Et Msk. kan erhverve den Ligegyldighed som gjør Forsoningen overflødig, ja det naturlige Msk. er egl i denne Tilstand: men hvorledes skulde man i denne Tilstand kunde forstaae Forsoningen. Det er derfor saa consequent af *Luther, at han lærer, at Msket maa belæres ved en Aabenbaring om hvor dybt han ligger i Synd; at den ængstede Samvittighed ikke er noget der saaledes følger af Naturen som det at være sulten.
'키르케고르 일기 및 기록물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B:81 (Pap.VII1 A194), n.d., 1846 (0) | 2022.07.25 |
---|---|
NB:80 (Pap.VII1 A193), n.d., 1846 (0) | 2022.07.25 |
NB:78 Pap.VII1 A191 (0) | 2022.07.25 |
NB:77 Pap.VII1 A190 (0) | 2022.07.25 |
NB:76, Pap.VII1 A189 (0) | 202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