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키르케고르 일기 및 기록물 정리

Journal NB 15(1850년)은 여기에서 시작하십시오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덴마크어 원전과 영어를 참고하여 번역하였습니다. 저널 표기법은 NB와 Pap를 병행하여 표기했습니다. Journals and Notebooks는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JOURNAL NB15 Journal NB15 in Søren Kierkegaards Skrifter Pap. X2 A, Pap X5 B 아래를 클릭하시면 해당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2 3 X2 A330 4 5 X2 A333 6 X2 A334 7 X2 A335 8 X2 A336 9 X2 A330 10 X2 A330 11 12 13 14 15 16 17 18 19 X5 A108 20 X5 A109 21 X5 A110 22 X5 A111 23 X5 A112 24 X5 A113 25 X5 A114 26 .. 더보기
NB15:101, JP IV 4030 (Pap. X2 A 436) 1850년 https://praus.tistory.com/102 Journal NB 15(1850년)은 여기에서 시작하십시오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덴마크어 원전과 영어를 참고하여 번역하였습니다. 저널 표기법은 NB와 Pap를 병행하여 표기했습니다. Journals and Notebooks는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JOURNAL NB15 Journ praus.tistory.com NB15:101, JP IV 4030 (Pap. X2 A 436) 이해 불가능한 것*으로, 세계의 비밀로 악에 대한, 죄에 대한 탁월한 작은 부분이 존재한다. 정확히 그것은 토대가 없는 것(the groundless)**이기 때문이다. 나 역시 그가 Daub을 인용하는 것을 보고 즐거운데, Daub 역시 가룟 유다에 대해 이 입장.. 더보기
기독교 강화와 설교의 차이점, NB:120, Pap. VII1 A6, 1847 https://praus.tistory.com/61 Journal NB(1846-7년)은 여기에서 시작하십시오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덴마크어 원전과 영어를 참고하여 번역하였습니다. 저널 표기법은 NB와 Pap를 병행하여 표기했습니다. Journals and Notebooks는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JOURNAL NB Journal praus.tistory.com NB:120, Pap. VII1 A6, 1847 기독교 강화와 설교와의 차이점 어느 정도까지 기독교 강화은 의심을 다룬다. 설교는 절대적으로, 전적으로, 배타적으로 성경의 권위, 그리스도의 사도들의 권위에 따라 작동한다. 따라서 설교에서 의심을 다루는 방법을 잘 알고 있더라도, 설교에서 의심을 다루는 것은 절대적 이단이다. 그러므로 .. 더보기
사회성, 사랑의 역사, NB:118, Pap. VIII1 A4 https://praus.tistory.com/61 Journal NB(1846-7년)은 여기에서 시작하십시오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덴마크어 원전과 영어를 참고하여 번역하였습니다. 저널 표기법은 NB와 Pap를 병행하여 표기했습니다. Journals and Notebooks는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JOURNAL NB Journal praus.tistory.com NB:118, Pap. VIII1 A4 무엇보다 사람들이 천천히 진행하고 항상 더 이상 아무것도 모르는 것처럼, 다음 단계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것처럼 행동하는 나의 이 산파술적인 경고에 대해 사람들이 배웠어야 했다. 이제 나의 새로운 건덕적 강화를 계기로, 사람들은 아마도 내가 다음에 무엇이 올지 모르며, 사회성(Socialite.. 더보기
FF:36, Pap.II A 595 https://praus.tistory.com/66 Journal FF(1836-38년)은 여기에서 시작하십시오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덴마크어 원전과 영어를 참고하여 번역하였습니다. 저널 표기법은 NB와 Pap를 병행하여 표기했습니다. Journals and Notebooks는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JOURNAL FF Journal praus.tistory.com 하늘이 바다 위에 높은 만큼이나 바다 속에서 깊은 것처럼, 그리스도는 매순간마다 동일하게 하나님이면서 사람이다.―JP I 284(Pap.II A 595) Christ is at every moment equally much God and Man—just as theheavens appear to be as deep in the se.. 더보기
고독에 대하여(Pap. V B 235 n.d., 1844) 고독에 대하여 전도서 4:10. 홀로 있는 자에게 화가 있으리라. 그가 넘어진다면, 그를 일으킬 자가 아무도 없기 때문이다. -Pap. V B 235 n.d., 1844 더보기
하나님을 필요로 하는 것이 인간 최고의 완전함이다 JP I 153(Pap. VB 196), n.d., 1844 하나님을 필요로 하는 것이 인간 최고의 완전함이다. 본문 여자가 난 자 중에 누구도 더 크지 않다.(눅7:28) 그러나 하나님 나라에서는 가장 작은 자도 그보다 더 크다. 사람이 하나님에 대한 절대적 필요가 없다면, 그는 다음을 알 수가 없다. 자기 자신을 알기-자기 지식(self-knowledge) 불멸한다는 것. 더보기
NB2:236, Pap. VIII1 A 359, JP I 952, 1847년 키르케고르의 저널 NB2로 돌아기기 Journal NB2(1847년)은 여기에서 시작하십시오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덴마크어 원전과 영어를 참고하여 번역하였습니다. 저널 표기법은 NB와 Pap를 병행하여 표기했습니다. Journals and Notebooks는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JOURNAL NB2 Journa praus.tistory.com NB2:236, Pap. VIII1 A 359, JP I 952, 1847년 아무도 두 주인을 섬길 수 없다. 이것은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 잘 모르는 우유부단하고 의심스러운 사람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아니—즐거움과 욕망을 섬기기 위해 반항적으로 하늘과 하나님과 단절한 사람: 그 역시 두 주인을 섬기는데, 그것은 누구도 할 수 없다. 그가 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