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키르케고르 일기 및 기록물 정리

NB2: 37, Pap. VIII1 A 145, (JP,1:305, 1847) 키르케고르의 저널 NB2로 돌아기기 Journal NB2(1847년)은 여기에서 시작하십시오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덴마크어 원전과 영어를 참고하여 번역하였습니다. 저널 표기법은 NB와 Pap를 병행하여 표기했습니다. Journals and Notebooks는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JOURNAL NB2 Journa praus.tistory.com 그리스도가 어떻게 십자가에 못 박혔는지 이해하려는 시도는 거의 없었다.(어떤 의미에서 그분의 삶은 이 땅의 목표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아무에게도 실족을 줄 수 없다.) 아마도 여기서 너무나 명백한 세상의 악에 대한 증거를 알게 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그리하여 그렇게 정한 것은 그리스도 자신이요, 하나님의 섭리였다는 핑계가 만들어진다. (여기서.. 더보기
Journal NB2(1847년)은 여기에서 시작하십시오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덴마크어 원전과 영어를 참고하여 번역하였습니다. 저널 표기법은 NB와 Pap를 병행하여 표기했습니다. Journals and Notebooks는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JOURNAL NB2 Journal NB in Søren Kierkegaards Skrifter Pap VIII1 A 아래를 클릭하시면 해당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2 VIII1A659 3 VIII1A108 4 VIII1A110 5 VIII1A111 6 VIII1A 7 VIII1A 8 VIII1A 9 VIII1A 10 VIII1A 11 VIII1A 12 VIII1A 13 VIII1A 14 VIII1A 15 VIII1A 16 VIII1A 17 VIII1A 18 VIII1A 19 VIII1A 20 VII.. 더보기
키르케고르의 노트북 14는 여기에서 시작하십시오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덴마크어 원전과 영어를 참고하여 번역하였습니다. 저널 표기법은 NB와 Pap를 병행하여 표기했습니다. Journals and Notebooks는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Not14:1, (Pap. IV C 3) n.d., 1843 테네만(Tennemann) 1. 이오니아 학파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메네스 전부 밀레투스에서 나옴 아낙시만드로스는 무한이 모든 것의 토대라고 가정했다. “무한은 물보다 더 세련되고(refined), 공기보다 더 거칠고(coarser), 공기보다 더 세련되고, 불보다 더 거칠다.” 그는 태초에 동물이 인간을 낳았다고 믿었다. 왜냐하면 동물은 즉시 스스로를 양육할 수 있으나, 인간은 양육 받아야 한다. 아낙시메네스는 무한은 원시적 물질(pri.. 더보기
Not14:1, (Pap. IV C 3) n.d., 1843, 테네만 키르케고르의 Not14로 돌아가기 Not14:1, (Pap. IV C 3) n.d., 1843 테네만(Tennemann) 1. 이오니아 학파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메네스 전부 밀레투스에서 나옴 아낙시만드로스는 무한이 모든 것의 토대라고 가정했다. “무한은 물보다 더 세련되고(refined), 공기보다 더 거칠고(coarser), 공기보다 더 세련되고, 불보다 더 거칠다.” 그는 태초에 동물이 인간을 낳았다고 믿었다. 왜냐하면 동물은 즉시 스스로를 양육할 수 있으나, 인간은 양육 받아야 한다. 아낙시메네스는 무한은 원시적 물질(primordial matter)이라고 가정했다. 그러나 동시에 이 물질이 공기라고 가정했다. 2. 피타고라스 학파 (오셀루스 루카누스(Ocellus Lucanus), 티마.. 더보기
NB:88, JP, 2:1349(Pap. VII1 A201), n.d., 1846 키르케고르의 저널 NB로 돌아가기 Journal NB(1846-7년)은 여기에서 시작하십시오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덴마크어 원전과 영어를 참고하여 번역하였습니다. 저널 표기법은 NB와 Pap를 병행하여 표기했습니다. Journals and Notebooks는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JOURNAL NB Journal praus.tistory.com NB:88, JP, 2:1349(Pap. VII1 A201), n.d., 1846 정확히 하나님은 인간의 대상이 될 수 없기 때문에, 하나님은 주체이시기 때문에, 바로 이런 이유로 반전이 절대적으로 나타난다. 하나님을 부인할 때, 그는 하나님께 해를 끼친 것이 아니라, 자신을 파괴한 것이다. 하나님을 조롱할 때, 그는 자신을 조롱한 것이다. 사람이 순.. 더보기
NB:82 (Pap.VII1 A195), n.d., 1846 키르케고르의 저널 NB로 돌아가기 Journal NB(1846-7년)은 여기에서 시작하십시오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덴마크어 원전과 영어를 참고하여 번역하였습니다. 저널 표기법은 NB와 Pap를 병행하여 표기했습니다. Journals and Notebooks는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JOURNAL NB Journal praus.tistory.com NB:82 (Pap.VII1 A195), n.d., 1846 현대 학문의 전체와 마찬가지로 자연과학의 전체는 궤변이다. 소크라테스의 간단한 질문으로 이것을 시험할 수 있다. “자연과학은 무엇을 아는 것인가, 아니면 모르는 것인가?” 이것은 “예”로도 “아니오”로도 대답할 수 없다. 왜냐하면 자연과학의 전체 비밀이란 그것이 무언가를 거의 아는 것처럼 있.. 더보기
NB:81 (Pap.VII1 A194), n.d., 1846 키르케고르의 저널 NB로 돌아가기 Journal NB(1846-7년)은 여기에서 시작하십시오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덴마크어 원전과 영어를 참고하여 번역하였습니다. 저널 표기법은 NB와 Pap를 병행하여 표기했습니다. Journals and Notebooks는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JOURNAL NB Journal praus.tistory.com NB:81 (Pap.VII1 A194), n.d., 1846 자연과학이 소크라테스의 시대에 지금처럼 발전하게 되었다면, 모든 소피스트들은 자연과학의 연구자들이 되었을 것이다. 손님을 끌기 위해서라도 가게 앞에 현미경을 매달아 놓았을 것이다. 다른 사람은 다음과 같이 쓴 표지판을 달았을 것이다. “거대한 현미경의 도움으로 인간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 더보기
NB:80 (Pap.VII1 A193), n.d., 1846 키르케고르의 저널 NB로 돌아가기 Journal NB(1846-7년)은 여기에서 시작하십시오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덴마크어 원전과 영어를 참고하여 번역하였습니다. 저널 표기법은 NB와 Pap를 병행하여 표기했습니다. Journals and Notebooks는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JOURNAL NB Journal praus.tistory.com NB:80 (Pap.VII1 A193), n.d., 1846 오류를 범하는 것이 소크라테스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이었다. 정신의 개념과 관련하여 생리학과 자연 과학으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어떤 계몽이 있다면, 내가 어떻게 그것을 공부하는 일을 삼갈 수 있겠는가? 그러나 단순한 소크라테스는 또한 이 전체 과학을 오류(환상의 과학)으로 올바르게 간주했으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