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헤겔
- 절망
- 카리스아카데미
- 시인의 실존
- 토대주의
- 믿음
- 칼 바르트
- 도예베르트
- 키르케고르
- 반틸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후기 토대주의
- 반토대주의
- 말씀은 거울이다
- 문화 개신교
- 말씀의 거울
- 죽음에 이르는 병
- 영원한 행복
- 라이프니츠
- 미학
- 계시
- 말씀
- 변증학
- 카리스 아카데미
- 자유주의
- 내면의 감금
- 계시현상학
- 현상학
- 능력의 말씀
- Today
- Total
프라우스
모순에 대하여, 아리스토텔레스, 헤겔, 키르케고르 본문
모순의 원칙(Grundsætning), 또는 모순율(principle of contradiction)은 고전 논리학의 세 가지 기본 원칙 중 하나로, 동일한 대상에 대해 동일한 의미에서 어떤 규정이 동시에 참이면서 거짓일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어떤 대상이 특정한 속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그 속성을 가지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다.
1.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이상학(Metaphysik) 제4권(1005b 17-20)에서 이 원칙이 모든 원칙 중에서 가장 확실한 원칙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 원칙은 모든 논증에 선행하는 전제가 되므로, 증명될 수는 없으며, 대신 이 원칙을 부정하려는 시도를 반박할 수는 있다고 말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요 반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반박(1006a 26-28): 어떤 사람이 말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단어에 고정된 의미가 있음을 인정하는 순간, 그는 이미 “어떤 것은 참이다”라는 원칙의 타당성을 인정한 것이다.
네 번째 반박(1008a 7-34): 만약 모순의 원칙이 성립하지 않는다면, 모든 주장은 참이면서 동시에 거짓일 수 있다. 따라서 이 원칙을 부정하는 사람도 자신이 말하는 것의 반대가 동시에 참이라는 점을 수용할 수밖에 없다.
2. 헤겔 철학에서의 모순의 원칙
헤겔의 사변적 철학에서 모순의 원칙은 고전 논리학에서의 절대적 타당성을 잃고, 조건부(validity under conditions)로 전환된다.
모순의 역할: 헤겔 철학에서 모순은 단순히 피해야 할 논리적 오류가 아니라, 모든 발전의 원리로 작동한다.
변증법적 과정: 모순은 사유와 존재에서 발전(dialectical process)을 강요하며, 이를 통해 모순은 지양(Aufhebung)되고, 동일성과 차이의 더 높은 통합(higher synthesis)이 이루어진다.
3. 관련 헤겔 저작
Wissenschaft der Logik(논리의 학): 헤겔은 여기에서 모순이 단순한 부정이 아니라 새로운 통합을 위한 원동력이라고 설명한다. (Hegel's Werke 제4권, 57-73쪽; Jubiläums-Ausgabe 제4권, 535-551쪽 참조).
Encyclopädie der philosophischen Wissenschaften (철학적 학문의 백과전서): 제119절 주석 2에서, 헤겔은 모순이 동일성과 차이를 통합하는 원리임을 강조합니다. (Hegel's Werke 제6권, 242쪽; Jubiläums-Ausgabe 제8권, 280쪽 참조).
4. 키르케고르의 비판과 맥락
키르케고르의 비판: 키르케고르는 헤겔의 변증법적 과정이 모순을 추상적 체계에서 해결하려는 시도라고 보고, 구체적이고 실존적인 인간 경험에서 발생하는 모순을 간과한다고 비판한다.
모순의 실존적 측면: 키르케고르는 모순이 단순히 이성적 통합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결단과 고뇌 속에서 개인이 직면하고 수용해야 하는 실존적 경험이라고 본다.
5. 결론
아리스토텔레스의 고전적 모순 원칙은 헤겔의 변증법적 철학에서 새로운 의미로 재해석되며, 모순은 단순한 부정이 아니라 사유와 존재의 발전 원리로 간주된다. 그러나 키르케고르는 헤겔의 이러한 접근이 실존적 모순의 구체성을 다루지 못한다고 비판하며, 모순을 실존적 선택과 책임의 핵심적 조건으로 강조한다.
'철학 >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려움과 떨림에서의 발레 무용수 (0) | 2024.12.19 |
---|---|
키르케고르의 천재의 개념과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 비판적 고찰 (1) | 2024.12.16 |
키르케고르의 천재의 개념과 자기 개발 담론 비판 (0) | 2024.12.16 |
천재와 크리스천의 차이 (0) | 2024.12.16 |
스피노자의 필연성과 기독교의 섭리 이해 (0)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