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사상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피노자의 범신론과 내재성 논의 스피노자의 필연성과 기독교의 섭리 이해는 여기 링크 참고스피노자의 범신론과 실체 개념은 철학에서 매우 중요한 논점이다. 범신론과 내재성의 관점에서 스피노자의 철학을 이해하려면 그의 주요 개념들을 살펴보아야 한다.1. 스피노자의 실체 개념스피노자에 따르면, 실체(substantia)는 “그 자체로 존재하며, 그 자체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실체는 외부 원인에 의존하지 않으며, 완전히 자족적이고 독립적인 존재입니다. 그는 실체를 유일하게 신(God)과 동일시하며, 이는 그의 범신론(pantheism)의 핵심이다. • 스피노자는 “신 = 자연(God or Nature)”(Deus sive Natura)라는 유명한 표현을 사용한다. 이때 신은 초월적 존재가 아니라, 세계 그 자체, 즉 모든 존재의 내재적 .. 더보기 불안의 개념 3장 2절 번역 및 해설 아직 완성되지 않았습니다. 계속해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운명과 섭리 차이에 대하여 이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운명과 섭리의 차이, 불안의 개념 3장 2절 관련키르케고르가 섭리(Forsynet)와 우연(Tilfældighed)의 차이를 정의하려는 목적은, 인간 실존의 불안(Angest)과 이를 극복하는 신앙의 역할을 설명하려는 데 있다. 그의 철학에서는 이 두 개념이 단순히praus.tistory.com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에서의 섭리와 운명에 대하여는 이곳을 참고하십시오. 미시적, 거시적 관점에서의 운명과 섭리의 차이 이해미시적관점과 거시적 관점은 그리스적 운명과 기독교적 섭리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키르케고르의 철학을 바탕으로,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그리.. 더보기 불안의 개념 4장 1절의 (a)와 (b)의 차이점 키르케고르가 말하는 (a)와 (b)의 차이는 불안의 대상과 죄와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실존적 상황의 차이에 기초합니다. 이를 명확히 이해하려면, 각 상태에서 불안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와 죄와의 관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a) 상태: 죄의 현실성에서 비롯된 불안 1. 불안의 대상:• (a) 상태에서 불안은 죄의 현실성(이미 저질러진 죄)에 대한 두려움에 기인합니다.• 죄의 현실성은 이미 확립된 사실이지만, 불안은 이 현실성을 소피스트적 방식으로 왜곡하거나 재구성하며, 죄의 가능성을 끊임없이 만들어냅니다. 2. 죄와 불안의 관계:• 이 상태에서는 윤리적 관점에서 죄를 짓는 행위가 지속됩니다.• 불안은 죄의 현실성을 새로운 가능성으로 만들어내는 기제로 작용하며, 이는 윤리적 타락을 심화시킵니다. 3. 불.. 더보기 돈 후안의 불안과 가인의 불안 창세기의 가인이 경험한 죄 이후의 불안과 돈 후안의 이야기에서 드러나는 불안은 키르케고르의 불안의 개념에 비추어 보면 동일한 실존적 주제를 공유합니다. 두 경우 모두 죄를 저지른 후 발생하는 내적 갈등, 불안, 그리고 그로부터 도망치려는 시도가 핵심입니다. 1. 가인의 죄와 불안창세기 4장에서 가인은 동생 아벨을 죽인 후, 하나님으로부터 심판을 받습니다. 가인은 하나님의 처벌(유랑하며 방황하는 삶)을 받아들이지만, 동시에 자신도 다른 사람들에게 살해당할 것이라는 불안을 느낍니다: “내 죄벌이 너무 중하여 견딜 수 없나이다. … 나를 만나는 자가 나를 죽이겠나이다.” (창세기 4:13-14)가인이 느낀 불안은 단순히 자신의 생명이 위협받는다는 두려움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실존적 요소를 포함합니다:• 죄책.. 더보기 에피쿠로스의 운명론의 거부에 대하여 에피쿠로스는 인간의 자유의지를 방어하기 위해 결정론적 운명론과 맞서 싸웠습니다. 특히 그는 미래 사건에 대한 명제의 참과 거짓에 관한 논쟁에서, 인간의 자유를 보존하기 위해 독창적인 입장을 제시했습니다. 1. 미래 명제의 참/거짓 부정에피쿠로스는 “미래 사건에 관한 모든 명제는 참이거나 거짓이다”라는 고대 논리학의 원리를 부정했습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주장했습니다: • 논리적 결정론 회피: 만약 모든 미래 명제가 현재 이미 참이거나 거짓으로 결정되어 있다면, 이는 사건이 이미 예정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인간의 행동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 예: “내일 비가 올 것이다”라는 명제가 현재 이미 참이라면, 비는 반드시 와야 하며, 이는 인간이 비의 유무에 영향을 미칠 수 없음을 뜻합니다.에.. 더보기 운명과 섭리의 이해, 과거와 미래를 다루는 관점에서 운명과 섭리의 차이는 여기를 보십시오.https://praus.tistory.com/352 운명과 섭리의 차이 이해미시적관점과 거시적 관점은 그리스적 운명과 기독교적 섭리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키르케고르의 철학을 바탕으로,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그리스적praus.tistory.com과거와 미래를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말씀드립니다. 운명은 과거를 필연적으로, 미래는 여전히 우연적인 것으로 봅니다. 물론, 미래는 정해진 것처럼 필연적으로 인식되지만 이는 불확실하기 때문에 우연적 요소로 작용합니다. 여기에서 불안이 발생합니다.반면, 섭리는 미래를 단순이 필연적으로 인식하지 않습니다. 회개를 통해 과거가 끊임 없이 현재를 살아가는 크리스천에게 영향을 주고 있기때.. 더보기 미시적, 거시적 관점에서의 운명과 섭리의 차이 이해 미시적관점과 거시적 관점은 그리스적 운명과 기독교적 섭리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키르케고르의 철학을 바탕으로,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그리스적 운명: 미시적 개인의 자유와 결단의 도피 • 운명의 특징:• 키르케고르가 설명하는 그리스적 운명은 개인의 자유와 결단을 포함하지 않는 비개인적이고 필연적인 힘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개인이 자신의 선택을 통해 자신의 운명을 형성할 수 없으며, 운명은 이미 외부에서 정해진 힘으로 작용한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그리스 비극에서 등장하는 운명은 개인의 선택과 상관없이 진행되는 필연성으로, 인간은 그것을 도피하거나 바꿀 수 없습니다. • 운명과 불안:• 그리스적 운명은 불안을 해소하기보다 오히려 불안의 근원이 됩니다. 왜냐하면.. 더보기 섭리와 진화론 운명과 섭리의 차이는 여기를 보십시오.https://praus.tistory.com/352 운명과 섭리의 차이 이해미시적관점과 거시적 관점은 그리스적 운명과 기독교적 섭리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키르케고르의 철학을 바탕으로,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그리스적praus.tistory.com경제학자 하이에크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하이에크의 관점에서 시장과 돈 같은 제도가 인간의 의도와 상관없이 진화의 결과로 나타났다는 주장은 그 자체로 섭리 개념을 배제한 듯 보이며, 이는 더 깊은 철학적, 신학적 의미에서 섭리와 진화 사이의 대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논점이 됩니다. 이를 기독교적 섭리의 개념과 비교하면서 더 깊이 탐구해 보겠습니다. 1. 하이에크의 주장: 무신론적..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