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사상

악과 자유에 관한 키르케고르의 견해, 베일, 라이프니츠 악과 자유에 관한 키르케고르의 견해키르케고르의 악과 관련된 견해는 그의 철학적 작업과 신앙의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 그는 악의 존재와 그것이 신앙, 자유, 인간의 본질에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탐구했다. 그의 주요 관점은 다음과 같다. 1. 악과 자유의 관계키르케고르는 인간의 자유가 악의 가능성을 포함한다고 보았다. 그는 악을 “자유의 가능성으로서의 불안”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했다. 그의 저서 불안의 개념(Begrebet Angest)에서 다음과 같은 주장을 펼쳤다. 인간은 “정신(영혼과 육체의 종합)”으로서 창조되었고, 자유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실현한다. 그러나 자유는 단순히 선을 선택할 가능성만이 아니라 악을 선택할 가능성도 내포한다. 악은 “질적 도약(qualitative leap)”을 통해 발생하며.. 더보기
하나님의 편재와 시간성의 문제 키르케고르의 하나님의 편재(allestedsnærværende) 개념은 불안의 개념에서 시간과 공간의 관계를 다루는 그의 독특한 실존적 접근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그의 사상은 칸트적 공간과 시간의 선험적 구조를 넘어, 하나님의 편재를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존재의 방식으로 이해한다. 이 관점에서, 키르케고르의 하나님은 단순히 시간과 공간 안에 제한되거나 존재하지 않으며, 이 둘을 초월하여 인간 실존과 관계 맺는 방식으로 설명된다. 1. 하나님의 편재와 시간/공간 • 칸트의 관점: 칸트는 시간과 공간을 인간 경험의 선험적 조건으로 보았다. 이는 감각적 직관을 가능하게 하는 틀로, 시간은 사건이 순차적으로(nacheinander) 배열되는 방식이고, 공간은 사건이 병렬적으로(nebeneinander) 배열.. 더보기
키르케고르의 시간 개념과 칸트 및 헤겔의 개념 비교(불안의 개념 3장을 중심으로) 키르케고르는 불안의 개념 3장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만약 이러한 구분을 고정하려 한다면, 그것은 순간을 공간적으로 확장시키는 것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무한한 연속이 중단되게 된다. 이는 시간을 사유하는 대신 표상할 수 있게 만드는 표상이 도입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도 올바르게 행동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표상으로서도 시간의 무한한 연속은 여전히 무한히 내용 없는 현재일 뿐이기 때문이다. (이는 영원의 패러디다.) [영역본, 85쪽] 키르케고르의 시간 개념은 헤겔과 칸트의 시간 개념과 근본적으로 다르며, 세 철학자는 각기 다른 철학적 맥락과 목적을 가지고 시간과 관련된 문제를 다룹니다. 이들을 비교하여 키르케고르의 비판과 주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1. 키르케고르의 시간 개.. 더보기
어거스틴의 시간의 창조와 그리스 철학 개념 비교 그리스 철학의 시간 개념은 어거스틴이 제시한 시간이 창조되었다는 기독교적 개념과 상당히 다르다.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시간은 대개 세계 질서와 함께 본질적으로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어거스틴과의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해 그리스 철학에서 시간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플라톤의 시간 개념플라톤의 철학에서 시간은 영원의 모방으로 설명된다. • 시간과 영원의 관계: •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에서 시간은 코스모스의 창조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이는 영원의 움직이는 형상으로 간주된다. 천병희 번역본의 ⟪티마이오스⟫를 참고하면 다음과 같다. (⟪티마이오스⟫, 천병희 역 (파주: 숲, 2019), 339쪽(37d)를 참고하라.)하지만 생명체의 본성은 영원한 것이기에 이를 생성된 것에 완전하게.. 더보기
키르케고르의 그리스 철학의 시간 개념에 대한 비판(불안의 개념 3장을 중심으로) 키르케고르의 이 관점은 시간과 영원의 관계를 심도 깊게 다루는 것으로, 시간에 대한 그의 독특한 철학적 이해를 드러낸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키르케고르의 시간에 대한 비판키르케고르는 시간의 본질을 단순히 무한한 연속(순차적 진행)으로 이해하려는 견해를 비판한다. 이는 특히 고대 철학자들의 시간 개념과 관련이 있다. • 시간을 무한한 연속으로 보는 관점: • 과거, 현재, 미래는 시간의 내재적 특성으로 간주된다.• 이는 시간 자체에 어떤 고정된 점(예: 현재)을 두고, 이를 중심으로 나머지를 구분하려는 시도이다.시간을 ‘과거’, ‘현재’, ‘미래’라는 연속성으로 규정하는 것은 플라톤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는 《파르메니데스》 151e-152b 및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나타난.. 더보기
시간에 대한 개념 비교, 어거스틴, 헤겔, 키르케고르 성 어거스틴, 헤겔, 키르케고르가 시간과 영원의 관계를 다루는 방식은 각각 독특하며, 철학적·신학적 초점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다음은 그들의 주요 차이점이다. 1. 성 어거스틴: 시간과 영원의 신학적 조화 • 시간의 본질: 어거스틴은 『고백록』(Confessiones) 제11권에서 시간을 창조된 존재로 간주한다. 시간은 하나님의 창조 행위 안에서 시작되었으며, 하나님은 시간의 “외부”에 있는 영원한 존재이다.• 현재의 중요성: 어거스틴은 “과거는 기억 속에 있고, 미래는 기대 속에 있으며, 현재만이 실재한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현재조차도 “지속되지 않는 순간”으로 파악된다.• 영원의 위치: 영원은 변화하지 않는 신적 본질로, 시간 안에서 경험되지 않는다. 시간은 유한하고 파편화된 반면, 영원은 단일하.. 더보기
헤겔의 반성 규정 “반성-규정(Reflexionsbestimmungen)“은 헤겔 철학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논리적 사유에서 상호 관련된 개념들이 서로를 정의하고 매개하는 과정을 가리킵니다. 이 개념은 *『논리의 학』(Wissenschaft der Logik)*에서 다뤄지며, 사유가 세계를 이해하고 구조화하는 방식에 대한 헤겔의 변증법적 접근을 나타냅니다. 1. 반성-규정의 정의“반성-규정”은 단순히 두 개념이나 존재 상태가 서로 대립하거나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반성(reflect)하면서 상호 매개(mediation)를 통해 의미를 형성하는 관계를 말합니다. 반성-규정은 고립된 개념이 아니라 상호 의존적이고 상호 형성적인 관계 속에서 존재합니다. 2. 반성-규정의 세 가지 핵심 측면헤겔에 따르면,.. 더보기
키르케고르의 시간과 공간의 관계, 불안의 개념 3장에서 키르케고르에게 현재와 공간은 중요한 철학적 긴장을 형성하며, 이 관계는 그의 시간과 영원의 이해를 통해 명확히 드러난다. 키르케고르의 사상에서 현재는 단순한 물리적 시간이 아니라, 실존적 순간(Øieblikket)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는 이를 통해 시간성과 영원성이 만나는 지점으로 이해한다. 공간은 이러한 맥락에서 상대적으로 부차적인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1. 현재와 순간의 실존적 의미 • 키르케고르에게 현재는 단순히 시간의 한 점이 아니다. 그것은 영원이 시간 안으로 들어오는 순간(Øieblikket)이다. 이 순간은 시간의 연속성에서 벗어나 영원의 반영이 되는 특별한 지점이다.• 따라서, 현재는 “과거”와 “미래” 사이의 경계선처럼 공간적으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인간이 결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