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과 멀리 있더라도, 그리스도인의 이상(Idealet af en Christen)을 어느 정도는 서술할 수 있다. 시적 실존(poetic existence)과 이상을 위해 본질적으로 분투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이상을 실현하지 못하면서 그 이상을 예술적으로 서술하는 것은 별개다. 왜냐하면 시적 실존은 분투하면서 자신을 이상과 관련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지 서술만 하기 때문이다. (SKS 22, 122, NB11:196)
'키르케고르 일기 및 기록물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스도인은 순교자다!(Pap. IX A 51) (0) | 2022.05.01 |
---|---|
사람이 되기 위한 기준(Pap. XI1 A 130, SKS 25, 342) (0) | 2022.04.29 |
이상에 대하여(Pap. XI1 A 504, SKS 26, 122) (0) | 2022.04.29 |
인간과 이상(Pap. X1 A 135) (0) | 2022.04.29 |
무가 되기(Pap. X2 A 503) (0) | 2022.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