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우스

DD:18, JP II 1690 (Pap. II A 102) 1837년 7월 6일 본문

키르케고르 일기 및 기록물 정리

DD:18, JP II 1690 (Pap. II A 102) 1837년 7월 6일

엉클창 2024. 9. 23. 08:04

DD:18, JP II 1690 (Pap. II A 102) 1837 7 6

아이러니는 아마도 어느 정도의 평온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이는 유머러스한 전개 이후의 평화와 대응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는 기독교적 구원[a]과는 거리가 멀다(그리스도 안에서 형제[i]-다른 모든 차이는 완전히 사라지고, 그리스도 안에서 형제가 되는 것에 비해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고 만다. 그러나 그리스도는 차이를 만들지 않았는가? 그가 요한을 다른 사람들보다 더 사랑하지 않았는가?[ii]-이는 매우 흥미로운 대화로, 6 30일 저녁 폴 뮐러[iii]가 한 말이다). 이는 어느 정도의 사랑을 만들어낼 수 있지만[b], 예를 들어 소크라테스가 그의 제자들을 둘러싸며 가졌던 사랑(하만이 말한 영적 남색[iv])과 같은 종류일 뿐이며, 여전히 이기적(egotistical)이다. 왜냐하면 그는 그들의 구원자로 서 있었고, 자신의 더 높은 의식과 관점에서 그들의 좁은 표현과 견해를 확장했기 때문이다. 이 운동의 직경은 유머리스트의 경우처럼 크지 않다[c](천국-지옥-기독교인은 모든 것을 경멸해야 한다-아이러니스트의 가장 강력한 논쟁적 운동은 “아무것도 경탄하지 않는 것(nil admirari)[v]이다). 아이러니는 이기적이다(이는 부르주아적, 속물적인 사고방식과 맞서 싸우지만, 개인 내에서 그것이 공중으로 날아오르면서, 마치 작은 명금이 하늘로 날아가 점차 자신의 짐을 던져 버리는 것처럼,[d] 그 속물적 사고방식을 유지한다). 하지만 결국 이기적인 “지옥에나 가라”로 끝날 위험을 감수하게 된다. 왜냐하면 아이러니는 자신을 봄으로써 아직 자신을 살해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개인이 자신을 아이러니의 빛 속에서 바라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유머는 서정적이다(이는 삶에 대한 가장 깊은 진지함이다. , 깊은 시다. 시는 그것 자체로 형성될 수 없기 때문에 가장 바로크적인 형식으로 결정화된다. 이는 치질적 non fluens[비유동, non-flowing]이며, 더 높은 삶의 molimina[노력]이다).

그리스 본성(Greek nature)의 전체적인 태도(조화-아름다움), 개인이 스스로를 분리하고 전투가 시작되더라도, 여전히 이러한 조화로운 삶의 관점에서 비롯된 흔적이 남아 있어, 결국 큰 원을 그리지 않고도 곧 끝나게 되었다(소크라테스). 그러나 이제 모든 본성이 타락했다[vi]고 가르치는 인생관이 나타났으며(가장 깊은 논쟁, 가장 넓은 날개를 펼침), 본성은 복수를 했다. 이제 나는 개인에게서 유머를 얻고 본성에서 아이러니를 얻는다.[e] 이들은 만나게 되고, 유머는 세상 속에서 바보가 되고자 하며, 아이러니는 세상이 그들을 실제로 그렇게 받아들인다.

일부는 아이러니와 유머가 근본적으로 같고, 단지 차이의 정도만 있다고 말한다. 나는 이에 대해 바울의 말을 인용하여 답할 것이다. 바울은 기독교와 유대교의 관계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모든 것이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다.[vii]

기독교 유머리스트는 뿌리만 보이는 식물과 같다. 그 꽃은 더 높은 태양을 위해 피어난다.

 

 

[a] Pap. II A 102의 여백에서:

따라서 소크라테스의 관점[viii]은 일깨우는 것뿐이다. , 그는 산파였던 것이다. 진정성이 없는 한 그는 구속할 수 없다.JP II 1691 (Pap. II A 103) 1837 10 30

 

[b] Pap. II A 102의 여백에서:

따라서 최근의 이상주의적-철학적 ‘지옥에나 가라’와는 완전히 다르다.JP II 1692 (Pap. II A 104) n.d.

 

 

[c] Pap. II A 102의 여백에서:

따라서 유머는 신성 모독에 가까울 수 있다. 하만[ix]은 그의 의지에 대항하여 천사나 사도보다 발람의 나귀나 철학자에게서 지혜를 듣기를 원했다.[x]JP II 1693 (Pap. II A 105) n.d.

 

[d] Pap. II A 102의 여백에서:

그것은 열린 하늘에서 천사들이 내려 오는 하늘 사다리가 아니라,[xi] 기독교적으로 하나님의 왕국을 무력으로[xii] 점령하는 것을 의미하는 거인[xiii]의 공격 사다리[xiv]이다.JP II 1694 (Pap. II A 106) n.d.

 

 

[e] Pap. II A 102의 여백에서:

본성에서의 아이러니는 발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인간과 원숭이 같은 아이러니한 대조는 슈베르트의상징론(Schuberts Symbolik)에서 여러 형태로 발견된다. 이것은 내가 아는 한, 그리스인들이 알지 못했던 것이다. 

중세의 동화에는 변덕스러운 유머가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풍차에서 두 마일 떨어져 서서, 한쪽 콧구멍을 손가락으로 막고 다른 콧구멍으로 바람을 불어 풍차를 돌리는 것 같은 이야기 말이다.JP II 1695 (Pap. II A 107) n.d.

 

Pap. II A 102의 여백에서:

장 폴[xv]은 가장 위대한 유머리스트 자본가이다.[xvi]JP II 1696 (Pap. II A 108) n.d.



[i] 그리스도 안에서 형제들과 동료 상속자들: 1:2 "그리스도 안에서 믿는 형제들"과 롬 8:17 "그리스도의 동료 상속자들"이라는 표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2] 골로새에 있는 성도들 곧 그리스도 안에서 신실한 형제들에게 편지하노니 우리 아버지 하나님으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8:17] 자녀이면 또한 상속자 곧 하나님의 상속자요 그리스도와 함께 한 상속자니 우리가 그와 함께 영광을 받기 위하여 고난도 함께 받아야 할 것이니라

[ii] 요한복음 13:23, 19:26, 20:2, 21:7, 20에서 요한을 "예수님이 사랑하신 제자"로 지칭합니다.

[iii] 폴 마틴 묄러(Poul Martin Møller, 1794-1838), 덴마크 철학자이자 시인, 1830년부터 코펜하겐 대학교 철학과 교수.

[iv] 참조 Fünf Hirtenbriefe das Schuldrama betreffend(1763), 하만의 저작 제2, 1821, p.434, 여기서 하만은 “성스러운 남색의 수치”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 남색: 성인 남성과 소년 간의 동성애적 관계.

[v] nil admirari: 라틴어로 “아무것도 경탄하지 않다”라는 뜻. 이 표현은 호라티우스의 서신집 1(호라티우스의 서한, Epistolarum I, 6서한 1)의 첫 문장에서 유래한 유명한 구절이다. 참조: Q. 호라티우스 플라쿠스의 저작, 라이프치히 1828년 출판본, p.232. J. 바덴은 이 서신의 첫 문장을 이렇게 번역했다: “아무것도 경탄하지 않는 것(...)은 거의 최초이자 유일한 것으로, 이는 행복을 가져오고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첫 표현에 대한 주석을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아무것도 위대하다고 여기지 말고, 아무것도 욕망할 가치가 없으며 두려워할 가치도 없다. (J. 바덴 번역, Horatius Flaccus' samtlige Værker, 코펜하겐 1792-93, 2, p.299 p.304).

 

호라티우스의 이 표현은 피타고라스의 “τμηδν ϑαυμζειν”(tò mēdèn thaumázein, “절대 놀라지 않다”)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그리스 철학자들의 ‘athaumastia’라는 생활 원칙과 연결된다. , “무동요 상태”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에피쿠로스 학파의 ‘ataraxia(평온함)와 스토아 학파의 ‘apatheia(정념의 해방)와 같은 개념으로, 이들은 정신적 평정과 열정으로부터의 자유를 최고의 선으로 여기며, 지혜로운 자의 이상적 상태로 간주한다. 이와 유사한 ‘부정적인’ 도덕 원칙들은 예를 들어 견유주의와 회의주의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vi] 모든 본성은 타락했다: 예를 들어, 1833-34년 겨울 학기와 1834년 여름 학기에 있었던 클라우센(H.N. Clausen) 교수의 교리 강의에서 38항을 요약하면, 어거스틴은 "모든 사람은 아담 안에서 그리고 아담과 함께 죄를 지었고, 태어날 때부터 부패한 본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자체로 악을 행할 자유가 있다"(Pap. I C 19, XII, 83)는 가르침을 제시했다고 한다.

[vii] [고후5:17] 그런즉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

[viii] 소크라테스의 관점: 이는 소크라테스의 무지를 암시하는 표현으로, 예를 들어 플라톤의 대화 테아이테토스(Theaitetos) 149d - 150c에서 소크라테스가 말한 내용과 관련이 있다. 소크라테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나는 산파들과 마찬가지로 같은 방식으로 되었네. 나 자신은 지혜에 있어 열매를 맺지 못하며, 많은 사람들이 나를 비난하듯이, 나는 항상 다른 사람들에게 질문하지만 결코 스스로 어떤 대답도 하지 않으며, 내가 지혜를 소유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비난은 전적으로 옳다. 그 이유는 신이 나에게 다른 사람들을 출산하도록 명했지만, 나 자신이 출산하도록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는 스스로 진정으로 지혜롭지 않으며, 나의 영혼의 산물로서 세상에 새로운 생각을 낳은 적도 없다." 

플라톤의 저작, 카르스텐 회그(Carsten Høeg)와 한스 레더(Hans Ræder) 편집, 1-10, 코펜하겐, 1992 [1932-41], 6, p. 108f. 또한 소크라테스의 변명 21d에서도 소크라테스는 "나는 실제로 가지고 있지 않은 지혜를 내가 소유하고 있다고 믿지 않는 지혜에서 작은 우위를 가지고 있다"고 선언한다.

[ix] 하만(Hamann): 요한 게오르그 하만(Johann Georg Hamann, 1730-88), 독일의 학자이자 철학적 작가. 그는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당시 철학계와 문학계에서 그의 수많은 친구들 중 가장 유명한 인물은 독일의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였다. 하만의 암시가 가득하고 난해한 저작들은 계몽주의의 일방적인 이성 이상에 반기를 든 19세기 철학에 중요한 철학적 원천이 되었다.

[x] 1759 10 12일 하만이 J.G. 린더에게 보낸 편지를 참조하라. 그 편지에서 하만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바움가르텐(Baumgarten), 포스트만(Forstmann), 라이헬(Reichel), 바울(Paulus)과 케파스(Kephas)는 모두 인간이다. 그리고 나는 하나님의 말씀을 그분의 뜻에 반하는 증인의 입에서 듣기보다, 바리새인의 입에서 듣는 것이 더 큰 기쁨을 줄 때가 많다. 천사의 입에서 듣는 것보다도 말이다.” 하만의 저작 제1, p.497. BB: 37, p.128의 주석을 참조하라.

[xi] 야곱이 꿈에서 "사다리가 땅에 서 있고 하늘에 닿아 있으며 하나님의 천사들이 오르내리는 것"을 보았다는 창세기 28 12절과 예수님이 말씀하신 요한복음 1 51절을 가리킵니다: "하늘이 열리고 하나님의 천사들이 인자에게 오르락내리락하는 것을 보리라."

[xii]  하나님의 나라를 강제로 취하다: 마태복음 11 12 "그러나 세례 요한의 시대부터 지금까지 천국은 강제로 들어가며, 들어가는 자는 그것을 취한다"(NT-1819)를 참조합니다.

[xiii] 거인: 그리스 신화에서 게아의 아들인 거인은 하늘과 제우스의 왕좌를 습격하여 하늘을 날아다니는 존재이다.

[xiv] 공격 사다리: 중세 시대에 도시나 성벽을 습격하는 데 사용되었다.

[xv] 장 폴(Jean Paul): 요한 파울 프리드리히 리히터(Johann Paul Friedrich Richter, 1763-1825)의 필명으로, 독일 작가. 그는 많은 소설과 단편 소설을 썼으며, 이들은 종종 단절적이고 수다스러우며 유머러스하거나 풍자적인 스타일을 특징으로 한다. 그는 낭만주의자도 고전주의자도 아니었으며(그의 동시대인 괴테와 달리), 오히려 18세기 감성주의 시대의 마지막 대표자로 간주된다. 그의 필명은 그가 영적으로 존경했던 인물인 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에서 따왔다. 장 폴은 19세기 가장 많이 읽히고 인용된 작가 중 한 명이 되었으며, 또한 미학 이론가로서도 영향을 끼쳤다. 특히 1804년에 출판된 미학의 준비과정(Vorschule der Aesthetik)은 그의 중요한 미학적 저서 중 하나이다(1813년 슈투트가르트와 튀빙겐에서 출판된 제2 확장판, 1-3). 쇠렌 키르케고르는 장 폴의 전집 1-60, 베를린 1826-28년판을 소장하고 있었다.

[xvi] 아마도 장 폴은 그의 방대한 작품에서 유머러스한 아이디어, 묘사 및 상황으로 구성된 가장 큰 '자본 컬렉션'을 가지고 있었다는 의미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