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키르케고르 일기 및 기록물 정리

NB23:140, Pap. X4 A144터툴리안(Tertullian) - 그리스도의 탄생과 기독교적 사랑의 본질 NB23:140, Pap. X4 A144터툴리안(Tertullian) - 그리스도의 탄생과 기독교적 사랑의 본질📌참고: 프리드리히 뵈링거(F. Böhringer)의 『그리스도의 교회와 그 증인들(Die Kirche Christi und ihre Zeugen)』에서 인용구체적인 출처는 명확하지 않으나, 터툴리안의 저술들에서 이와 유사한 내용이 언급됨 터툴리안은 어디선가 그리스도의 탄생 이후, 천문학(Astronomien)은 새로운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고 말한다. 그리스도(Χstus), 즉 동방의 박사들이 본 그분의 별(Stjerne)만이 이제 유일한 별이다.[i]나는 뵈링거에서 인용된 이 구절을 읽었다.해설: 즉, 그리스도의 탄생은 천문학적으로도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했으며, 모든 별들 중에서 오직 그리.. 더보기
NB23:139, Pap. X4 A143터툴리안(Tertullian) - 기도의 변화와 그리스도의 영향 NB23:139, Pap. X4 A143터툴리안(Tertullian) - 기도의 변화와 그리스도의 영향참고: 프리드리히 뵈링거(F. Böhringer)의 『그리스도의 교회와 그 증인들(Die Kirche Christi und ihre Zeugen)』 제1권, 1부, 348쪽, 터툴리안의 저서 『주님의 기도에 대하여(De Oratione Domini)』에서 인용 터툴리안은 그의 책의 한 구절에서 주기도문에 대해 말한다. “과거에는 기도가 나라에 재앙(Landeplager)을 불러왔고, 군대를 무너뜨렸으며, 풍요로운 비를 멈추게 하였다. 그러나 그리스도(Christus)께서는 기도에 오직 선을 위한 힘(Kraft til det Gode)만을 부여하셨다. 복음적 기도(Den evangeliske Bøn)는 병.. 더보기
NB23:138, Pap. X4 A142터툴리안(Tertullian) - 순교자들을 위한 위로: 감옥에서의 참된 자유 NB23:138, Pap. X4 A142터툴리안(Tertullian) - 순교자들을 위한 위로: 감옥에서의 참된 자유 이 구절은 터툴리안이 순교자들에게 보낸 위로의 글(Trøsteskrift til Martyrer)에서 발췌된 내용으로, 기독교적 자유(Christian freedom)에 대한 역설적인(paradox) 개념을 강조한다.참고: 프리드리히 뵈링거(F. Böhringer)의 『그리스도의 교회와 그 증인들(Die Kirche Christi und ihre Zeugen)』 제1권, 1부, 294쪽 원문 번역터툴리안은 기독교적 자유를 극한으로 밀어붙여, 다음과 같은 역설적인 진리를 수립한다.“그리스도를 위해 감옥에 갇힘으로써, 사람은 비로소 참으로 자유로워진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감옥은 기독교인.. 더보기
NB23:136, Pap. X4 A140, 터툴리안(Tertullian) - 기독교 신앙과 철학의 차이 NB23:136, Pap. X4 A140 터툴리안(Tertullian) - 기독교 신앙과 철학의 차이터툴리안은 기독교 신앙과 비기독교적 지혜(ikke-christelige Visdom, 철학)의 차이를 강조한다. 그는 특히 “신앙과 철학은 그 범위(Omfang)에서 차이가 난다”고 주장한다.“기독교는 완전한 계시(fuldendte Aabenbaring)이며, 명확한 목표(et bestemt Maal)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그리스도(Χstus)를 발견한 후, 더 이상 탐구할 필요가 없다. 우리는 복음(Evangeliet)을 찾은 후, 더 이상 찾을 필요가 없다. 우리는 믿기 때문에, 더 이상 다른 것을 믿을 필요가 없다. 우리는 무엇보다도 이것을 믿는다. 즉, 우리가 더 믿어야 할 것이 더 이상 존재하지.. 더보기
터툴리안(Tertullian) – 기독교 신앙과 비기독교적 지혜(철학)의 차이 ◄ 터툴리안(Tertullian) – 기독교 신앙과 비기독교적 지혜(철학)의 차이 📌 참고: 프리드리히 뵈링거(F. Böhringer)의 『그리스도의 교회와 그 증인들(Die Kirche Christi und ihre Zeugen)』  제1권, 1부, 311-313쪽📌 터툴리안의 핵심 주장: 기독교 신앙과 철학의 차이기독교 신앙과 비기독교적 철학(Visdom, Häresie)은 그 범위와 목표에서 차이가 난다. 기독교 신앙은 완전한 계시(vollendete Offenbarung)이며, 명확한 목표(ein bestimmtes Ziel)를 가지고 있다. 1. 기독교 신앙의 본질: 완전한 계시와 궁극적 확신✔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Jesus Christus)를 찾은 후, 더 이상 탐구할 필요가 없다.”✔.. 더보기
NB23:135, Pap. X4 A139, 터툴리안 터툴리안(Tertullian) – 은혜의 수단과 참된 신성의 표징터툴리안은 은혜의 수단에 대한 교리에서 **“참된 신성(Guddommelige)의 표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외적으로는 초라하고 단순한 모습(Die Einfachheit der Erscheinung, 초라한 모습)이면서도 내적으로는 강력한 신적 능력(guddommelig Kraft, 신성의 힘)이다.*여백에서: 즉, 참된 신성의 표징은 외적으로 초라한 모습가 내적인 신적 능력의 통일이다. 📌 반면, 이교적 신앙(hedenskabet)은 정반대이다. 내적으로는 텅 비어 있으면서, 외적으로는 화려한 장식(prunk, 허세와 과시)으로 가득 차 있다.  즉, 기독교의 참된 신성은 외적인 화려함이 아니라, 겉으로는 초라하더라도 내면의 신적.. 더보기
“나는 다르게 할 수 없다(Jeg kan det ikke anderledes)” ◄ “나는 다르게 할 수 없다(Jeg kan det ikke anderledes)” – 루터와 키르케고르의 신앙적 확신 이 표현 **“나는 다르게 할 수 없다”**는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가 1521년 **보름스 제국 의회(Rigsdagen i Worms)**에서 했던 유명한 말에서 유래했다. 📌 루터의 선언: 루터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에 반대하여 자신의 신학적 입장을 철회하라는 요구를 받았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신앙과 양심을 지키기 위해 이를 거부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Ich kann nicht anders, Gott helfe mir! Amen!”(“나는 다르게 할 수 없다. 하나님이 나를 도우시길! 아멘!”)📌 출처: C.F.G. Sta.. 더보기
NB23:134, Pap. X4 A138, “나는 다르게 할 수 없다(Jeg kan det ikke anderledes)” “나는 다르게 할 수 없다(Jeg kan det ikke anderledes)” – 터툴리안과 소크라테스의 확신 이 문장은 **터툴리안(Tertullian)**이 말한 것으로, 그의 원래 표현은 다음과 같다.“진리를 깨달은 자는 그것을 다르게 행할 수 없다. 그는 진리에 매달릴 수밖에 없다.” 📌 참조 자료: 프리드리히 뵈링거(F. Böhringer)의 『그리스도의 교회와 그 증인들(Die Kirche Christi und ihre Zeugen)』 제1권, 1부, 285-286쪽📌 소크라테스(Socrates)와의 연결 여기에서 다시금 소크라테스의 사상을 떠올릴 필요가 있다. 소크라테스는 “이해하는 것(forstå)“이란 단순한 인식이 아니라, 실천으로 드러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무언가를 진정으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