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라이프니츠
- 자유주의
- 능력의 말씀
- 반틸
- 칼 바르트
- 헤겔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키르케고르
- 말씀은 거울이다
- 내면의 감금
- 카리스아카데미
- 절망
- 변증학
- 현상학
- 시인의 실존
- 말씀
- 계시현상학
- 영원한 행복
- 반토대주의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말씀의 거울
- 후기 토대주의
- 카리스 아카데미
- 계시
- 문화 개신교
- 믿음
- 죽음에 이르는 병
- 토대주의
- 미학
- 도예베르트
- Today
- Total
프라우스
조르주 바타유 본문
조르주 바타유의 철학에서 금기를 깨는 경험은 인간이 일상적 질서와 도덕적 규범을 초월하고, 극단적인 경험을 통해 자신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방식으로 설명된다. 바타유는 인간 사회가 여러 금기(taboo)에 의해 형성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금기는 인간이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행동과 그렇지 않은 행동을 구분하는 기준이다. 그러나 그는 이 금기를 깨뜨리는 경험이야말로 인간이 자신의 존재와 세계에 대해 진정한 자유를 경험할 수 있는 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바타유에게 금기와 그 금기의 파괴는 매우 중요한 철학적 주제이다.
1. 금기의 의미
바타유는 금기를 사회적, 도덕적 규범으로 이해했다. 금기는 특정한 행동이나 욕망을 억압하는 사회적 장치로 작동하며, 이를 통해 사회적 질서가 유지된다. 금기는 개인의 욕망을 억제하고, 사회의 안전과 통합을 보장하는 기능을 한다.
• 금기의 사회적 역할: 금기는 인간의 본능적 충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폭력, 죽음, 성적 욕망과 같은 강한 충동들은 사회에서 금기시되며, 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의 욕망을 자제하고 사회 질서에 복종하게 된다. 이러한 금기는 일상적인 삶에서 인간의 행동을 통제하는 핵심 요소로 작동한다.
• 종교적 금기: 바타유는 특히 종교적 금기에 주목했다. 그는 종교가 금기를 통해 인간의 행동을 규제하고, 신성한 것과 속된 것 사이의 경계를 설정한다고 보았다. 금기는 종교적 의식과 전통 속에서 형성되며, 신성함을 지키기 위해 특정한 행동이나 욕망이 억제되는 방식이다. 성, 죽음, 폭력 등은 종교적으로 금기시되는 대표적인 요소이다.
2. 금기를 깨는 경험: 초월적 상태
바타유에게 금기를 깨는 경험은 인간이 자신의 본능적 욕망과 충동을 해방시켜 일상적 규범을 넘어서는 초월적 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험은 금기에 의해 억제되었던 충동을 해방시키는 것으로, 인간은 이를 통해 자기 초월과 해방을 경험할 수 있다.
• 일상적 질서의 파괴: 바타유는 금기를 깨는 경험이 일상적이고 규범적인 질서를 깨뜨리고, 그로 인해 인간이 비일상적이고 초월적인 경험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성적 금기나 폭력의 금기를 깨는 것은 인간이 자신의 억압된 본능을 해방시키고, 일상적인 도덕적 구속에서 벗어나 본능적 자유를 경험하게 만든다.
• 한계 경험: 바타유는 금기를 깨는 경험을 한계 경험(limit experiences)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인간이 일상적으로 경험할 수 없는 극단적인 경험을 통해 존재의 경계를 넘어서고, 그로 인해 새로운 의식 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성적인 도발, 폭력적인 파괴, 죽음에 대한 직면 등은 이러한 한계 경험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바타유에게 이러한 경험은 인간이 금기를 통해 억압된 충동을 해방하고, 새로운 존재의 상태로 들어서는 방식이다.
3. 금기와 위반의 상호작용
바타유의 철학에서 중요한 것은 금기와 금기 위반 사이의 상호작용이다. 금기는 단순히 억제의 대상이 아니라, 그 자체로 위반을 통해서만 의미를 가지게 된다. 바타유는 금기가 있을 때에만 위반이 가능하며, 위반은 금기 자체의 존재를 확인하고 의미를 부여한다고 보았다.
• 금기와 위반의 상호 필요성: 금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위반이 가능하며, 동시에 위반이 금기를 의미 있게 만든다. 바타유는 인간이 금기를 어길 때, 금기가 제시한 경계를 넘어서는 경험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단순히 금기를 깨는 행위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금기를 깨뜨림으로써 인간이 자기 자신을 초월하는 경험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축제와 희생: 바타유는 특히 축제나 희생 의식과 같은 행위에서 금기와 위반의 상호작용을 강조했다. 축제는 사회적 금기를 일시적으로 해체하고, 인간이 그 안에서 억제된 욕망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바타유는 이러한 행위가 금기를 깨는 경험을 통해 인간이 새로운 자유를 느끼고, 일상적인 규범을 초월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4. 죽음과 성적 충동: 금기의 핵심 요소
바타유는 특히 죽음과 성적 욕망을 금기의 핵심 요소로 보았다. 인간 사회에서 가장 강력하게 금기시되는 것은 성적 욕망과 죽음의 문제이다. 바타유는 이 두 가지 영역이 인간 존재의 본질적인 측면을 드러내며, 이를 깨뜨리는 경험이야말로 인간이 금기를 넘어선 극단적 자유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라고 주장했다.
• 죽음의 금기: 바타유는 죽음이 사회적 금기 중 가장 강력한 것 중 하나라고 보았다. 죽음은 공포와 두려움을 일으키며, 인간은 죽음을 직면하는 것 자체를 금기시한다. 그러나 바타유는 죽음의 금기를 깨고 죽음과 직접 마주하는 경험이 인간이 자신의 한계를 초월할 수 있는 중요한 경험이라고 강조했다. 죽음의 금기를 넘어서는 것은 인간이 유한성을 직면하고, 그로 인해 자기 자신을 넘어서는 과정이다.
• 성적 욕망과 금기: 성적 충동 역시 바타유에게 중요한 금기의 대상이다. 바타유는 사회적 규범과 종교적 도덕이 성적 욕망을 억압하고 금기시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는 성적 금기를 깨뜨리는 경험이야말로 인간이 자신의 본능을 해방하고, 억압된 욕망을 자유롭게 표출하는 중요한 방식이라고 주장했다. 성적 금기의 해체는 인간이 금기에 억눌린 욕망을 풀어놓는 행위이며, 이를 통해 인간은 더 강렬한 생명력을 경험할 수 있다.
5. 금기를 깨는 경험의 목적
바타유는 금기를 깨는 경험이 단순한 파괴나 쾌락 추구를 넘어서, 인간이 존재의 깊은 진실에 다가가는 길이라고 보았다. 금기를 깨는 경험은 인간이 자신의 한계를 넘어, 일상적 규범과 억압적 도덕을 초월하여 자유롭고 충만한 존재로 나아가는 방식이다.
• 자기 초월과 해방: 바타유에게 금기를 깨는 것은 단순히 규범을 어기는 것이 아니라, 그 행위를 통해 자기 자신을 초월하는 경험을 하는 것이다. 인간은 금기를 깨뜨림으로써 자신의 존재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얻고, 사회적 규범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 성스러움과 속됨의 경계 넘기: 바타유는 금기를 깨는 경험이 성스러움과 속됨의 경계를 넘나드는 경험이라고 보았다. 금기는 종종 신성한 것과 속된 것을 구분짓지만, 이 경계를 넘는 행위는 인간이 신성함과 속됨의 이분법을 해체하고, 그 둘 사이의 근본적인 연속성을 경험할 수 있게 만든다.
'철학 >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탈루스 (4) | 2024.11.02 |
---|---|
유발 하라리와 니체, 키르케고르의 관점의 차이 (5) | 2024.10.25 |
조르주 바타유와 지그문트 프로이트 (0) | 2024.10.21 |
르네 지라르와 조르주 바타유 (0) | 2024.10.21 |
칸트와 헤겔의 가능성과 현실성 (0) | 2024.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