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도예베르트
- 변증학
- 시인의 실존
- 카리스아카데미
- 죽음에 이르는 병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능력의 말씀
- 말씀은 거울이다
- 문화 개신교
- 말씀의 거울
- 후기 토대주의
- 토대주의
- 계시현상학
- 말씀
- 칼 바르트
- 미학
- 영원한 행복
- 계시
- 내면의 감금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카리스 아카데미
- 절망
- 현상학
- 믿음
- 라이프니츠
- 반토대주의
- 키르케고르
- 자유주의
- 헤겔
- 반틸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5/01/27 (1)
프라우스
라이프니츠와 키르케고르 비교
라이프니츠와 키르케고르를 비교할 때, “무(nothing)“와 독립, 자유”의 개념은 두 철학자의 차이를 핵심적으로 드러냅니다. 이 차이는 단순히 최선의 세계와 실존적 결단이라는 대조를 넘어, 행위의 본질과 결과, 그리고 존재의 방식에서 드러나는 차이를 보여줍니다. 이를 바탕으로 한층 더 심화된 비교를 시도해 보겠습니다.1. 라이프니츠: 최선의 세계와 선의 “완결성”(1) 최선의 세계와 인간의 역할• 라이프니츠의 철학에서 최선의 세계는 이미 완성된 하나님의 섭리입니다.• 인간은 이 섭리 안에서 조화로운 일부로서 선을 행합니다.• 하지만, 그 선은 항상 하나님의 계획 속에 위치하며, 이는 결국 객관적 평가의 대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선행을 행하면 이는 “최선의 세계를 구성하..
철학/사상
2025. 1. 27. 1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