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미학
- 토대주의
- 능력의 말씀
- 키르케고르
- 반토대주의
- 반틸
- 말씀
- 계시
- 라이프니츠
- 변증학
- 절망
- 카리스 아카데미
- 도예베르트
- 칼 바르트
- 말씀의 거울
- 자유주의
- 내면의 감금
- 죽음에 이르는 병
- 문화 개신교
- 카리스아카데미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시인의 실존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헤겔
- 계시현상학
- 믿음
- 영원한 행복
- 말씀은 거울이다
- 현상학
- 후기 토대주의
Archives
- Today
- Total
프라우스
루터, 직업과 소명 본문
NB24:141, Pap. X4 A 394, JP 3:2541
루터의 수도원 이탈
떠나라! 루터가 외친다. 금식 등의 이런 상상 속의 경건한 행위를 떠나라! 모든 사람은 자신의 소명에 머물러야 한다. 그것이 진정한 하나님을 향한 진정한 예배다.
하지만 조금 더 루터처럼 행동하라. 다시 말해, 모든 사람이 자신의 직업에 머물러야 한다. 그러나 모든 세속적인 직업이 기독교와 양립할 수 있는가? 예를 들어, 극장의 배우가 되는 것이다. 여기에 큰 충돌이 잠 들어 있다. 다음으로, 그는 세속적인 직업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그러한 시민의 예절이 그리스도인에게 충분한가? 그렇지 않다면, 그는 세속적인 직업에서 기독교 윤리를 표현해야 한다. 그러면 그는 하나, 둘, 셋(ein, zwei, drei)처럼 빨리 가난과 박해로 전락할 것이다.
다음의 관점에서 볼 수 있다: 수도원의 오류에 반대할 때, 이 전환점은 매우 단순해 보인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어떤 거대한 갈등이 잠 들어 있다. 왜냐하면 진정한 기독교는 이 세상과는 어울리지 않는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루터는 변증법가가 아니었다. 그는 항상 문제의 한쪽 면만 보았다.
'키르케고르 일기 및 기록물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B24:152, Pap. X4 A 405, 단독자―대중 (0) | 2024.01.12 |
---|---|
욥기에 대하여, NB24:143, Pap. X4 A 396 (0) | 2024.01.11 |
NB11:23, Pap X1 A 318, 윤리-종교적 소론의 순환 (0) | 2024.01.04 |
NB:160, Pap. VIII1 A 49, 가시 (0) | 2023.12.28 |
마음의 청결에 대하여, JP IV 4435 (Pap. VII1 B 192:13) n.d., 1846 (2) | 2023.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