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라이프니츠
- 문화 개신교
- 말씀
- 칼 바르트
- 계시현상학
- 믿음
- 변증학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헤겔
- 능력의 말씀
- 반토대주의
- 말씀의 거울
- 카리스 아카데미
- 내면의 감금
- 키르케고르
- 카리스아카데미
- 현상학
- 반틸
- 자유주의
- 시인의 실존
- 토대주의
- 절망
- 도예베르트
- 후기 토대주의
- 죽음에 이르는 병
- 말씀은 거울이다
- 영원한 행복
- 계시
- 미학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Today
- Total
목록2025/02/06 (18)
프라우스
NB23:147, Pap. X4 A151📌 거리(Afstand)📖한때, 모든 것은 내면의 싸움과 영적 시험(Anfægtelse)이었다. 그것이 “하나님의 뜻인가?”(Guds Villie)가 가장 중요한 질문이었다. 그래서 모든 준비는 이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사람들은 고독 속으로 물러나(Eensomhed), 금식하고(faste), 기도하며(bad) 준비했다.하지만 지금은 모든 것이 외향적으로 변했다(udadvendt). 이제는 오히려 ‘음모(Intriguer)’가 번성하고 있다. 더 중요한 것은 “우리가 몇 명이 되는가”와 같은 집단을 형성하는 것이다.만약 과거의 개인과 현대의 개인을 함께 둔다면, 그들은 서로를 전혀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한 사람은 다른 사람이 무엇을 하는지조차 전혀 이해하지 못할 ..
NB23:146, Pap. X4 A150금욕(Askese)우리 시대(19세기)가 ‘돈키호테(Don Quixote)’에 가장 가깝다고 여길 만한 존재는 아마도 ‘옛날 방식의 금욕주의자(Asket)’일 것이다. 그는 금식하고 기도하며, 심지어 가장 작은 죄악적인 생각에도 스스로를 고발하며 스스로에게 형벌을 가하는 사람이다. 하지만, 우리는 모두 ‘그리스도인(Χstne)’ 아닌가!만약 누군가 가난하고 검소하게 살아간다면, 돈이 없기 때문이라고 우리는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아마도 곧 이런 이해조차 사라질 것이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그에게 ‘그냥 공산주의자가 되라’고 말할 테니.) 그러나, 이것은 ‘금욕(Askese)’의 개념이 아니다.진정한 금욕이란 ‘영의 훈련(Aands-Diætetik)’이며, 그것이..
NB23:145, Pap. X4 A149바실리우스(Basilius)의 가르침 - 악을 피하는 세 가지 방식 우리는 악(Evil)을 피할 수 있다. 그 방식에는 세 가지가 있다.1️⃣ 형벌(Frygt for Straf)에 대한 두려움으로 피하는 것 - 노예(Trælle)처럼.2️⃣ 보상(Haab om Løn)을 기대하며 피하는 것 - 품꾼(Leiesvende)처럼.3️⃣ 하나님에 대한 사랑(Kjerlighed til Gud)으로 피하는 것 - 자녀(Børn)처럼.참고: 프리드리히 뵈링거(F. Böhringer), 『그리스도의 교회와 그 증인들(Die Kirche Christi und ihre Zeugen)』 제1권, 2부, 258쪽.의미와 해석바실리우스는 ‘악을 피하는 동기(motivation)’에 따라,..
NB23:144, Pap. X4 A148그리스도(Christus)―본보기(Forbilledet)로서의 문제점한 인간적인 상대성(Relativitæt)을 생각해보라. 예를 들어, 한 실존적 윤리학자(existentiel Ethiker)를 떠올려 보자. 그에 대한 동시대 사람들의 관심은 언제나 그를 한편으로 밀어내고,단순한 ‘경이로운 존재’(Beundring)로 만들어 버리는 것이다. 그러면 그들은 그를 본받아야 할 책임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즉, 그를 미학적으로(æsthetisk) ‘특별한 존재’로 만든 후,감탄만 할 뿐, 그를 윤리적으로(ethisk) 따르려 하지 않는다.이것은 인류가 언제나 그리스도(Χstus)에 대해 취해온 태도와 같다.기독교(Χstd.)는 실존적으로(Existentielle) ..
몬타누스주의(Montanism)란? 📌 **몬타누스주의(Montanism)**는 2세기 후반에 등장한 기독교 내 신비주의적 예언 운동으로, **몬타누스(Montanus)**가 창시하였다. 이 운동은 성령의 강한 역사와 종말론적 메시지를 강조하면서, 기존 교회와 갈등을 빚었다.1. 몬타누스주의의 역사적 배경✔ 등장 시기: 2세기 후반 (c. 156년경 시작)✔ 창시자: 몬타누스(Montanus) – 프리기아(Phrygia, 현재 터키 지역) 출신✔ 주요 동료: 프리스킬라(Priscilla), 막시밀라(Maximilla) – 여성 예언자 몬타누스주의는 기독교가 점점 조직화되고 제도화되던 시기에 등장했다. 당시 교회는 점점 안정적인 교리 체계를 확립하고 있었고, 성경 정경화 과정도 진행 중이었다. 그러나 몬..
NB23:141, Pap. X4 A145터툴리안(Tertullian) - 기독교인의 전쟁 참여에 대한 입장 참고: 프리드리히 뵈링거(F. Böhringer)의 『그리스도의 교회와 그 증인들(Die Kirche Christi und ihre Zeugen)』 제1권, 1부에서 인용(정확한 페이지 미상), 터툴리안의 저서에서 발췌된 것으로 추정나는 터툴리안(Tertullian)이 이렇게 말했다고 생각한다.“기독교인은 결코 전쟁(War)에 참여해서는 안 된다. 전쟁에 참여하는 것은 결국 칼(Sværd)을 뽑는 것이며, 그러나 그리스도(Χstus)께서는 칼을 칼집에 도로 꽂으라고 명하셨다.” 나는 이 내용을 뵈링거(Böhringer)의 『그리스도의 교회와 그 증인들』제1권, 1부 어딘가에서 읽었다. 그리고 이것이..
NB23:140, Pap. X4 A144터툴리안(Tertullian) - 그리스도의 탄생과 기독교적 사랑의 본질📌참고: 프리드리히 뵈링거(F. Böhringer)의 『그리스도의 교회와 그 증인들(Die Kirche Christi und ihre Zeugen)』에서 인용구체적인 출처는 명확하지 않으나, 터툴리안의 저술들에서 이와 유사한 내용이 언급됨 터툴리안은 어디선가 그리스도의 탄생 이후, 천문학(Astronomien)은 새로운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고 말한다. 그리스도(Χstus), 즉 동방의 박사들이 본 그분의 별(Stjerne)만이 이제 유일한 별이다.[i]나는 뵈링거에서 인용된 이 구절을 읽었다.해설: 즉, 그리스도의 탄생은 천문학적으로도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했으며, 모든 별들 중에서 오직 그리..
NB23:139, Pap. X4 A143터툴리안(Tertullian) - 기도의 변화와 그리스도의 영향참고: 프리드리히 뵈링거(F. Böhringer)의 『그리스도의 교회와 그 증인들(Die Kirche Christi und ihre Zeugen)』 제1권, 1부, 348쪽, 터툴리안의 저서 『주님의 기도에 대하여(De Oratione Domini)』에서 인용 터툴리안은 그의 책의 한 구절에서 주기도문에 대해 말한다. “과거에는 기도가 나라에 재앙(Landeplager)을 불러왔고, 군대를 무너뜨렸으며, 풍요로운 비를 멈추게 하였다. 그러나 그리스도(Christus)께서는 기도에 오직 선을 위한 힘(Kraft til det Gode)만을 부여하셨다. 복음적 기도(Den evangeliske Bøn)는 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