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우스

NB23:145, Pap. X4 A149바실리우스(Basilius)의 가르침 - 악을 피하는 세 가지 방식 본문

키르케고르 일기 및 기록물 정리

NB23:145, Pap. X4 A149바실리우스(Basilius)의 가르침 - 악을 피하는 세 가지 방식

엉클창 2025. 2. 6. 14:02

 

NB23:145, Pap. X4 A149

바실리우스(Basilius)의 가르침 - 악을 피하는 세 가지 방식

 

우리는 악(Evil)을 피할 수 있다. 그 방식에는 세 가지가 있다.

1️⃣ 형벌(Frygt for Straf)에 대한 두려움으로 피하는 것 - 노예(Trælle)처럼.
2️⃣ 보상(Haab om Løn)을 기대하며 피하는 것 - 품꾼(Leiesvende)처럼.
3️⃣ 하나님에 대한 사랑(Kjerlighed til Gud)으로 피하는 것 - 자녀(Børn)처럼.
참고: 프리드리히 뵈링거(F. Böhringer), 『그리스도의 교회와 그 증인들(Die Kirche Christi und ihre Zeugen)』 제1권, 2부, 258쪽.


의미와 해석
바실리우스는 ‘악을 피하는 동기(motivation)’에 따라, 인간의 신앙적 태도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이는 인간이 신앙을 실천하는 이유와 수준의 차이를 나타낸다.

 1️⃣ 노예(Trælle) 같은 신앙 - “두려움에 의한 순종”
✔ 형벌에 대한 두려움으로 악을 피하는 단계이다.
✔ 하나님이 두렵기 때문에, 즉 심판과 형벌을 피하려고 선을 행하는 것이다.
✔ 하지만, 이는 강제적인 순종이며, 참된 사랑이 결여된 신앙일 수 있다.

 2️⃣ 품꾼(Leiesvende) 같은 신앙 - “보상에 대한 기대”
✔ 보상과 축복을 바라는 마음으로 악을 피하는 단계이다.
✔ 하나님께 순종하면 천국과 상급을 받을 것이라는 기대 속에서 행동한다.
✔ 하지만, 이 역시 거래적인 신앙이며, 조건적인 사랑에 가깝다.

3️⃣ 자녀(Børn) 같은 신앙 - “하나님을 향한 순수한 사랑”
✔ 하나님 자체를 사랑하여 악을 피하는 신앙이다.
✔ 하나님을 두려워해서도, 보상을 바라서도 아니라, 단순히 하나님을 사랑하기 때문에 선을 행하는 것이다.
✔ 이는 가장 이상적인 신앙 형태이며, 신앙이 사랑으로 완성되는 단계이다.

 

결론:

✔ 바실리우스는 참된 신앙의 목표가 ‘하나님을 향한 사랑(Børn)’에 근거해야 함을 강조했다.
✔ 형벌을 두려워하는 신앙(Trælle)이나, 보상을 바라는 신앙(Leiesvende)은 여전히 미성숙한 신앙이다.
✔ 진정한 신앙은 하나님을 사랑하기 때문에 선을 행하고, 악을 피하는 것이다.

 

📌 적용:

✔ 나는 하나님을 왜 믿는가?
✔ 단순한 두려움 때문인가?
✔ 보상을 기대해서인가?
✔ 아니면, 정말 하나님을 사랑하기 때문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