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말씀
- 도예베르트
- 헤겔
- 문화 개신교
- 반토대주의
- 반틸
- 자유주의
- 현상학
- 칼 바르트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계시현상학
- 계시
- 믿음
- 후기 토대주의
- 말씀의 거울
- 변증학
- 라이프니츠
- 카리스아카데미
- 키르케고르
- 미학
- 절망
- 능력의 말씀
- 내면의 감금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말씀은 거울이다
- 영원한 행복
- 죽음에 이르는 병
- 시인의 실존
- 토대주의
- 카리스 아카데미
- Today
- Total
프라우스
아이러니, 유머, 코믹, 키르케고르 일기 정리 본문
P95:123, JP:1669, Pap. I A 125, 1836년 2월
삶의 아이러니는 필연적으로 어린 시절, 상상력의 시대에 가장 본질적이다. 이것이 중세 시대에 그토록 눈에 띄는 이유이다. 이것이 낭만주의 학교에 존재하는 이유이다. 성인기는 세상에 더 많이 몰두할수록 아이러니가 그다지 많지 않다.
P95:135, JP:1670, Pap. I A 145, n.d., 1836(다시 번역 요망)
세상을 가지고 노는 독특한 코미디를 보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예를 들어, 스칸디나비아 영웅 이야기[1]에서 가장 기대하지 않았던 사람이 갑자기 힘과 권력을 가지고 일어서는데, 이는 그의 어리석음을 이용해 그를 조롱하는 사람들에게는 그리 달갑지 않은 일이다.(햄릿의 모든 유형.[2] 나는 다음의 예를 인용할 수 있다. Ketil Hæng’s Saga,[3] III, 2, p. 3 passim and Buesvingers Saga, III, 2, p. 211.)
그러나 마치 한동안 재 아래에서 불이 계속 빛나고, 나중에 더 활기차게 타오르는 것, 이것은 자연이기 때문에 그렇게 이상하지 않다. 이것은 갑작스러운 소멸[4]이 나중에 찬란한 시대로의 전환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바로 여기에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더 주목할 만한 것은 모든 영리함을 지닌 세상이 미친 사람처럼 연기하면서도 그 모든 것을 이겨내는 개인 앞에 서 있을 때 발생하는 기이한 종류의 세상에 대한 아이러니의 예, 예를 들어 슈밥, 『삶의 이야기와 말』, 380쪽에서 볼 수 있듯이, 로버트 데어 토펠의 캐릭터(357쪽)는 그가 상담하는 은둔자에게 바보와 귀머거리처럼 행동하고 개들과만 음식을 먹고 그들과 함께 자라는 조언을 듣는다.
여기서처럼 갑작스런 소멸이 나중에 화려한 시대로의 전환을 형성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 그러나 여전히 더 이상한 것은 세상의 이상한 종류의 아이러니한 예입니다. - 모든 영리함에서 광인 역할을하면서도 그들 모두를 능가하는 개인과 대결한다는 점에서 - 나는 로버트 데어 토펠의 "슈밥, 가장 아름다운 이야기와 이야기 책", 357 페이지에서 그가 상담하는 은둔자가 그에게 바보와 벙어리처럼 행동하고 개와 함께하지 않으면 음식을 즐기고 그들과 함께 누워야한다고 강요하는 곳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각주3 덴마크어
◄ Ketil Hængs Saga 3 D. 2 H. S. 3 o. f. : sigter til Ketil Hængs Saga i Ketil Hængs og Grim Lodinkins Sagaer, Ørvarodds Saga, An Buesvingers Saga og Romund Grejpssøns Saga efter islandske Haandskrifter, overs. af C.C. Rafn, Kbh. 1826 (indgår med separat paginering i Nordiske Kæmpe-Historier bd. 3 ( 132,20)), s. 3-39; s. 3-8: »Paa Øen Rafnista ud for Nummedalen boede engang en Mand, som hed Halbjørn med Tilnavn Halvtrold, der var en Søn af Ulf hin Dristige. Det var en anseelig Mand, som havde meget at sige blandt Bønderne der nordpaa i Omegnen. Han var gift, og havde en Søn, der hed Ketil, og var stor af Væxt, og af et mandigt Udseende, men dog ikke smuk. Saasnart Ketil var nogle Vintre gammel, lagde han sig i Køkkenet; de, som gjorde saa [således], vare i den Tid udsatte for raske Mænds Spot. Naar Ketil sad ved Ilden, havde han den Vane, at han havde den ene Haand i Hovedet, og med den anden ragede han i Ilden foran sig. Halbjørn bad ham lade være at sidde med Haanden i Hovedet, og sagde, at da vilde det blive bedre imellem dem; Ketil svarede intet, men blev borte noget derefter, og var borte i tre Nætter; da kom han hjem, og havde en vel gjort Stol paa Ryggen; den gav han sin Moder, og sagde, at han havde større Kjærlighed at lønne hende end sin Fader. Det hændte sig nu en Sommerdag, da det var godt Vejr, at Halbjørn lod age [køre] Hø, og der laa endnu meget tilbage; han gik da ind i Køkkenet til Ketil, og sagde: 'Nu burde du, Frænde! tage dig noget for, og age Hø i Dag, thi naar det gaaer haardt paa, maa man nytte [drage nytte af] alles Hjælp.' Ketil sprang da op, og gik ud; Halbjørn gav ham to Øg og en Kone til Arbejde; han agede nu Hø hjem til Gaarden, og tog saa rask fat paa Arbejdet, at omsider otte maatte stakke sammen, og alle syntes dog at have nok at gjøre; om Aftnen var alt Høet ført i Huus, men begge Øgene vare sprungne. Da sagde Halbjørn: 'Nu synes det passende, Frænde! at du paatager dig Godsets Bestyrelse, thi du er ung, og tiltager med hver Dag i Styrke og Duelighed til alt, men jeg bliver nu gammel og stiv, og ikke til noget meer.' Ketil sagde, at han ikke vilde det. ... Der var en Mand, ved Navn Bjørn, som boede der i Nærheden; han havde faaet den Vane at gjøre Nar af Ketil, og kaldte ham Rafnista-Tossen. Bjørn roede ofte ud paa Søen at fiske; det hændte sig nu en Dag, da han var roet ud, at Ketil tog en Fiskerbaad, Snore og Angler, og roede dermed ud, og lagde sig til at fiske. Bjørn var der forud med sine Folk, og da de saae Ketil, lo de meget, og gjorde Nar af ham, og Bjørn var denne Gang, ligesom han plejede, den, der førte dem an i dette. De gjorde en god Fangst, men Ketil drog en Brosme [en torskeart], en meget ringe Fangst, men ikke flere Fiske. Da Bjørn og hans Folk havde ladet deres Baad, trak de deres Fiskeredskaber op, og gjorde sig færdige til at drage hjem. Det samme gjorde Ketil; de lo da ad ham, men da sagde Ketil: 'Nu vil jeg afstaae eder hele min Fangst, og skal den af eder have den, hvem den først træffer, og han kastede da Brosmen op i Vejret over paa deres Skib. Brosmen traf Bjørn Bonde paa Øret saa haardt, at Hjærnen gik sønder, og Bjørn faldt ud over Borde, sank strax under Vandet, og kom aldrig op siden; da roede de andre til Land, og det samme gjorde Ketil. Halbjørn brød sig ikke meget herom. ... Der forefaldt nu en Tid ikke noget mærkeligt; Ketil sad endnu ofte ved Ilden; Halbjørn drog meget ud paa Fiskefangst, og da Ketil en Gang bad ham om, at han maatte drage med, sagde Halbjørn, at det passede sig bedre for ham at sidde ved Ilden, end at være paa Søfærd; men da Halbjørn kom til Skibet, var Ketil der forud, og Halbjørn formaaede da ikke at jage ham tilbage; Halbjørn gik da i Forstavnen paa Færgen, og bad Ketil gaae for Bagstavnen og skyde Skibet i Søen. Ketil gjorde saa [således], men Skibet gik ingensteds. Da sagde Halbjørn: 'Ulig er du dine Frænder, og seent vænter jeg, vil der komme Styrke i dig; jeg plejede, førend jeg blev gammel, at skyde Færgen ene ud.' Da blev Ketil vred, og stødte Færgen saa haardt frem, at Halbjørn styrtede ud mellem Stenene paa Strandbreden, men Færgen standsede ikke førend ude paa Søen. Da sagde Halbjørn: 'Kun lidet lader du mig nyde godt af vort Slægtskab, at du vil knuse Benene i mig, men det vil jeg nu sige, at jeg troer, at du er tilstrækkelig stærk, thi jeg vilde nu prøve din Styrke; jeg stod imod saa haardt, jeg formaaede, men du skød den alligevel frem; det synes mig derfor, at jeg ejer en brav Søn.' De fore dernæst til Fiskestederne.«
P95:142, I A 154, 1671
아이러니와 반대되는 유머, 따라서 이 두 요소는 원칙적으로 한 개인 안에서 통합 될 수 있다. 두 부분 모두 세계에 타협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상과 타협하지 않는 것은 유머에서는 세상에 대해 조금도 상관하지 않음으로, 아이러니에서는 세상에 영향을 미치려고 하지만 바로 이런 이유로 세상으로부터 조롱을 받는 것으로 수정된다. 이것은 시소(파도 운동)의 두 반대쪽 끝이다. 유머리스트는 세상이 자신을 조롱할 때, 삶과의 싸움에서 종종 밑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위로 올라와서 비웃어야 하는 오리와 같은 기분을 느낀다. (예들 들어, 파우스트가 세상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를 이해하지 못하는 세상을 향해 다시 한 번 미소 짓을 때이다).
1836년 4월.
Humor i Modsætning til Ironie, og de kunne derfor gjerne være forenede i et Individ, begge Dele betinges derved, at man ikke er indgaaet med Verden; men ved det første modificeres denne Ikke-Indgaaen med V. derved, at man bryder sig Pokker om den, ved den anden derimod derved at man søger, at paavirke V.; men netop spottes af denne. Det er de to modsatte Ender af et Vippebredt (Bølgebevægelse); thi Humoristen føler Øieblikke, hvor Verden gjækker ham, ligesom den Anden, der i sin Kamp med Livet ofte maa ligge under, ofte igjen hæver sig over den og smiler ad den. (Naar fE. Faust ikke forstaaer Verden og dog igjen smiler over Verden, som ikke forstaaer ham.).
April 1836.
참고 영상
https://youtu.be/8SpwpsMh3mo?si=-e9dsumIWtheW_Pm
JP:1672, Pap. I A 158 n.d., 1836
자살을 생각하며 걸어가던 한 사람이 바로 그 순간 돌이 떨어져 그를 죽였고, 그는 이렇게 말하며 끝을 맺었다: 주님을 찬양하라!
JP:1673, Pap. I A 190 n.d., 1836.
아이러니, 소크라테스가 시작한 무지, 무에서 창조한 세계, 그리스도를 낳은 순결한 동정녀
P95:160, JP:1674, Pap. I A 207 July 19, 1836
기독교의 아이러니는 기독교가 전 세계를 포괄하려고 시도했지만, 그 불가능성의 씨앗이 그 자체 안에 있다는 데 있지 않은가? 이것은 다른 것, 즉 유머러스한 것과 연결되어 있다. 즉 실제로 세계라고 부르는 것에 대한 관점과 연결되어 있다(이 개념은 유머러스한 것에 속하며, 따라서 어떤 의미에서 유머러스한 것은 중간 지점을 차지한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세상에서 스스로를 주장하고 계속 그렇게 해왔던 모든 것은 아마도 그리스도인들의 하나의 진리와 관련하여 설정되었기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에게 왕과 왕자, 권력과 영광, 철학자와 예술가, 적과 박해자 등은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보이며, 그들의 위대함은 그리스도인들의 생각에는 아무것도 아니어서 그냥 웃을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1675, Pap. I A 238 n.d., 1836
실제로 홀베르그를 지배하고 있는 분위기가 있기 때문에, 많은 지점에서 그의 드라마(에라스무스 몬타누스, 제페 등)가 비극으로 빠져들고, 그것을 중재하는 아이러니한 관점을 건너뛴다. 직접성에 기반한 비극이 희극의 색조를 띠거나(우연한 사건을 통해 우스꽝스러워진다), 영웅 이야기에서처럼 아이러니가 처음부터 잠자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1676, Pap. I A 239, 1836년 9월 13일, P95:182:2
아이러니는 오직 직접적인 것(그러나 개인은 그것을 그렇게 의식하지 않는다)과 변증법적 입장에만 고유한 반면, 세 번째 입장(성격의 입장)에서는 세계에 대한 반응이 아이러니로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체념이 이제 개인에게 발달했기 때문이다. 체념이란 모든 노력이 세계 질서의 구조 안에서 계속되는 한, 가져야 하는 한계에 대한 명확한 의식이다. 아이러니와 체념은 서로 반대되는 두 극, 즉 운동의 두 반대 방향이다.[5]
1677, Pap. I A 256, 1836년 8월, P95:179:1
고대인들에게, 신적인 것은 언제나 세계와 통합된다. 따라서 아이러니가 없다.
1678, Pap. I A 265 1836년 9월 27일, P95:196(다시 번역 요망)
내가 아이러니라고 불렀던 것 중 일부는 그리스인들이 네메시스라고 불렀던 것에 접근하지 않는가? 예들 들어, 즉 죄책감으로 인해 가장 불행하다고 느끼는 바로 그 순간에 개인을 과도하게 압박하는 것, 예를 들어, 파우스트에서 파우스트와 그의 아버지가 전염병이 창궐했을 때, 환호하는 농민들이 그를 영접하고 그와 병든 아버지의 예술에 감사하는 장면에 바그너가 감탄하는 것과 비슷하지 않습니까?
1679, Pap. II A 37 n.d., 1837, AA:27
고전을 읽거나 완전히 성숙한 사람과 교제할 때 느껴지는 고요함과 안정감은 낭만주의자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다. 여기에 어느 순간에 펜이 기괴한 획으로 도망갈까 봐 두려워할 정도로 떨리는 손으로 글을 쓰는 사람을 보는 것과 같은 것이 있다.(이것은 잠자고 있는 아이러니이다.)
1680, 1679의 여백에서(II A 37)
아이러니 개념의 발전은 여기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환상적이고 장대한 아이디어가 만족스럽고 반성은 아직 이 위치의 독창성(Standpuncts Godtroenhed)을 방해한 적이 없다. 그러나 이제는 세상이 이런 식으로 진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관찰하고 고상한 이상을 포기할 수 없기 때문에, 그도 마찬가지로 어떤 식으로든 세상의 조롱을 느껴야한다(아이러니-낭만적인, 앞의 것은 낭만적이지 않지만 성취의 형태의 만족감이다). (이 아이러니는 개인에 대한 세계의 아이러니이며, 그리스인들이 아이러니라고 부르는 것과는 다르다. 이는 단독자가 세계 위에 떠있는 아이러니한 만족감이며, 소크라테스에서 국가에 대한 관념(idea)[6]이 점점 더 사라지면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모든 것이 투쟁이라는 낭만주의적 위치(Standpunct)에서는 아이러니가 개인 안으로 들어올 수 없고 그 바깥에 놓여 있다. 나는 이 구분이 너무 간과되었다고 믿는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위치가 있는데, 여기에서 아이러니는 오래 지속된다.
DD:3, JP: 1681, Pap. II A 75 n.d., 1837
하만[7]은 기독교에서 유머의 좋은 대표자가 될 수 있다(이 다른 시대에는 더욱 그렇다). 그러나 그 안에서 다시 한 번 유머에 대한 경향은 필연적으로 한쪽 면으로 발전했다. 그 결과 a) a) 기독교에 내재 된 유머 때문에, b) 종교 개혁으로 조건화된 개인의 고립 때문에, 이 고립은 가톨릭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다. 가톨릭은 교회가 있었기 때문에 ‘세상’을 반대할 수 있었다.교회로서의 순수한 개념에서 가톨릭이 그렇게 하는 경향이 적을 수 있지만, 어쨌든 유머를 모든 것에 반대하는 유머로까지 발전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오히려 척박하고, 적어도 번성하는 식생이 없고 난쟁이 자작나무만 자라고 있다.(하만의 경우 그렇지 않은 이유는 폭이 좁은 만큼 깊이가 있는 그의 심오한 감성과 엄청난 천재성에서 찾을 수 있다. 하만은 지식에 탐닉하는 동시대인들을 자신의 황새 병을 핥도록 초대하는 것을 매우 즐거워했다.[8] 하지만 마찬가지로 그는 이 위치의 진정한 중심을 대변할 수 있는 아주 좋은 대표자가 될 수 있다.) c) 그 자신의 타고난 유머러스한 기질 때문이다. 따라서 하만은 기독교에서 가장 위대한 유머리스트라고 말할 수 있다.(인생관에서 가장 위대한 유머리스임을 뜻함. 세계사적으로 가장 유머러스한 인생관이라는 의미, 따라서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유머리스트)
DD:6 일기 원본
DD:6, 1863, II A 78
일반적으로 기독교에 내포되어 있는 유머러스함a)은 진리가 신비 속에 숨겨져 있다[9]는 기본 원칙으로 표현된다(εν μυστηϱιῳαποϰϱυφη).[10] 이는 진리가 신비 속에 있다는 것(신비가 충분히 형성되어, 그 신비에 포함된 사람들은 즉시 나머지 세상을 유머러스한 시각으로 인식했기 때문에 세계 전체가 더 듣고 싶어하는 진술)뿐만 아니라, 진리가 심지어 신비 속에 숨겨져 있다는 것c)까지 가르친다. 그것은 바로 세상의 지혜를 유머러스하게 만드는 가장 높은 수준의 삶의 관점(인생관)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 진리는 대개 신비 속에서 계시된다.
기독교가 낭만주의 요소를 그 자체에서 분리하지 않는 한, 기독교 지식이 아무리 증가하더라도, 여전히 그 기원을 기억하고 따라서 모든 것을 신비 속에서(εν μυστηϱιῳ) 안다.
기독교의 유머러스한 요소는 그 진술에서도 나타난다: “내 멍에는 쉽고 내 짐은 가벼움이라.”[11] 왜냐하면 그것은 의심할 여지없이 세상에게는 극도로 무겁기 때문이다. 상상할 수 있는 가장 무거운 것, 그것은 자기 부인(self-denial)이다.
물론 그리스도인의 무지(예를 들어, 하만[12]의 경우처럼 순수한 소크라테스적 관점[13])는 유머러스하다. 그렇게 자신을 가장 낮은 위치로 끌어내리고 일반적 견해를 올려다보는 것(즉, 내려다보는 것) 외에 무엇이 있겠는가? 그러나 이러한 자기 비하 뒤에는 고도의 자기 고양(예를 들어, 그리스도인의 겸손)이 놓여 있기 때문이다.[14] 그것은 세상에 대한 논쟁적인 형태로 자신의 비참함을 증가시키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정상적인 형태로 고귀한 자부심(하나님 나라에서는 가장 작은 자가 세례 요한보다 더 크다[15]), 또는 비정상적인 형태로 평범한 사건의 과정(역사적 결합(nexus))으로부터 거만한 고립을 포함한다.
따라서 기적도 이런 인생관[16]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독교가 얻은 능력 때문이 아니라, 현자들의 가장 심오한 모든 사상(ideas)이 발람의 예언하는 당나귀[17]와 비교할 때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적이 덜 중요할수록, 말하자면 물리학 교수들을 당황하게 하는 기적을 원할수록, 또는 역사적 발전과 관련이 적을수록, 심지어 이 관점이 하나님을 유혹하는 지점까지 이를 때, 즉 물리학 교수들을 당황하게 하는 기적을 원할수록, 하나님은 더 기뻐하신다. 실제로 이 관점은 가나에서 포도주가 물로 변한 것을 무엇보다도 기뻐할 것이다.[18] 그렇다. 그리스도의 부활의 기적을 기뻐하는 것은 부활절의 진정한 기쁨이 아니라, 바리새인들과 그들의 군인들과 무덤 앞의 큰 돌을 희생시키면서까지 얻는 즐거움에 더 가깝다.[19] 그렇기 때문에 이 관점은 말구유, 아이가 싸여 있던 누더기, 두 강도 사이의 십자가에 못 박힌 모습에 머물 준비가 된 것이다.g)[20]
1837년 6월 3일
1683
1682의 여백에서:
a) 나는 다브(Daub)가 지금 출판 된 그의 인류학 강의[21]에서 고대인들[22]이 유머를 갖지 못한 이유에 대해 아주 간략하게 비슷한 관찰을 하는 것을 본다. 482쪽 참고.
II A 79, 1838년 4월 17일
1686, Pap. II A 84
1682의 여백에서:
[b] 그리스도의 자신의 말씀에 유머가 얼마나 많이 존재하는가? 예를 들어, 들의 백합화를 생각해보라. 그러나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솔로몬의 모든 영광으로도 입은 것이 이 꽃 하나만 같지 못하였다. 당신은 소경과 심령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이것을 드러냈다.[23] 마르다, 마르다.[24] 이 모든 것은 약간의 논쟁을 더하면 모두 유머러스할 수 있는 발언이지만, 그리스도의 입에서 화해하고 있는 발언이다. 또한 이 말씀도 있다: 회개할 필요가 없는 백 명보다 회개하는 죄인 한 명에 대해 하늘나라에서 더 큰 기쁨이 있다[25](여기서 얼마나 아이러니가 드러나는가!).* 부자가 천국에 들어가는 것보다 낙타가 바늘귀를 통과하는 것이 더 쉽다.[26]
*이 뜻은 회개가 필요하지 않는 단 한 명도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같은 뜻으로 심각하게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너희 중에 먼저 죄 없는 자가 돌로 치라.”[27]
1684, Pap. II A 80
1682의 여백에서:
c) ‘문’이라는 단어가 다시 돌아오지 않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것처럼, 계시의 개념에는 숨겨진 개념이 포함될 수 있다.
죽음의 문[28]
1839년 5월 14일
1685, Pap. II A 81
1682의 여백에서:
[d] 행위의 영역에서 표현 된 소크라테스 원칙은 다음과 같다: 하나님이여, 죄인인 나에게 긍휼을 베푸소서(이것은 바리새인과의 대조에서 정확하게 드러나며, 다른 사람은 그것에 대해 칭찬을 받는다).[29]
1687, Pap. II A 85
[e] 기독교의 유머와 관련된 다른 특징은 중세 시대의 패러디[30]가 기독교 자체 내에서 발전했다는 것이다(Walter Scott’s der Abbt, Stuttgart 1828; pt II, pp. 40f.: der Narrenpapst, der Kinderbischof, der Abt der UnvernunftWalter에서 어떻게 훌륭하게 스케치했는지 참고하라. 여기서도 시적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천벌을 받을 만한 가톨릭을 조롱하기 위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날것 그대로의 관찰이며 에세이에서 소화되어야 한다.
[f] 십자가 때문에 그들은 십자가가 별의 요소라는 심오한 말을 잊어버린다.
g) 그리고 그것은 또한 기독교가 두 강도 사이에서 세상을 통해 항상 걸어온 길이다(우리 모두가 그러하다). 그들 중 한 사람만이 회개하고 자신이 마땅히 받아야 할 형벌을 받았다고 말했다.
모든 사람이 진리를 말하는 것이 우리 시대의 비극이다. 모든 사람이 거짓말을 하지만 돌들이 진리를 말하는 시대에 살았더라면, 얼마나 더 좋았을까.
1837년 10월 10일, Pap. II A 178(DD: 67)
아이러니스트가 유머리스트의 재치와 상상을 비웃을 때, 이것은 마치 프로메테우스의 간을 찢는 독수리 같다. 유머리스트의 상상은 변덕 많은 총아가 아니라, 고통의 아들들이기 때문이다. 그의 내장의 작은 조각도 이 모든 고통과 함께 간다. 유머리스트의 이 절망적 깊이가 필요한 자가 바로 수척해진 아이러니스트이다. 종종 그의 비웃음은 시체의 웃음과 같다. 고통에 지친 비명소리가 그 사람의 상황과 아무런 상관이 없는 먼 거리에 있는 사람에게는 마치 유머처럼 들리듯이, 청각 장애인이나 과묵한 남자의 얼굴에 일어나는 경련은 마치 누군가에게 유머, 즉 개인에게 웃음을 선사할 수 있다. 마치 죽음의 경직으로 설명될 수 있는 죽은 자의 웃음처럼, 이것은 인간의 비참함에 대한 영원히 유머러스한 미소이다. 유머리스트의 웃음도 마치 이와 같다. 그러한 것 때문에 우는 것(이것은 한탄이 아니다. 주의하라. 사람에 대한 슬픈 일 중에 하나는 그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수많은 것들로 고통당한다는 것이다.)은 아마도 웃는 것보다 더 큰 심리학적 통찰을 보여준다.
1837년 10월 10일, Pap. II A 178(DD:68)
절대적 역설은 하나님의 아들이 사람이 되어 세상에 오셨고, 인정받지 못한 채 돌아다니셨고, 가장 엄밀한 의미에서, 생계를 유지하고 결혼하는 개인이 되셨다는 것이다. 이 점에서 그리스도의 삶은 윤리적인 것보다 더 높은 차원에서 준비되었다는 것이 관찰을 통해 다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하나님은 하나님과 인류의 아버지가 아닌, 가장 위대한 아이러니스트가 되었을 것이다. (나의 가장 합당한 신학적인 동료들이 그들의 머리로 겨우 4 페니 정도의 가치가 있는 사상이 있었다면, 오래 전에 이것을 발견했을 것이고, 아마도 야단법석을 떨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사상들은 내가가 들 중에서 발견한 적이 없는 것이다.) 신적 역설이란 그분이 기적과 같은 것들을 행하시는 것을 십자가에 달리는 것 말고는 목격되지 않는다는 데 있다. 이것은 역설을 풀기 위해 믿음이 필요하다 하더라도, 그분은 자신의 신적 권위에 의해서만 알려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어리석은 인간의 이해는 그분께서 전진하시고, 그 시대에 영향을 끼치고, 영감을 주기를 바란다. 세상에! 위대한 일은 그 시대에 영향을 줌으로 일어나야 한다.
Pap. IV A 103(JJ:111, 1843년)
‘반복’은 종교적 범주이고, 그 범주에 남는다. 그러니 콘스탄틴 콘스탄티누스는 더 멀리 갈 수 없다. 그는 영리하고, 아이러니스트이고, 흥미와 싸운다. 그러나 흥미에 사로잡힌 채로 있다는 것을 모른다. 흥미의 첫 번째 형태는 변화를 사랑하는 것이다. 둘째는 반복을 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자기만족 가운데 있다. 어떤 고통도 없다. 따라서 콘스탄틴은 자기가 발견한 것을 시중들지만, 청년은 앞으로 전진한다.
Pap. IV A 169, 1844년
다수인 아이러니스트는 그 자체로 평범한 아이러니스트이다. 다수가 되고 싶어 하는 것은 직접성에서 나온 소원이다. 아이러니는 좌파와 우파 모두에게 용의자이다. 따라서 진정한 아이러니스트는 절대 다수가 된 적이 없다. 농담하는 사람과는 다르다.
Pap. VII 1 A 64, 1846년
참고자료
[1] 노르딕 거인 이야기: 아이슬란드어 사본을 기반으로 한 북유럽 거인 이야기를 뜻함.
[2] 햄릿과 관련된 모든 것, 특히 그의 광기 어린 척하는 모습. 삭소의 연대기에서 이미 유틀란드 왕의 아들인 아멜렉으로 알려진 햄릿의 모습은 셰익스피어의 비극 햄릿, 덴마크 왕자(1600년경, 1603년 출간)를 통해 특히 잘 알려져 있다.
[3] 이 내용은 다음과 같다.
눔메달렌Nummedalen 계곡의 라프니스타Rafnista 섬에는 울프 더 볼드의 아들이자 할플링이라는 성을 가진 할비욘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어요. 그는 존경할 만한 사람이었고, 이웃 북쪽의 농민들 사이에서 할 말이 많은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결혼했고 케틸이라는 아들이 있었는데, 키가 크고 남자다운 외모를 지녔지만 잘생기지는 않았어요. 케틸은 생후 몇 겨울이 지나자마자 부엌에 누웠는데, 당시에는 건강한 남자들이 그렇게 하면 조롱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케틸은 불 옆에 앉을 때 한 손은 머리에 얹고 다른 한 손은 눈앞의 불을 찌르는 습관이 있었습니다. 할비요른은 케틸에게 머리에 손을 얹고 앉지 말라고 간청했고, 그러면 둘 사이가 더 좋아질 것이라고 말했지만 케틸은 아무 대답도 하지 않고 얼마 후 사라져 사흘 밤을 보냈습니다. 그리고 집에 돌아와서 잘 만든 의자를 등에 업고 어머니에게 그것을 주면서 아버지보다 어머니에게 갚아야 할 사랑이 더 크다고 말했습니다. 날씨가 좋았던 어느 여름날, 할비욘이 건초를 베었는데 아직 많이 남아서 부엌으로 들어가 케틸에게 말했죠. 케틸은 벌떡 일어나 밖으로 나갔고, 할브욘은 그에게 달걀 두 개와 함께 일할 아내를 주었습니다. 그는 이제 농장으로 건초를 자르고, 일을 너무 빨리 시작하여 마침내 8 개를 쌓아야했고, 모두 할 일이 충분 해 보였다; 저녁에 모든 건초를 집으로 가져 왔지만 두 달걀은 모두 깨졌습니다. 그러자 할비욘이 이렇게 말했습니다.
당신은 젊고 힘과 모든 일을 할 수있는 능력이 날로 증가하고 있지만 나는 이제 늙고 뻣뻣 해져서 더 이상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당신이 재산 관리를 맡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케틸은 그것을하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 근처에 사는 비욘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케틸을 놀리는 버릇이 생겨서 그를 라프니스타 바보라고 불렀다. 비욘은 종종 호수에서 노를 저어 낚시를 하곤 했는데, 어느 날 노를 저어 나갔을 때 케틸이 낚싯배와 낚싯줄, 낚싯대를 들고 함께 노를 저어 나가 낚시를 하려고 누워 있었다. 비욘은 전에 부하들과 함께 그곳에 있었는데, 그들은 케틸을 보고 크게 웃으며 그를 놀려댔고, 비욘은 이번에도 그의 습관대로 그들을 이끌었습니다. 그들은 좋은 어획고를 올렸지만 케틸은 고기를 더 이상 잡지 못하고 껍데기만 잡았습니다. 비욘과 그의 부하들은 배에 짐을 싣고 어구를 끌어올려 집으로 돌아갈 준비를 했습니다. 케틸도 똑같이 했고, 그들은 그를 비웃었지만, 케틸은 '이제 내가 잡은 모든 것을 너희에게 주겠으니, 너희 중 먼저 잡는 사람이 가져가라'고 말하며 엄니를 그들의 배 위로 공중으로 던졌다. 그 엄니가 비욘 본데의 귀를 강타해 헬멧이 부러졌고, 비욘은 옆으로 넘어져 물속으로 가라앉아 다시는 올라오지 않았고, 다른 사람들은 해변으로 노를 저었고 케틸도 그렇게 했습니다. 할비욘은 별로 신경 쓰지 않았다. ... 한동안 이상한 일은 일어나지 않았고, 케틸은 여전히 종종 불 옆에 앉았고, 할비욘은 낚시를 많이 나갔고, 케틸이 한번은 그와 함께 가자고했을 때 할비욘은 바다 항해보다 불 옆에 앉아있는 것이 더 낫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할브 요른이 배에 왔을 때 케틸이 앞서 있었고 할브 요른은 그를 쫓아 갈 수 없었고, 할브 요른은 나룻배의 뱃머리로 가서 케틸에게 선미로 가서 배를 바다로 쏘라고 말했습니다. 케틸은 그렇게 했지만 배는 아무데도 가지 않았어요. 그러자 할비욘이 말하길, '당신은 친구들과는 다르니 내가 힘을 얻겠소, 나는 늙기 전에는 혼자서 나룻배를 밀었소' 그러자 케틸이 화를 내며 나룻배를 세게 밀어서 할비욘이 해안가의 돌 사이로 떨어졌지만 나룻배는 바다에 나갈 때까지 멈추지 않았어요. 그러자 할비욘이 말하기를, '당신은 나의 뼈를 부러뜨리고 싶을 정도로 우리의 친족 관계에서 조금만 이익을 얻게 해주었지만, 이제 나는 당신이 충분히 강하다고 생각하니 이제 당신의 힘을 시험해 보겠습니다; 나는 최대한 저항했지만 당신은 어쨌든 그것을 앞으로 밀었습니다; 그러므로 나는 용감한 아들이있는 것 같습니다.' 그들은 낚시터로 갔다.
[4] 갑작스런 실종... 이후 영광스러운 시기: 사흘 밤(132,25) 동안 갑자기 사라진 케틸 행과 역시 사흘 밤(132,25) 동안 사라진 안 뷔스빈저를 가리키는데, 두 사람 모두 점점 더 영광스러운 시기가 시작됩니다.
[5] Fear and Trembling, p. 62.
[6] 소크라테스가 개인, 즉 주관적인 것을 위해 일반적이고 객관적인 것, 즉 국가에 양보했다는 비판은 헤겔에게서 나왔다. 다음 자료를 참고하라. Vorlesungen über die Geschichte der Philosophie, udg. af C.L. Michelet, bd. 1-3, Berlin 1836, ktl. 557-559; bd. 2, i Hegel's Werke bd. 14, s. 71ff., især s. 73쪽: “국가는 그 힘을 상실했으며, 이는 단일 개인, 즉 정신에 의해 중단되지 않는 일반의 연속성으로 구성되며, 단일 의식은 법 이외의 다른 내용과 본질을 알지 못한다.”(Jub. vol. 18, p. 71ff. OG p. 91ff.).
[7] 하만: Johann Georg Hamann (1730-88). 학자이자 철학 작가로서 Königsberg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는 현대 문학과 철학계에서 그의 수많은 친구들 중 가장 유명했다. 암시적이고 접근하기 어려운 그의 저술은 19세기 계몽주의의 일방적인 이성 이상과 맞서는 데 중요한 철학적 원천이 되었다.
[8] 이 부분은 이솝 우화에 나오는 여우와 황새의 식사를 뜻한다.
[9] 고린도전서 2:7, “오직 은밀한 가운데 있는 하나님의 지혜를 말하는 것으로서 곧 감추어졌던 것인데 하나님이 우리의 영광을 위하여 만세 전에 미리 정하신 것이라.”
또한, 다음을 참고하라. 엡 3:9, 골 1:26, 2:3
[10] εν μυστηϱιῳ αποϰϱυφη : 그리스어, ‘신비 속에 숨겨져 있다’는 뜻. 그리스어로 ‘진리’는 αλήϑεια로 이 단어는 여성형이고, 형용사 απόϰϱυφος는 남성형과 여성형을 공통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αποϰϱύφη는 αποϰϱύφω(아포크리포)에 대한 오류이다.
[11] 마태복음 11:30, “이는 내 멍에는 쉽고 내 짐은 가벼움이라 하시니라.”
[12] 아마도 키르케고르는 하만이 “소크라테스는 결코 비열한 비평가가 아니었다”라고 말한 Hamann’s Socratic Memorabilia(1759)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 같다. 그는 헤라클레이토스의 저술에서 자신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과 자신이 이해하는 것을 구분했고, 이해할 수 있는 것에서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매우 적절하고 겸손한 추론을 이끌어 냈다.
다음을 참고하라. Hamann's Schriften [Hamann's Writings], ed. F. Roth and G. A. Wiener, vols. 1-7 (Berlin and Leipzig, 1821-25), and vol. 8.1-2 (index volume) (Berlin, 1842-43; ASKB 536-544), vol. 2, 1821, p. 12.
[13] 순수한 소크라테스적 관점: 소크라테스의 무지를 암시하는 것으로, 플라톤의 대화편 『테아이테토스』 150c-d에서 소크라테스가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래도 나는 산파들과 공통점이 있네. 나 자신은 지혜를 낳지 못한다는 점 말일세. 나는 또 지혜가 없기 때문에 남들에게 묻기는 해도 내 생각을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못한다는 취지의 비판을 많이 듣는데, 그 또한 사실일세. 그 이유는 신은 내가 산파가 되도록 강제했지만 나 자신이 출산하는 것은 막았기 때문일세. 그래서 나 자신은 전혀 지혜롭지 못하며, 내 혼은 어떤 지혜로운 발견을 자식으로 낳은 적도 없네.”
또한 소크라테스의 『변명』 21d에서 소크라테스는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 “나는 내가 알지 못하는 것을 안다고 착각하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적어도 이 작은 것 한 가지에서는 내가 그 사람보다 더 지혜로운 것 같아 보이는군.”
[14] 마태복음 23:12, “누구든지 자기를 높이는 자는 낮아지고 누구든지 자기를 낮추는 자는 높아지리라.”
[15] 마태복음 11:11,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여자가 낳은 자 중에 세례 요한보다 큰 이가 일어남이 없도다. 그러나 천국에서는 지극히 작은 자라도 그보다 크니라.”
[16] 하만이 1759년 10월 10일에서 12일 사이에 J. G. 린드너에게 보낸 편지에서 “바움가르텐, 포스트만, 라이첼, 바울, 케바스는 사람이며, 나는 빛의 천사의 입에서 듣는 것보다 바리새인의 입에서 그의 의지에 반하는 증인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더 자주 기쁨으로 듣는다”라고 썼다. Hamann's Schriften, vol. 1, p. 497. 또한, 다음을 참고하라. BB:37, p. 122 (Pap. II A 12, p. 16, note)
[17] 하나님의 뜻을 거스르고 나귀를 타고 떠난 점쟁이 발람에 관한 민수기 22장 22~35절의 이야기를 암시한다. 천사가 세 번이나 발람의 길을 막았는데, 처음 두 번은 나귀가 돌아섰지만 발람은 나귀를 때려서 계속 가도록 강요했다. 세 번째는 발람이 나귀를 때렸지만 나귀는 천사를 지나치지 못하고 눕고 말았다. 그러자 하나님께서 나귀에게 말을 하게 하셨고, 나귀는 발람에게 “내가 네게 무슨 짓을 하였기에 네가 이렇게 세 번이나 나를 치느냐?”라고 말했다. 발람은 대답했다. “당신이 나를 바보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내 손에 칼이 있었으면 지금 당장 너를 죽였을 것이다!” 그러나 나귀가 말했다. “내가 언제 당신에게 이같이 하는 버릇이 있더냐?” “아니오."” 발람이 대답했다. 그러자 하나님께서 발람의 눈을 뜨게 하셨고, 발람은 주님의 천사가 칼을 뽑아 들고 길 위에 서 있는 것을 보고 깊이 절했다. 천사가 그에게 말했다. “너는 왜 이렇게 세 번이나 나귀를 치느냐? 나는 당신의 길이 내 앞에서 비뚤어졌기 때문에 적으로 나왔다. 당나귀가 나를 보고 세 번이나 나를 외면했다. 만일 나귀가 나를 피하여 외면하지 않았다면, 지금쯤 내가 당신을 죽이고 나귀를 살려 두었을 것이다.” 그러자 발람은 자신의 죄를 고백했고, 천사는 그에게 계속 가도 좋다고 허락했다.
[18] 요 2:1-11에 나오는 가나의 혼인잔치 이야기를 암시하며, 혼인잔치에서 포도주가 떨어지자 예수님께서 물을 포도주로 바꾸어 주셨다고 기록되어 있다.
[19] 마 27:62-66에 나오는 이야기를 암시한다. 대제사장들과 바리새인들이 빌라도에게 찾아가 제자들이 예수의 시신을 훔쳐서 예수가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났다고 주장하는 것을 막기 위해 3일 동안 예수의 무덤을 지켜달라고 요청했다고 한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마지막 속임수가 첫 번째 속임수보다 더 나쁠 것”이라고 그들은 말했다. 빌라도는 그들에게 예수의 무덤을 지키고 묘비에 인장을 찍는 병사들을 제공했다. 무덤 앞에 돌을 놓은 것은 바리새인들이 아니라, 아리마대 요셉이 빌라도로부터 예수의 시신을 넘겨받은 후 그렇게 했다. 그는 예수의 시신을 자신이 최근에 만든 무덤에 안치했다(참고, 마 27:57-61).
[20] 눅 2:1-7에 나오는 예수님 탄생 이야기를 가리키는데, 동정녀 마리아가 마구간에서 예수를 낳아 강보에 싸서 구유에 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아기 예수가 누더기에 싸여 있었다는 것은 신약성경의 이야기를 후대에 시적으로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H. A. 브뢰르손의 크리스마스 찬송가인 “Frisk op! endnu en Gang(다시 한 번 기쁘다!”(1732)의 여섯 번째 구절에서 다음과 같은 구절을 볼 수 있다: “Jeg har i Stalden funden / Min Skat i Pjalter bunden.”(“나는 마구간에서 발견했다 / 누더기에 묶인 나의 보물”), Troens rare Klenodie, i nogle aandelige Sange fremstillet af Hans Adolph Brorson [Faith’s Rare Treasure, Presented in Some Spiritual Songs by Hans Adolph Brorson], ed. L. C. Hagen (Copenhagen, 1834; ASKB 199), p. 19.
[21] 칼 다우브의 철학적 인류학에 대한 강의(Carl Daub’s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sche Anthropologie ed. P. Marheineke and T. W. D. Dittenberger (Berlin, 1838), in vol. 1 of D. Carl Daub’s philosophische und theologische Vorlesungen[Dr. Carl Daub’s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Lectures], ed. Marheineke and Dittenberger, vols. 1–7 (Berlin, 1838–44; ASKB 472–472g). 여기서 다우브는 유머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유머의 원리는 열정은 말할 것도 없고 경향도 아니며, 오히려 모든 열정과 무관한 이성과 자유의 에너지이며, 철저한 이해, 예리한 판단력, 생생한 환상, 눈에 띄는 재치와 결합되어 있다. 유머리스트는 사람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481쪽.
유머리스트가 무한의 관점에서 자신을 바라봄으로써 이기심과 열정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 후 다우브는 계속해서 말한다: “모든 민족이 유머 감각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리스인과 로마인의 문학에는 유머가 없는데, 이는 풍자가는 유머리스트가 아니기 때문이다. 풍자가의 작품에서 유한한 것은 상대적인 것에 반대되는 위치에 놓일 뿐이다. 고대 세계에는 왜 우리가 유머라고 부르는 미학적 사고방식이 없었는지에 대한 질문은 학문적 조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것은 아마도 지금 기독교에서처럼 영원한 빛이 아직 떠오르지 않았기 때문일까?” 482쪽.
[22] 그리스인과 로마인을 뜻한다.
[23] [마11:25] 그 때에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천지의 주재이신 아버지여 이것을 지혜롭고 슬기 있는 자들에게는 숨기시고 어린 아이들에게는 나타내심을 감사하나이다.
[24] [눅10:41-42] 주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마르다야 마르다야 네가 많은 일로 염려하고 근심하나 몇 가지만 하든지 혹은 한 가지만이라도 족하니라 마리아는 이 좋은 편을 택하였으니 빼앗기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25] [눅15:7]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와 같이 죄인 한 사람이 회개하면 하늘에서는 회개할 것 없는 의인 아흔아홉으로 말미암아 기뻐하는 것보다 더하리라.
[26] [마19:24] 다시 너희에게 말하노니 낙타가 바늘귀로 들어가는 것이 부자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쉬우니라 하시니
[27] [요8:7] 그들이 묻기를 마지 아니하는지라 이에 일어나 이르시되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 하시고
[28] [시9:13] 여호와여 내게 은혜를 베푸소서. 나를 사망의 문에서 일으키시는 주여 나를 미워하는 자에게서 받는 나의 고통을 보소서.
[시107:18] 그들은 그들의 모든 음식물을 싫어하게 되어 사망의 문에 이르렀도다.
[29] 이 부분은 누가복음 18:10-14절을 암시한다.
[30] 중세 시대의 패러디: 이교도 사투르날리아의 일종의 대용품으로 부분적으로 교회의 승인을 받아 새해에 열리는 대중적인 오락인 ‘광대 잔치’를 말하며, 이러한 축제는 2세, 특히 4세기부터 그리스도인의 참여로 알려져 있다. 11세기부터는 하급 사제와 집사들을 위한 성직자 축제와 성당과 교구 학교 학생들을 위한 어린이 축제로 대체되었다. 교회에서 시끄러운 행렬과 춤을 추며 흥겹고 외설적인 노래를 부를 뿐만 아니라 주교와 수도원장 또는 교황으로 분장한 어린이, 청년 또는 부제가 미사를 패러디하기도 했는데, 이를 흔히 ‘광대 미사’라고 불렀다. 13세기 이후에는 ‘어린이 주교’, ‘광대 수도원장’, 심지어 ‘광대 교황’이 선출되어 성직자 복장을 하고 하루 동안 주교 직무를 맡기도 했다. 특히 성직자 축제를 없애기 위한 여러 시도가 있었고 16세기에는 ‘어린이 주교’ 선출 금지령이 내려졌지만, 이 관습은 18세기까지 여러 곳에서 지속되었다. 월터 스콧은 『교황청』 제2부 4장에서 이러한 중세 ‘바보들의 파티’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월터 스콧의 『교황청』(218m,14) 86권, 45f 참조).
'키르케고르 일기 및 기록물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B:130, Pap. VIII A 16, JP V 5976 | 1847년의 세 개의 강화에 대하여 (0) | 2023.12.11 |
---|---|
NB:129, Pap. VIII1 A 15, JP: 5975《다양한 정신의 건덕적 강화》에서의 3부의 관계 (0) | 2023.12.11 |
HH:2, HH:3 (1) | 2023.11.26 |
동정에 대하여, NB2:53, Pap. VIII1 A 161, 1847, 4599 (0) | 2023.11.22 |
NB4:58, Pap. VIII1 A 540, 2152 언론에 대하여 (0) | 2023.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