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카리스 아카데미
- 절망
- 현상학
- 계시
- 키르케고르
- 믿음
- 칼 바르트
- 헤겔
- 카리스아카데미
- 문화 개신교
- 토대주의
- 영원한 행복
- 변증학
- 죽음에 이르는 병
- 후기 토대주의
- 계시현상학
- 말씀의 거울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말씀
- 반토대주의
- 시인의 실존
- 도예베르트
- 말씀은 거울이다
- 자유주의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능력의 말씀
- 미학
- 라이프니츠
- 반틸
- 내면의 감금
- Today
- Total
프라우스
나는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믿는다(Credo quia absurdum) 본문
흔히 **“나는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믿는다(Credo quia absurdum)”**라는 말을 **터툴리안(Tertullian, 160~220년경)**이 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히 말하면, 이 표현은 터툴리안이 직접 한 말이 아닙니다.
📌 1. 터툴리안이 정말 “Credo quia absurdum”이라고 했을까?
터툴리안의 저서 De Carne Christi (그리스도의 몸에 대하여)에서 그는 비슷한 취지의 말을 하긴 했습니다. 그러나 그가 실제로 사용한 문장은 다릅니다.
원문: “Et sepultus resurrexit, certum est quia impossibile.” (그분이 무덤에 묻혔으나 부활하셨다. 이것이 확실한 것은, 그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 여기서 그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이 인간의 이성으로는 이해할 수 없지만, 그렇기에 더욱 확실한 신앙의 대상이 된다고 주장합니다.
✔ 후대의 신학자들이 이를 해석하면서 **“나는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믿는다(Credo quia absurdum)”**라는 문구로 요약한 것입니다.
📌 2. “나는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믿는다”의 의미
✔ 이 표현은 이성과 신앙의 관계에 대한 논쟁에서 자주 인용됩니다.
✔ **“이성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신앙으로 받아들인다”**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하고, 어떤 이들은 이를 신앙이 비합리적이라고 비판하는 용도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터툴리안은 신앙이 단순히 비합리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의 이성으로는 다 설명할 수 없는 깊은 신비를 포함하고 있다고 주장한 것입니다.
📌 3. “Credo quia absurdum”을 터툴리안이 직접 사용하지 않았는데, 왜 이렇게 알려졌을까?
✔ 후대 신학자들이 터툴리안의 사상을 요약하는 과정에서 나온 표현입니다.
✔ “Credo quia absurdum”이라는 문구는 아우구스티누스 이후의 신학자들이 만들어낸 라틴어 문장이며, 실제로 터툴리안이 정확하게 이렇게 말한 것은 아닙니다.
📌 결론
✔ “나는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믿는다(Credo quia absurdum)“는 터툴리안의 정확한 발언은 아닙니다.
✔ 그러나 그의 기독교 신앙이 인간의 이성을 초월하는 신비를 포함하고 있다는 주장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 따라서 터툴리안이 주장한 핵심은 **“이성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지만, 신앙은 그것을 초월한다”**는 것입니다.
즉, 터툴리안이 직접 이 말을 한 것은 아니지만, 그의 사상을 표현하는 요약 문구로 후대에 널리 퍼지게 된 것입니다.
'키르케고르 일기 및 기록물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B23:158, Pap. X4 A162아우구스티누스 (0) | 2025.02.07 |
---|---|
NB23:156, Pap. X4 A160아우구스티누스 (0) | 2025.02.07 |
NB23:152, Pap. X4 A156암브로시우스(Ambrosius) (1) | 2025.02.07 |
NB23:151, Pap. X4 A155암브로시우스(Ambrosius) (0) | 2025.02.07 |
NB23:150, Pap. X4 A154📖 논나(Nonna) (1)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