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내면의 감금
- 죽음에 이르는 병
- 카리스 아카데미
- 계시현상학
- 문화 개신교
- 미학
- 토대주의
- 말씀의 거울
- 반틸
- 말씀은 거울이다
- 헤겔
- 능력의 말씀
- 말씀
- 자유주의
- 시인의 실존
- 후기 토대주의
- 영원한 행복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칼 바르트
- 반토대주의
- 도예베르트
- 절망
- 계시
- 믿음
- 라이프니츠
- 카리스아카데미
- 변증학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키르케고르
- 현상학
- Today
- Total
목록2025/02/15 (4)
프라우스
키르케고르는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는 말을 비판적인 맥락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는 현대가 비극적 감각을 상실하고, 인간을 철저히 개인화(individualisering)하면서, 결국 “스스로 돕지 않으면 하늘도 돕지 않는다”는 사고방식으로 전락했다고 본다.관련하여, 이것이냐 저것이냐, 1부, 영역본 140쪽을 참고하라. 1. 키르케고르의 비판: 연민(同情)의 상실과 “스스로 돕는 자”의 논리키르케고르는 현대 사회가 가족, 국가, 혈통 등 실체적(substantielle) 요소를 상실하면서, 각 개인을 자기 자신에게 완전히 내맡기게 되었다고 지적한다. 이로 인해 개인은 자기 자신의 창조자(sin egen Skaber) 가 되어야 한다는 부담을 짊어진다. • 과거의 비극적 구조• 고대 비극에서..
슬픔(Sorg)과 고통(Smerte)의 차이: 고대 비극과 현대 비극의 비교를 중심으로 키르케고르는 슬픔(Sorg)이 고통(Smerte)보다 더 실체적(substantielt)이며, 본질적인 감정이라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슬픔이 단순한 감각적 반응을 넘어,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조건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는 이를 고대 비극과 현대 비극의 비교를 통해 설명하며, 각각의 비극이 관객에게 불러일으키는 감정적 반응의 본질적 차이를 분석한다.1. 슬픔과 고통의 개념적 차이 • 고통(Smerte)• 특정한 사건에서 비롯되는 즉각적이고 감각적인 반응이다.• 주체는 자신이 왜 고통을 경험하는지 반성(refleksion)하며, 이 과정에서 고통은 자기의식과 연결된다.• 즉, 고통은 상황적이며, 인과적으로 설명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극적 행동(Tragediens Handling)의 근원을 두 가지 요소에서 찾았다. 바로 “사고(διάνοια, dianoia)와 성격(ἦθος, ethos)” 이다. 그러나 그는 비극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목적(τέλος, telos)’이며, 개별 인물들은 단순히 성격을 드러내기 위해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행동의 목적을 위해 성격이 형성된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점에서, 고대 비극과 현대 비극 사이에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1. 고대 비극의 특징: 행동과 운명고대 비극의 특징은,• 행동이 단순히 성격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행동 자체가 운명적 필연성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행동이 완전히 주관적으로 반성(reflekteret)된 것이 아니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9gfln/btsMjn2WFC1/1FXkDjF833mbDViOOJmCr1/img.jpg)
G.E. 레싱(Gotthold Ephraim Lessing)의 『함부르크 드라마투르기』(Hamburgische Dramaturgie, 1767)에서의 비극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Poetics)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면서, 프랑스 고전주의의 형식적 비극론을 비판하고 독일 연극에 적합한 새로운 비극 개념을 제안하는 것이 핵심이다.레싱은 특히 비극의 본질, 감정의 역할, 그리고 현실적 인물과 사건을 다루는 방식에 대해 중요한 논의를 펼쳤다. 1. 레싱의 비극론 핵심레싱이 『함부르크 드라마투르기』에서 강조한 비극의 핵심 개념은 다음과 같다.(1) 비극의 목적: 연민과 공포의 정화 (카타르시스, Catharsis) • 레싱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 개념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도, 프랑스 고전주의 연극의 형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