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죽음에 이르는 병
- 문화 개신교
- 믿음
- 헤겔
- 현상학
- 토대주의
- 절망
- 자유주의
- 카리스아카데미
- 말씀은 거울이다
- 미학
- 카리스 아카데미
- 라이프니츠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시인의 실존
- 내면의 감금
- 능력의 말씀
- 계시
- 영원한 행복
- 반토대주의
- 말씀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후기 토대주의
- 도예베르트
- 변증학
- 칼 바르트
- 말씀의 거울
- 키르케고르
- 반틸
- 계시현상학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42)
프라우스
1651, FF:128, Pap. II A 731 성령은 ‘나’와 3인칭(객관적 세계, 실존의 영역)을 포함하는 신적인 ‘우리’이다. 이 두 주체의 있다는 사실로 인해 복수(plural)가 된다. 1인칭이 있다는 사실로 인해, (객관적 3자나 대상보다) 우선권이 부여된다는 점에서 ‘우리’이다. 1838년 4월 23일 NB7:78, IX A 337, n.d., 1848, 1652 요 16:10. “성령은 세상에 의를 확신시킬 것이다. 내가 아버지께로 가면 너희가 나를 다시 보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의란 무엇으로 이해해야 할까?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의로움(칭의, Justification)을 위해 부활하셨다는 바울의 가르침과 연관 지어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아마도 다음과 같이 이해하는 것이 더..
NB21:156, X3 A 602, 1850. 본받음 진정한 본받음은 “그리스도를 본받아야 합니다.”라고 설교한다고 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리스도께서 나를 위해 무엇을 했는지에 대해 설교함으로써 본받음은 이루어진다. 그 사람이 그것이 얼마나 무한히 큰 것인지 진정으로 깊이 이해하고 느낀다면, 본받음은 반드시 따라온다.
NB21:157, X3 A 603, JP:4189, 1850.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Giv Gud hvad Guds er. 그러나 모든 것은 하나님의 것이다. 따라서 하나님의 것을 하나님께 바치는 것은 카이사르에 속한 것까지 모든 것을 그분께 드리는 것이다. 내가 카이사르에게 복종하는 것은 하나님을 경외하고 사랑하기 때문이다.
NB22:64, Pap. X3 A679, JP 4:4191, 1850 기독교(Χstd) – 국가.기조(Guizot)는 이렇게 말한다: “국가에게 유일한 정치 원칙은 모든 종교에 대해 무관심한 태도를 취하는 것이다.”이 말은 고대 기독교가 말했던 것과 잘 들어맞는다: “기독교는 어떤 형태의 국가 헌법이든 무관심하다. 어떤 체제 아래에서도 똑같이 잘 살아갈 수 있다.”아, 그러나 이 뒤집힌 상황, 이제는 국가가 마치 종교를 필요로 하지 않는 척하며 스스로 고상한 척하는 상황이라니!사실은 종교가 국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기독교가 국가를 조직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었던 그 보답으로, 이제 국가가 기독교에게 보이는 태도가 바로 이런 것이다.일기해설◄ 기조(Guizot)가 말한 것: “국가의 유일한 정책은 모든 ..
NB22:74, Pap. X3 A690, JP 4:4192, 1850 공공성, Offentlighed, publicity 완전한 공공성은 “통치”를 절대적으로 불가능하게 만든다. 모든 “정부”는 더 통찰력이 소수가 있고 따라서 그들이 통치할 수 있고, 훨씬 더 멀리 볼 수 있다는 생각에 토대를 두고 있다. 하지만 완전한 공공성은 모두가 “통치”해야 한다는 생각에 토대를 두고 있다. 이것이 사실이라는 것을 일간 언론보다 더 잘 이해 한 사람은 없다. 어떤 권력도 “정부”가 공개되어야한다고 끊임없이 외친 일간 언론만큼 내부 조직 전체, 직원의 신원, 실제 의도 등에 관한 비밀을 감시한 권력은 없다. 언론의 시각은 사실 ‘정부’를 제거하기 원한다는 사실에 있다. 그때, 스스로 통치하기를 원했고, 통치를 위해 ..
죽음에 이르는 병 2부 1장 참고자료 1부, C, B, a, 2에 대하여 결론적으로, 그의 내면의 감금(Indesluttethed)에서 그 자리에서 시간을 표시하는 내면의 감금 상태에 있는 자에 대해 다시 한 번 살펴보자. 내면의 감금과 절망 속에서 그는 자신이 되려고 하지 않는다. 그것은 이 땅의 것이었고, 자기나 이 땅의 것들로 구성된 것이었다. 즉, 그는 유한한 것에 절망하였던 것이다. 그는 모든 열정을 그 지점에 집중하였고 절망했다. 아마도 그는 그것을 여전히 아마도, 아마도 조심스럽게 들어 올릴 수 있었을 텐데 말이다. 어쨌든 그것은 믿음으로 넘겨야 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는 절망했다. 그러나 다음 순간에야 그의 절망이 드러나는데, 왜냐하면 그는 자신이 절망할 만큼 나약하다는 사실에 절망하기 때..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덴마크어 원전과 영어를 참고하여 번역하였습니다. 저널 표기법은 NB와 Pap를 병행하여 표기했습니다. Journals and Notebooks는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JOURNAL JJ Journal JJ in Søren Kierkegaards Skrifte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JJ로 돌아가기 Journal JJ는 여기에서 시작하십시오.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덴마크어 원전과 영어를 참고하여 번역하였습니다. 저널 표기법은 NB와 Pap를 병행하여 표기했습니다. Journals and Notebooks는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JOURNAL JJ Journal praus.tistory.com JJ:477, VII1 A 69 소크라테스는 왜 자신을 쇠파리에 비유했을까? 그는 윤리적 의미만을 갖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는 다른 사람들과 차별화되는 존경받는 천재가 되고 싶지 않았다. “그래, 그는 천재야.”라고 말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의 삶을 편하게 만들고 싶지 않았다. 아니, 그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을 했고, 모든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을 이해했을 뿐이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