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반틸
- 문화 개신교
- 현상학
- 키르케고르
- 절망
- 계시현상학
- 내면의 감금
- 변증학
- 말씀의 거울
- 후기 토대주의
- 미학
- 계시
- 시인의 실존
- 죽음에 이르는 병
- 영원한 행복
- 반토대주의
- 칼 바르트
- 카리스아카데미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카리스 아카데미
- 토대주의
- 헤겔
- 능력의 말씀
- 라이프니츠
- 도예베르트
- 믿음
- 자유주의
- 말씀은 거울이다
- 말씀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42)
프라우스
키르케고르의 노트 Not1:6의 25절에 대한 해설키르케고르의 말대로 구약이 불멸(immortality)에 대한 명시적이고 완전한 교리를 제시하지 않는다는 주장은 어느 정도 사실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구약 성경이 다루는 문맥과 주제의 차이에 기인합니다. 아래에서 이를 분석하고, 키르케고르의 견해를 바탕으로 해석해 보겠습니다. 1. 구약의 불멸에 대한 암시구약 성경에는 명시적인 “불멸” 교리가 확립되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은 암시적 언급들이 존재합니다: • 시편과 전도서에서의 영혼 개념예를 들어, 전도서 12:7에서는 “흙은 여전히 땅으로 돌아가고, 영은 하나님께로 돌아간다”고 기록하며, 인간 존재의 이원성을 제시합니다.시편 16:10에서는 “주는 내 영혼을 스올에 버려두지 아니하시며”라는 구절..
DD:6, 32EE:74, KK:2, 마카비와 관련된 글, Not1:6, 여백에서;dDaniel 12:2: Your people shall be delivered, all those who are written in the book, and many who sleep beneath the earth will awaken, some to eternal life, others to eternal shame and contempt. 2 Macc 7:9,10,11,14,23. The story of the 7 sons, one of whom says: [“]My hope is that these limbs will all be restored to me, but for you (Antiochus) there w..
키르케고르의 비가시적 교회 개념은 개혁주의 교회론의 우주적 교회(catholic church or invisible church)와 흥미로운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두 개념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점도 존재합니다. 이 둘의 비교를 통해 각각의 독특한 신학적 기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공통점: 비가시성과 초월적 교회의 강조 (1) 보이는 교회와 비가시적 교회의 구분 • 개혁주의 교회론: 개혁주의는 보이는 교회(visible church)와 보이지 않는 교회(invisible church)를 구분합니다. 보이는 교회는 역사적이고 가시적인 제도와 공동체를 포함하며, 보이지 않는 교회는 선택받은 성도들의 초월적이고 영적인 공동체로 이해됩니다. • 키르케고르: 키르케고르의 비가시적 교회는 제도적이고 형식적인..
키르케고르의 비가시적 교회 개념은 그가 말하는 **동시성(Samtidighed)**과 깊이 연결되며, 이를 통해 내면적이고 실존적인 신앙 경험의 장으로서의 교회가 형성됩니다. 당신이 지적한 대로, 비가시적 교회는 동시성이 시작되는 장소이며, 이는 외적인 제도나 가시적인 구조에 의존하지 않는 내면적이고 영적 공동체를 의미합니다. 1. 비가시적 교회와 동시성키르케고르의 사상에서 교회란 단순히 가시적이고 제도적인 조직이 아닙니다. 그는 교회를 하나님과의 실존적 만남이 이루어지는 내적 공간으로 이해합니다. 이 관점에서 동시성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비가시적 교회를 형성합니다. (1) 동시성과 내적 교회 • 동시성은 역사적 예수와 신앙인의 현재적 관계를 강조합니다. • 비가시적 교회는 각 신앙인의 내면에서 그리스..
키르케고르의 부활 이해는 그의 ‘동시성(Samtidighed)’ 개념과 깊이 연결됩니다. 키르케고르는 동시성을 단순히 과거 사건의 기억이나 재현으로 보지 않고, 영원(eternal)과 현재(moment)가 만나는 실존적 사건으로 정의합니다. 부활은 그 동시성이 가능하게 되는 중심 사건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1. 동시성의 정의 • 키르케고르가 말하는 동시성은 단순히 역사적 사건과의 동시적 경험이 아니라, 영원과 현재의 만남입니다. • 동시성은 **객관적 시간(chronos)**이 아닌 질적 시간(kyrios) 속에서 신앙인이 하나님과 관계를 맺는 실존적 순간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부활 사건은 과거의 특정 시점에 일어난 사건이지만, 신앙인은 현재 이 사건에 동참하며 부활의 생명을 체험합니다. 이는 시..
부활에 대한 최근의 역사적 논쟁은 주로 역사적 사실성과 신앙적 의미의 관계를 둘러싸고 진행된다. 이는 특히 현대 신학과 역사 연구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뤄지고 있으며, 부활 사건을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일 것인가, 아니면 신앙 공동체의 신학적 해석으로 이해할 것인가에 따라 쟁점이 나뉜다. 이를 키르케고르의 관점에서 평가해보면, 역사적 논쟁의 초점이 놓인 문제와는 다른 차원의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 1. 최근 부활의 역사적 논쟁의 주요 쟁점(1) 부활의 역사적 사실성• 역사적 사실로서의 부활: 부활 사건을 문자 그대로 역사적 사건으로 간주해야 하는가? 혹은 신앙 공동체의 신학적 상징으로 이해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쟁이다. • 보수적 입장: 부활은 실제로 일어난 역사적 사건이며, 이는 그리스도교 신앙의 중심적 ..
키르케고르의 철학적 체계에서 부활은 단순히 과거에 한 번 일어난 사건이 아니라, **“영원한 현재”**를 가능하게 하는 결정적 사건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이는 그의 시간과 영원의 변증법과도 깊이 연결됩니다. 부활은 인간이 시간성 속에서 경험하는 과거, 현재, 미래의 구분을 넘어 영원과의 접점을 제공하며, 실존적으로 현재 속에서 영원을 경험하게 하는 사건으로 작용합니다. 1. 영원한 현재의 가능성 • 부활은 시간성 안에서 영원의 실현입니다. • 부활은 특정한 역사적 순간(시간성)에서 발생했지만, 그 의미는 단순히 과거에 머물지 않고 현재에도 유효합니다. • 이는 키르케고르가 강조하는 “실존적 진리”의 개념과 맞닿아 있습니다. 즉, 부활은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매 순간 현재화되는 사건입니다. • 영원한 ..
키르케고르의 관점에서 부활은 역사 초월적 사건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단순히 역사 너머의 추상적 개념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이며 동시에 초월적인 사건으로서 인간 실존과 신앙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역사적 사건으로서의 부활 • 키르케고르에게 부활은 그리스도교의 중심적이고 역사적인 사건입니다. 이는 실제로 시간과 공간 안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그리스도의 부활은 하나님이 인간 역사 안에 개입한 결정적 순간을 나타냅니다. • 이 사건은 단순한 신화나 상징으로 축소될 수 없으며, 실제로 일어난 사건으로 신앙의 근거가 됩니다. 2. 초월적 사건으로서의 부활 • 부활은 또한 역사적 이성을 넘어서는 초월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