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반틸
- 자유주의
- 변증학
- 말씀은 거울이다
- 도예베르트
- 라이프니츠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내면의 감금
- 죽음에 이르는 병
- 헤겔
- 카리스 아카데미
- 영원한 행복
- 키르케고르
- 믿음
- 절망
- 말씀의 거울
- 말씀
- 계시현상학
- 현상학
- 토대주의
- 시인의 실존
- 문화 개신교
- 반토대주의
- 능력의 말씀
- 계시
- 칼 바르트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후기 토대주의
- 카리스아카데미
- 미학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42)
프라우스
키르케고르의 관점에서 본다면, 유발 하라리의 역사 인식은 그가 지향하는 개별적 실존의 차원에서 비판될 여지가 많다. 하라리는 역사 속에서 인간 집단이 공동의 상상의 질서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인류의 생존과 발전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하는데, 이는 보편적이고 집단적인 틀 속에서 인간을 바라보는 접근이다. 이러한 접근은 헤겔식 역사 인식에 가까운 관점을 반영하며, 키르케고르의 실존적 관점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드러난다. 1. 개인보다 집단에 초점을 맞춘 역사 인식하라리의 역사 인식은 인간 집단이 어떻게 협력해 왔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예를 들어, 공동의 신화, 종교, 이념 같은 상상의 질서가 집단적으로 발전하면서, 인류가 문명을 형성하고 발전했다고 설명한다. 그는 이를 통해 인류의 성장은 사회적 합의와 집..
무신론적 실존주의자들은 일반적으로 삶의 본질적인 의미는 없다고 생각한다. 즉, 우주나 신이 인간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인간이 스스로 의미를 창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대표적인 무신론적 실존주의자인 장 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는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고 말하며, 인간은 미리 정해진 목적이나 본질 없이 이 세상에 태어나지만, 자신의 선택과 행동을 통해 삶의 의미를 만들어 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러한 관점에서 무신론적 실존주의자들은 객관적이거나 절대적인 의미는 없다고 보지만, 인간은 자신의 자유와 책임을 통해 주관적인 의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즉, 의미는 인간이 스스로 부여하는 것이며, 자신의 선택과 행동을 통해 각자가 삶의 의미를 찾아야..
조르주 바타유와 프리드리히 니체는 여러 면에서 유사한 점이 있지만, 그들의 사상은 근본적으로 다른 측면도 있다. 두 철학자 모두 전통적 도덕과 윤리에 대해 비판적이었고, 힘과 권력의 문제, 그리고 삶의 본능적인 측면에 큰 관심을 가졌다. 또한, 그들은 인간 존재의 본질과 사회적 관계에서 억압적 도덕에 반발하는 사유를 발전시켰다. 그렇지만 바타유와 니체의 사유는 각자의 독특한 관점에서 전개되었고, 이들이 가진 폭력, 권력, 자유에 대한 이해는 차이가 있다. 1. 니체와 바타유의 공통점니체와 바타유는 전통적인 도덕적 틀에서 벗어나 인간의 본능과 파괴성을 중요한 요소로 보고, 삶의 충만함과 욕망을 긍정하려 했다. • 도덕에 대한 반발: 두 철학자는 모두 전통적인 기독교 윤리나 도덕적 규범이 인간의 본능적인 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yglB4/btsKdwA5xjf/2xVLFTXeb0N46yqmGgH9Kk/img.jpg)
조르주 바타유의 철학에서 금기를 깨는 경험은 인간이 일상적 질서와 도덕적 규범을 초월하고, 극단적인 경험을 통해 자신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방식으로 설명된다. 바타유는 인간 사회가 여러 금기(taboo)에 의해 형성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금기는 인간이 사회적으로 허용되는 행동과 그렇지 않은 행동을 구분하는 기준이다. 그러나 그는 이 금기를 깨뜨리는 경험이야말로 인간이 자신의 존재와 세계에 대해 진정한 자유를 경험할 수 있는 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바타유에게 금기와 그 금기의 파괴는 매우 중요한 철학적 주제이다.1. 금기의 의미바타유는 금기를 사회적, 도덕적 규범으로 이해했다. 금기는 특정한 행동이나 욕망을 억압하는 사회적 장치로 작동하며, 이를 통해 사회적 질서가 유지된다. 금기는 개인의 욕망을 억..
조르주 바타유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사상은 여러 면에서 닮아 있으며, 특히 억압된 욕망, 금기, 본능적 충동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많다. 그러나 두 사상가의 차이점도 분명히 존재한다. 그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면, 각자가 어떻게 욕망, 억압, 금기, 해방을 바라보았는지 더 명확해진다. 1. 유사점: 억압된 욕망과 금기바타유와 프로이트는 모두 인간의 억압된 욕망과 금기가 개인과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둘 다 인간 존재의 본능적인 충동이 금기와 억압을 통해 억제되고, 이를 통해 사회적 질서가 유지된다고 생각했다.• 억압과 금기의 역할: 프로이트는 억압된 충동을 인간 정신 구조의 핵심 요소로 보았다. 그의 정신분석학에서, 인간의 욕망(특히 성적 욕망)은 사회적 규범과 금기 때문에 억압..
르네 지라르의 관점에서 보면, 조르주 바타유의 금기를 깨는 행위는 폭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지라르의 이론에서는 폭력과 금기가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금기를 깨뜨리는 행위는 폭력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라르는 특히 희생양 메커니즘을 통해 폭력을 제어하고 사회적 평화를 유지하려는 인간 사회의 본성을 설명했으며, 금기와 폭력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보았다. 1. 르네 지라르의 폭력과 금기 이론지라르의 이론에서 금기는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고 폭력을 억제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지라르는 인간 사회에서 욕망이 모방적(mimetic)이라는 점에서 출발한다. 사람들은 타인의 욕망을 모방하면서 경쟁과 갈등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폭력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금기는 이러한 폭..
존재론적 결핍을 강조한 사상가는 여러 명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장 폴 사르트르와 마르틴 하이데거가 이에 대해 깊이 탐구했습니다. 1. 장 폴 사르트르 (Jean-Paul Sartre): 사르트르는 인간의 존재를 결핍의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그는 인간이 ’무(無)’의 존재라고 표현하면서, 인간은 본질적으로 결핍된 존재라고 말합니다. 그의 철학에서는 인간이 스스로의 본질을 창조하는 과정에서 항상 무언가를 채워야 하는 결핍을 느끼며, 끊임없이 자신의 본질을 구성하려고 노력하는 존재로 그려집니다. 인간은 본질이 규정되지 않은 채 세상에 던져진 자유로운 존재이며, 자신을 ‘완전하게’ 하는 고정된 본질이 없는 만큼, 항상 ‘결핍’을 체험한다는 것입니다. 2. 마르틴 하이데거 (Martin Heidegger): 하..
JJ:227, Pap. V A 34내가 불안의 개념에서 던진 관찰자에 대한 스케치[i]는 아마도 누군가를 혼란스럽게 할 것이다. 그러나 그 스케치는 작품의 일종의 워터마크처럼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나는 기본적으로 내 작업과 시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래서 가명을 사용한다.[ii] 책이 어떤 주제를 발전시키는 동안, 그에 상응하는 개별성이 묘사된다. Vigilius Haufniensis는 이제 여러 개별성을 묘사하며,[iii] 그 책 안에서 나는 책에서 그에 대한 스케치도 덧붙여 놓았다.[i] 《불안의 개념》, 비길리우스 하우프니엔시스 저, 코펜하겐, 1844. 이 원고는 《서문》, 특정 계층을 위한 오락독서, 니콜라우스 노타베네 저, 코펜하겐, 1844와 함께 1844년 5월 18일에 비앙코 루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