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헤겔
- 변증학
- 도예베르트
- 계시현상학
- 토대주의
- 절망
- 말씀
- 영원한 행복
- 칼 바르트
- 시인의 실존
- 내면의 감금
- 믿음
- 말씀은 거울이다
- 자유주의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계시
- 말씀의 거울
- 현상학
- 후기 토대주의
- 카리스아카데미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라이프니츠
- 문화 개신교
- 능력의 말씀
- 죽음에 이르는 병
- 카리스 아카데미
- 미학
- 반토대주의
- 반틸
- 키르케고르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42)
프라우스
키르케고르의 두려움과 떨림에서 언급된 “신성한 광기”(divine madness)는 플라톤의 파이드로스(Phaedrus)에서 나온 철학적 개념과 연결됩니다. 플라톤의 대화편 파이드로스에서 소크라테스는 네 가지 종류의 신성한 광기를 설명하며, 이 광기는 인간이 신의 영감과 접촉함으로써 경험하게 되는 초월적 상태로 간주됩니다. 플라톤의 네 가지 신성한 광기 1. 예언적 광기 (μαντική, mantike): 아폴론 신으로부터 오는 광기. 미래를 예언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2. 종교적 광기 (τελεστική, telestike): 디오니소스 신으로부터 오는 광기. 종교적 의식이나 정화를 통해 영혼이 해방되는 상태입니다.3. 시적 광기 (ποιητική, poietike): 뮤즈(Muses)로부터 오는 광기..
키르케고르가 『두려움과 떨림』에서 말하는 “비극적 영웅”과 “보편적인 것 안에서 역설이 매개된다”는 개념은 윤리적 행위와 보편적 윤리 사이의 관계를 통해 이해될 수 있습니다. 이 개념을 아가멤논의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비극적 영웅과 보편적인 것 1. 비극적 영웅의 특징비극적 영웅은 보편적인 윤리적 원칙에 의해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합니다. 그는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더 큰 선이나 윤리적 명령을 실현하기 위해 개인적인 고통과 희생을 감수합니다. 그의 행동은 보편적 윤리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따라서 그의 행위는 공동체와 사람들에 의해 이해되고 공감받을 수 있습니다. 2. 보편적인 것 안에서 역설의 매개비극적 영웅의 “역설”은 개인적인 고통이나 윤리적 갈등이 공동체의 윤리적 요구와 합치된다는 점에서 매개됩..
헤겔의 법철학 150절에서 언급된 내용을 이해하려면, 헤겔의 철학적 개념을 조금 더 깊이 살펴봐야 합니다. 이 문장은 덕(Tugend)과 올바름(Rechtschaffenheit)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인륜다움(Sittlichkeit)과 개인의 관계를 다룹니다. 문장의 구조와 핵심 의미 1. 인륜다움(Sittlichkeit):• 헤겔 철학에서 인륜다움은 윤리적이고 사회적이며, 공동체적 삶의 원리를 말합니다.• 이는 개인이 공동체와의 관계 속에서 스스로를 실현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인륜다움은 단순히 개인의 윤리적 선택이 아니라, 공동체와의 조화 속에서 이루어지는 윤리적 삶입니다. 2. 개인의 성격에 반영된 인륜다움:• 인륜다움이 개인의 성격이나 삶의 방식에 구체적으로 드러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NB24:91, Pap. X4 A 340사도, 제자 - 기독교 세계1500년 동안, 최소한,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상황을 왜곡해 왔다:“사도나 제자가 되는 것은 특별한 일이다. 하나님 맙소사, 내가 그렇게 주제넘게 요구하거나 그런 걸 바랄 수 있겠는가? 아니다, 나는 겸손하고 자제하여 더 작은 것에 만족할 것이다.”오, 인류의 깊은 교활함이여! 이와 같은 방식으로 그리스도교를 완전히 뒤집어 놓았다.문제는 이렇다. 사람들은 제자의 기준에 따라 죽어야 한다는 영광을 피하고 싶어 한다. 게다가, 이러한 모든 고통과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것이 겸손하고 자제하는 것이라고 스스로를 정당화한다. “하나님 맙소사, 우리가 얼마나 교묘한 도둑들인가!” 윤리적으로 정상적인 기준과 그것에 대한 관계를 미학적으로 특별한 기준과..
NB 24:63, Pap. X4 A 312 한 교부가 감각적으로 존재하는 국교회에 대한 미신을 경고하다히라리우스(Hilarius)가 아욱센티우스(Auxentius)에 대항하여 말한다.“한 가지를 경고하노니, 너희는 적그리스도를 조심하라. 벽에 대한 미친 사랑이 너희를 속이고 있다. 너희는 아름다운 건축물을 통해 하나님의 교회를 맹목적으로 존경한다. 웃기게도, 너희는 거기에서 하나님의 평화를 찾으려 한다. 적그리스도가 언젠가 그곳에 군림할 것이라는 것을 의심할 수 있겠는가?산들, 숲들, 호수들, 감옥들, 그리고 사막들이 더 안전한 장소들이다.…오늘날 세상이 이 위대한 주교들에게서 무엇을 찬탄하겠는가? 그들이 큰 장소를 다스리기 때문에 그들을 종교의 거룩한 교사로 존경하지 않는가?”출처: 헨리(Henry),..
NB 24:57, Pap. X4 A 306“고요한 시간”교회에서의 고요한 시간, 그것이 종교적 경건(religieusitet)의 최고점은 아니다.오히려, 그것은 훈련의 시간이다. 이를 통해 당신은 종교적인 것을 현실 속에 적용하도록 배운다. 그 점에서 교회의 참된 의미, 즉 교회에서의 고요한 시간의 참된 의미는 궁극적으로 교회를 불필요하게(superfluous) 만드는 것에 있다. 비록 우리가 결코 그러한 경지에 도달하지 못할지라도, 또는 여전히 교회를 방문하는 것이 유익할지라도, 그 목적은 변하지 않는다.바이올린 연주자를 생각해 보라. 만약 어떤 바이올린 연주자가 음악에 대해 아무것도 배우지 않고 바로 오케스트라에 앉아 연주를 시작하려 한다면, 그는 스스로 방해를 받을 뿐 아니라, 다른 이들까지 방해할..
NB 24:7, Pap. X4 A 246 “교회”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Augsburgske Confession)에 나오는 교회의 정의, 즉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을 올바르게 가르치고 성례전을 올바르게 집행하는 성도들의 공동체”라는 표현에서, 대부분이 (바로잡지 못하고) 잘못되게 두 번째와 세 번째 요소, 즉 말씀과 성례전만을 강조하고, 첫 번째 요소인 “성도들의 공동체”를 간과해 왔다.그러나 바로 이 첫 번째 요소에 존재론적(Existentielle) 관점에 대한 정의가 담겨 있다. 하지만 교회를 존재론적 요소가 무시된 무관심한 존재들의 공동체로 전락시킨 셈이다. “말씀”은 올바르게 가르쳐지고, “성례전”도 올바르게 집행되지만, 존재론적 요소는 무시된다. 이는 사실상 이교도(hedenskab)이다.»K..
NB23:223, Pap. X4 A233, 1851년 “교회”는 우리의 불완전함을 위해 존재한다.이는 칼뱅의 가르침이다.참조: 페테르센(Petersen), 『교회의 이념(Die Idee der Kirche)』, 3권, 405쪽 주석.페테르센은 당연히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다.해설“교회는 우리의 불완전함을 위한 것이다” ― 칼뱅의 가르침이 진술은 장 칼뱅(Jean Calvin, 1509-64)의 『기독교 강요(Institutio christianae religionis)』 4권 1장 §1의 내용과 관련이 있다. 칼뱅의 입장칼뱅에 따르면, 교회는 하나님이 세우신 “어머니”로서 하나님의 자녀들을 양육하고 성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칼뱅은 왜 교회가 필요한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우리의 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