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죽음에 이르는 병
- 말씀
- 자유주의
- 절망
- 영원한 행복
- 계시현상학
- 계시
- 카리스 아카데미
- 믿음
- 카리스아카데미
- 키르케고르
- 내면의 감금
- 콩깍지가씐사랑 #카리스아카데미 #복수 #사랑 #허다한죄
- 변증학
- 능력의 말씀
- 반토대주의
-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 미학
- 현상학
- 후기 토대주의
- 문화 개신교
- 반틸
- 도예베르트
- 시인의 실존
- 토대주의
- 말씀의 거울
- 라이프니츠
- 말씀은 거울이다
- 칼 바르트
- 헤겔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42)
프라우스
DD:37 (Pap. II A 138)10, 11, 그리고 19쪽 참고[Pap. II A 101-8, 136]유머가 왜 아이러니처럼 소설에 담길 수 없는지, 그리고 왜 그것이 삶의 개념이 되기를 멈추는지 이해한다. 그것은 바로 글을 쓰지 않는 것(not-to-write)이 그 개념의 본질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글을 쓰는 것은 세상에 대해 지나치게 화해적인 입장을 배신하는 것이기 때문이다(이 때문에 하만이 어딘가에서 “근본적으로 사람들을 위해 글을 쓰는 것보다 더 우스꽝스러운 일은 없다”라고 말한 것이다[i]). 소크라테스가 책을 남기지 않은 것처럼, 하만도 현대 시대의 글쓰기 열풍이 비교적 필요로 하는 만큼만, 그리고 또한 우연적인 작품들만을 남겼다.―JP II 1700 (Pap. II A 138) n...
DD:36, Pap. II A 136참조: 이 책 p. 10과 11. 유머는 그 최고의 진동을 통해 완성된 아이러니이다. 비록 본질의 기독교가 본래의 원동력(primus motor)이라 할지라도, 기독교적인 유럽에서도 아이러니 이상의 것을 성취하지 못한 사람들도 있으며, 그 결과로 그들은 절대적으로 고립된, 개인적으로 홀로 서 있는 유머를 완성할 수 없었다. 따라서 그들은 교회에서 안식을 찾거나, 세상에 대한 연합된 유머 속에서 개인들의 연대가 기독교적 아이러니를 발전시키는 방식으로 행동한다. 이는 티크(Tieck)[i] 등과 같은 사례에서 볼 수 있다. 혹은, 종교적 요소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는 클럽(Serapions Brüder[ii])을 형성한다. 그러나 호프만(Hoffmann)[iii]의 경..
DD:22 여기서 아이러니는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 나는 종종 다음과 같은 장면을 세계의 아이러니로 생각해 왔다. 예를 들어, 한 남자가 템스 강에 몸을 던지려 마지막 도약을 하던 순간, 그의 코에 파리가 앉았을 때처럼, 또는 로키(Locki)와 난쟁이의 이야기에서,[i] 에이트리(Eitri)가 떠나고 브록(Brock)이 풀무를 지키고 있을 때, 그의 코에 세 번이나 파리가 앉았을 때처럼 말이다. 여기서는 로키가 내기를 방해하기 위한 계략 중 하나로 나타난다. 두 번째 경우는 위대한 인간의 계획이 한 마리 파리에 의해 끔찍하게 조롱당하는 것을 보여준다.―JP II 1697 (Pap. II A 112) n.d.1837년 7월 8일[i] 로키와 난쟁이 이야기: 이 이야기는 로키가 자신의 목을 걸고 난쟁이..
DD:18, JP II 1690 (Pap. II A 102) 1837년 7월 6일아이러니는 아마도 어느 정도의 평온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이는 유머러스한 전개 이후의 평화와 대응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는 기독교적 구원[a]과는 거리가 멀다(그리스도 안에서 형제[i]-다른 모든 차이는 완전히 사라지고, 그리스도 안에서 형제가 되는 것에 비해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고 만다. 그러나 그리스도는 차이를 만들지 않았는가? 그가 요한을 다른 사람들보다 더 사랑하지 않았는가?[ii]-이는 매우 흥미로운 대화로, 6월 30일 저녁 폴 뮐러[iii]가 한 말이다). 이는 어느 정도의 사랑을 만들어낼 수 있지만[b], 예를 들어 소크라테스가 그의 제자들을 둘러싸며 가졌던 사랑(하만이 말한 영적 남색[iv])과 ..
필리프 멜란히톤(Philipp Melanchthon)과 빅토린 스트리겔(Victorinus Strigel) 사이의 논쟁은 루터교 내에서 일어난 자유 의지와 인간의 구원에 대한 논쟁이 중심이었다. 이 논쟁은 멜란히톤 사후에도 루터교 신학에서 중요한 이슈로 남았으며, 인간의 구원에서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의지가 어떤 관계를 맺는지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을 보여준다.### 1. 배경 멜란히톤은 루터의 후계자로, 루터교 신학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지만 루터의 사후, 멜란히톤이 점차 자유 의지와 관련된 문제에서 루터의 엄격한 관점을 수정하려 했다는 비판을 받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멜란히톤의 신학은 일부 루터교 신학자들과 충돌하게 되었으며, 스트리겔은 멜란히톤의 사상을 이어받아 더 명확하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VvCQ/btsJFtpQXIA/CJAIJr7qnNW9kc2AKXum2K/img.png)
고전적 섭리론 스탠리 그렌츠의 조직신학 188쪽 이후 보존(perservation) 하나님이 창조하신 사물들 및 그 속성들과 능력들을 지속하게 하는 하나님의 행위고전적 관점, 느 9:6, 히 1:3 창조론의 필연적 결과 협력(concurrence) 협력은 보존의 결과임칼빈주의자: 사물들이 계속해서 활동하게 해 주는 신적 능력과 모든 이차적인 능력들의 협력으로 정의아르미니우스주의자: 하나님의 행위는 능동적이라기보다는 수동적임 통치(goverment) 하나님의 목적론적인 돌봄, 하나님이 다스리시는 계속적 활동-벌코프 자유주의 신학에서의 섭리다윈 이전의 자유주의: 자연 신학 강조, 1600대의 베이컨의 시대로부터 19세기자연신학의 가장 안전한 교조가 섭리론 다윈 이후의 자유주의: 진화론이 섭리론에 대한 이해를..
Synergistic theory와 monergistic theory는 구원론, 특히 인간의 구원에서 하나님의 역할과 인간의 역할에 대한 논의에서 등장하는 두 가지 중요한 개념이다.### Synergistic Theory (협력적 구원론)Synergistic theory는 인간의 구원이 하나님과 인간의 협력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을 지지한다. 즉, 하나님이 구원의 주체이지만, 인간 역시 그 구원에 있어 어떤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관점에서는 인간의 의지나 행위가 구원의 과정에서 중요하게 여겨진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자유 의지: 하나님이 구원을 베풀지만, 인간은 이를 받아들이는 데 자유 의지가 필요하다. 인간은 구원의 초대에 응답하고 그 은혜에 동참해야 한다...